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균 소설 홍길동전, 허균, 소설, 홍길동전]허균 소설 홍길동전의 내용요약, 허균 소설 홍길동전의 주인공, 허균 소설 홍길동전의 구성, 허균 소설 홍길동전의 형성배경, 허균 소설 홍길동전의 작품분석(홍길동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허균 소설 홍길동전, 허균, 소설, 홍길동전]허균 소설 홍길동전의 내용요약, 허균 소설 홍길동전의 주인공, 허균 소설 홍길동전의 구성, 허균 소설 홍길동전의 형성배경, 허균 소설 홍길동전의 작품분석(홍길동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허균 소설 홍길동전의 내용요약

Ⅲ. 허균 소설 홍길동전의 주인공
1. 홍길동은 과연 혁명적인 인물이었을까
2. 왜 홍길동은 사사건건 자신의 이름을 밝히는가
1) 가문에의 복수
2) 컴플렉스-명예욕
3) 형에 대한 감정 때문

Ⅳ. 허균 소설 홍길동전의 구성

Ⅴ. 허균 소설 홍길동전의 형성배경

Ⅵ. 허균 소설 홍길동전의 작품분석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사회적 불만이 얼마나 큰 고통인지를 알려주고 있다. 그리하여 작가는 이제 작품 안에서일지라도 그 뜻을 이루고자 한다. 홍길동이 그의 비범한 재주를 시기하는 사람들을 떠나 자신의 이상, 그 이상향을 꿈꾸며 집을 나와 도적의 소굴에 들어가 힘을 겨루어 두목이 된다. 먼저 기이한 계책으로 해인사를 탈취하였으며, 그 뒤로 홍길동은 활빈당이라 자처하고 팔도지방 수령들의 불의의 재물을 탈취하여 빈민에게 나누어주고 백성의 재물은 건드리지도 않는다.
이와 같이 도적이 되더라도 민중에게는 힘이 되고 무위도식하는 무리와 백성에게 착취하여 자신의 이득만을 생각하는 이들에게 징계를 가하는 장면은 그 당시 사회의 탐관오리들에게 충고를 하는 허균의 속마음이었을 것이다. 이러한 허균의 모습은 호민의 모습이라고 한다.
나라에 서류라도 능력에 따라 골라 쓰라는 경고로 혁명가의 요건을 충분히 지닌 홍길동이 관권이나 기성세력의 법질서에 영합하지 않고 폭력의 방법, 실력으로 싸워 승리한다는 것이다. 즉, 복종만을 강요하는 봉건사회에서 그 제도의 모순과 부조리를 폭로하고 부패세력을 규탄하는 혁명가다운 모습을 말한다. 허균의 홍길동전을 보면서 주목해야 할 점은 언문으로 쓰였다는 것이다. 그에게 있어서 글이란 뜻이 통하면 되는 것이었다. 홍길동전을 읽으면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는 것이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다. 만약 한문으로 쓰여진 글이라면 우리에겐 조금 힘겨운 소설이 아니었나 싶다. 홍길동전은 글 전체에서 개혁과, 혁명을 지향하는 줄거리를 볼 수 있었다. 홍길동이 도술로써 팔도를 돌아다니고 그를 잡으려 하여도 잡을 수가 없어 조정에서는 홍판서를 시켜 회유하고 홍길동의 형 인형도 가세하여보지만 잡을 수가 없자 결국 소원을 들어주기로 하고 병조판서를 제수하여 회유한다. 결국 홍길동은 서울에 올라와 병조판서가 된다. 이것이 바로 허균이 생각하는 사회의 개혁이요 혁명이었다. 능력이 이렇듯 확고한 사람에게 서얼이라는 출신도 큰 어려움이 없음을 암시하고 이러한 사람들에게 벼슬길이 열려 나라에 큰 보탬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홍길동은 그 나라 안에서 오래 있지 않는다. 자신의 이상국을 찾아가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현실과의 타협을 포기하고 호민이 되는 허균의 입장이 되는 것이다. 좀더 나은 이상향을 찾아 앞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그의 마음이 나타나 있다. 또한 허균은 이러한 이상국이 어떠한 곳인지를 말하고자 하면서 홍길동으로 하여금 자신뿐만이 아니라 졸개들에게도 무예를 익히게 한다. 그들 개개인에게 뜻을 가르치고 자신들의 나아갈 길이 무엇인지를 확실히 하는 것이다. 