김시습 금오신화의 의미와 분류, 김시습 금오신화의 특징과 작가, 김시습 금오신화의 여성상, 김시습 금오신화와 만복사저포기, 김시습 금오신화와 이생규장전, 김시습 금오신화와 남염부주지, 최유부벽정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김시습 금오신화의 의미와 분류, 김시습 금오신화의 특징과 작가, 김시습 금오신화의 여성상, 김시습 금오신화와 만복사저포기, 김시습 금오신화와 이생규장전, 김시습 금오신화와 남염부주지, 최유부벽정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김시습 금오신화의 의미

Ⅲ. 김시습 금오신화의 분류

Ⅳ. 김시습 금오신화의 특징

Ⅴ. 김시습 금오신화의 작가

Ⅵ. 김시습 금오신화의 여성상

Ⅶ. 김시습 금오신화와 만복사저포기
1. 양생
2. 여인과 만남
3. 여인과 이별

Ⅷ. 김시습 금오신화와 이생규장전

Ⅸ. 김시습 금오신화와 남염부주지

Ⅹ. 김시습 금오신화와 최유부벽정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취하고 있으며, 특히 플롯의 진행을 지배하고 있는 힘은 오직 초인간적, 초자연적인 신력(神力)에 의존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 작품도 그러한 성격을 띤 것으로, 전체적으로 보아 전반부는 이승의 현실적인 사건을 다루었고, 후반부는 저승과 이승을 초월한 세계를 그려 이중 구성의 묘미를 살렸다. 또한 부부의 인연을 삼세(三世)까지 이어가겠다는 구성의 전개는 초인간적, 초자연적인 힘에 의존한 전기 소설의 한 전형을 보인 것이라 하겠다.
Ⅸ. 김시습 금오신화와 남염부주지
박생이 주역을 읽다 잠들자 꿈속에 바다의 외딴 섬 나라로 갔다. 그곳에서 수문장의 인도로 성중에 들어갔다. 국왕은 박생을 맡아 극진히 대접하여 여러 가지 일들을 묻고 또한 박생의 질문에 친절히 대답하여 주었다. 그들이 주고받은 문답의 내용은 역대제왕의 흥망성쇠와 귀신(鬼神), 천당(天堂), 지옥(地獄), 제례(祭禮), 윤회(輪廻) 등에 관한 일들이었다. 문답이 끝난 뒤 국왕은 잔치를 거두고 박생에게 왕위를 물려주려고 선위문을 지어 박생에게 내려주었다. 박생은 선위문을 받들어 예식을 마치고 물러선 뒤에 수레를 타고 오다 깨어보니 꿈이었다. 박생은 죽을 날이 다가온 것을 알고 가사를 정리한 지 수월 만에 세상을 떠났다. 그가 간 곳이 바로 남염부주(南閻浮州)라는 지옥이요, 그는 그곳의 염라대왕이 되었다.
주인공 박생은 김시습의 이상향을 드러내어 준다. 김시습이 재능이 있으나 불우하게 떠돌아다녔던 것과 마찬가지로 박생은 15세기 중엽, 진보적 사상을 가졌으나 불우한 지식인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꿈속에서 염라국의 왕을 만나 왕위를 물려받는다. 김시습이 현실에서는 이룰 수 없었던 꿈을 박생을 통해 실현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 작품에서는 왕과 박생과의 문답을 통해 김시습의 철학관을 드러내고 있다. 특히나 김시습의 귀신관에 대하여 알 수 있다. 박생은 불교, 무당, 귀신 등 모든 것에 대하여 의심을 품는 한편, 이에 중용과 주역을 읽은 뒤 더욱 자신을 얻게 되었다고 나와 있다.
Ⅹ. 김시습 금오신화와 최유부벽정기
松京에 사는 富商 洪生이 평양 고향에 이르러 승경을 바라보며 한 잔 술에 시정을 걷잡지 못하고 부벽정에 올라 기자천년의 흥망을 한탄하니, 그 뜻이 悲愴하고 음률이 매우 아름다웠다. 이때 선계의 한 선녀가 하계하여 이를 듣고 洪生과 서로 만나 시로써 唱酬하고, 자신의 계보를 들어 자신이 은왕의 후예 기씨의 딸임과 그녀의 선고 준왕이 필부의 손에 죽고 위만이 寶位를 도적질함에 죽음으로써 그 절개를 지키려 하는 중에 국조의 도움을 받아 선계에 거하게 되었음을 듣고 洪生이 惶感하여 마지않았으나, 기씨녀는 \'江亭秋夜玩月\' 40운을 들려주고는 옥계로 돌아가 버렸다. 이에 洪生은 집에 돌아와 그 아름다운 기씨녀를 흠모한 나머지 병을 얻어 몸져 자리에 눕게 되었는데, 어느날 꿈에 한 미인이 와서 하는 말이 기씨녀가 上皇에게 고하여 上皇이 從事를 삼고져하니 속히 부임하라 하므로 洪生이 깨어 자리를 정리하고 곧 세상을 떠나 屍解 되었다.