이처럼 허균은 정치의 마지막 목표가 민중을 근본으로 하고 민중에 의한 복리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허균이라는 사람은 자신이 비록 집안이나, 신분에 있어서 사회의 상층에 있었지만 하층민들의 일상을 접하고 그들의 행동과 생각을 읽을 줄 알았으며 자신 하나만 만족하며 살아가는 게 세상의 전부가 아님을 알았기에 진정 선구자다운 인물이었다. 민중을 먼저 생각하고 민중과 함께 살아가야 하는 것이 당연한 것이지만 이런 생각을 갖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누구에게나 자신의 안위가 먼저일 것이고 한평생 살아가면서 남을 위한다는 게 얼마나 힘든지 사람들은 이 소설을 보면서 느꼈으면 한다. 홍길동이란 인물에게 이상향을 찾아 꿈을 이룬 인물이라고 칭찬만 할 것이 아니라 그가 왜 이러한 이상향을 품게 되었으며 그 이상향을 이루기 위해서 어떠한 노력이 있었는지 알아야 한다.
Ⅶ. 결론
蛟山은 儒家의 가문에서 태어나서 교육받았으나, 古典的인 儒家 思想을 그대로 合理하기를 원치 않았다. 그는 儒家의 경전을 남을 위한 道理의 道로서 받아들였다. 즉, 홀로 孤高 한 척 하며 자신의 名理만을 쫓는 利己的인 학문으로서가 아니라, 백성의 어려움과 고통을 해결해 줄 수 있는 實題的 觀繫으로서의 儒學을 공부한 것이었다. 당연히 이러한 蛟山의 現實 그리고 그의 反言 한 行動은 일반 士條들로 하여금 조직적인 반발을 가져왔다. 결국 士林과 兩班에서는 그를 異端으로까지 非下 하기에 이르렀고, 이것은 일평생 그를 옭죄는 思想的 사슬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蛟山의 儒敎的 이면서도 反儒敎的인 忠孝思想은 “洪吉童傳” 에서도 反映된다.
한편 蛟山은 佛敎와 道敎에도 排斥하였다, 이 역시 그의 好學的인 性格에서 출발하였다고 불 수 있으며, 예기치 않은 가정적 불행과 연속적인 悲運으로 인한 精神的 逃避處로서의 역할도 중요한 부분이 된 것으로 보여진다.
蛟山의 불교에 대한 示現역시 儒敎에 대한 그것과 일치된 경향을 보여준다. 그는 一般 四部 大家와 悲話된 채 山中에서 수련이나 하고 鐘과 答이나 만드는 神僕의 佛敎를 무시하였다. 반면 西山大師나 四溟大師처럼 현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民生救濟에 앞장선 이들을 불교도의 으뜸으로 삼았다. 그리고 이러한 모습은 “洪吉童傳”에서 백성들을 援民取澤 하는 食管紳士처럼 일반 위에 君臨하는 海印寺의 중들을 彈劾하는 장면으로 나타났다.
“洪吉童傳”에는 그의 道敎的인 자세가 많이 발견된다. 아울러 “洪吉童傳”에는 다양한 民間信仰의 자취를 찾아볼 수 있다. 이와 같이 蛟山은 儒敎, 佛敎, 道敎의 宗敎와 수천 년 동안 전래되어온 民間信仰과 新思인 天主敎를 아우르는 泯合 思想의 소유자였다.
그리고 그 점은 “洪吉童傳”에도 泯話된 형태로 되어 있었다. 그는 이렇게 泯話된 宗敎的 思惟體系를 소유한 길동을 창조함으로써 班常과 常民의 階級的 選別이 엄격한 당시 사회에 새로운 眞理를 具現하려 하였다. 그리고 食管信使에게 紵紬받던 民衆에게 自主的인 행동을 통하여 가슴이 시원한 세계를 提示하였다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김성우(2002), 홍길동전 다시 읽기 : 조선사회의 경직화와 마이너리티의 저항, 한국역사연구회
◎ 김혜미(2010), 홍길동전에 담긴 상생의 문제,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 서인석(2010), 교육 텍스트로서의 홍길동전,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 설성경(1998), 홍길동전의 성립 배경, 연세대학교
◎ 유병환(2005), 홍길동전의 형성 배경 - 허균의 행적과 혁명의식을 중심으로-, 한국고소설학회
◎ 전현주(2005), 홍길동전 의 작가의식 연구, 공주대학교
  • 가격6,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7.2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36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