이처럼 松京에 살고 있는 洪生이 평양의 부벽루에서 먼 옛날로 올라가 오랜 고조선 때의 기씨녀를 만나서 唱酬한다는 이야기로 전개되는 이 작품은 道敎와 儒敎的 색채가 농후하다. 작품에서 보여 지는 천상, 선녀, 선경, 불사약 등은 곧 神仙思想에서 나온 것이고, 상제께 아뢰어 洪生을 천상지사에 종사케 한다는 내용도 神仙思想을 주류로 한 道家思想의 표현이라고 보여진다.그렇지만 주인공 洪生이 기씨녀를 흠모하여 죽음은 王道政治의 思想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하겠고, 기씨녀는 몸은 비록 선녀이나 그 정신을 지배하고 있는 思想은 儒敎的 王道主義思想을 지닌 인물이라 하겠다.
그 구체적인 예로 여주인공 기씨녀가 나타나 자기가 신선이 된 내력을 설명하는 다음의 대목을 들어보자.
\"弱質 殷王之裔 箕氏之女 俄先祖 實封于此 禮樂典刑 ………… 遊泳銀河之勝也 卽命爲香 周旋左右 其樂不可勝言\"
“아아 이몸은 그 옛날 은왕의 후예요 기자의 딸이러니, 우리 선조를 이곳에 봉하여 모든 예법과 정치를 한결같이 성탕님의 유훈을 따라 팔조의 금법을 세웠으므로 문화의 빛이 천여 년 뻗치었더니……인간 세상에도 명승 경개가 없는 것은 아니나 풍진이 어지러우니 어찌 청천에 한번 솟아 흰 난새를 타고 맑은 향내를 계수에 박으며 옥경에 어정대고 은하에 목욕함만 같을 수 있느냐? 하고 곧 향안의 시녀를 삼아 좌우에 모시게 하니 그 즐거움을 무엇으로 형용하리오\"
이처럼 神仙譚을 표현해 놓은 데는 작자 자신이 지니고 있었던 神仙 思想의 반영이자, 이상적 군주상과 통치 질서에 대한 언급에서 알 수 있듯이 儒敎的 王道 思想이 짙게 배어 있다.
이상 「醉遊浮碧亭記」에 나타난 思想을 살펴보았고, 이제 그 意味를 분석해 보자.
「醉遊浮碧亭記」는 金時習의 死生觀을 잘 드러낸 작품이다. 즉 허무감에 젖어있던 현실의 金時習이 무의식적으로 허무를 이기고 영원의 세계로 나아가고자 하는 욕구를 표현한 작품이다. 즉 \'현실의 그\'로 비유된 洪生이 인생의 허무를 느끼다가 神仙인 여인으로 하여 초월의 세계를 알게 되고, 드디어는 영원히 그 세계로 나아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작품으로 하여금 金時習은 자신의 허무감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길을 모색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그 길은 儒敎도 아니요, 佛敎도 아니요, 神仙 思想인 道敎를 이용하였음은 작품의 말미에 잘 드러난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죽음에서의 해탈(遇仙屍解)\' 이것이 「醉遊浮碧亭記」의 주제적 意味라고 할 수 있다. 그 현실적 意味는 바로 金時習 자신의 멈출 수 없는 현실 욕망과 因緣 번뇌인 것이다.
참고문헌
김성희, 금오신화의 죽음을 통해 본 김시습의 무속적 세계관, 제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9
김창현, 금오신화의 체재에 나타난 창작방법과 비극적 낭만성,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김정애, 김시습의 성격과 금오신화 등장인물 성격의 관련성 연구, 전주대학교, 2007
민영복, 매월당 김시습의 작품과 그 생애 : 금오신화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1963
양정현, 김시습의 금오신화에 관한 연구, 전주대학교, 2002
정미현, 김시습의 작가의식 연구 : 금오신화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2006
  • 가격6,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7.2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36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