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禪)]원불교 선(禪)과 작업선, 원불교 선(禪)과 생활선, 원불교 선(禪)과 불이선, 원불교 선(禪)과 종래선, 불교 선(禪)과 묵조선, 불교 선(禪)과 염불선, 불교 선(禪)과 간화선(화두선), 불교 선(禪)과 중국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선(禪)]원불교 선(禪)과 작업선, 원불교 선(禪)과 생활선, 원불교 선(禪)과 불이선, 원불교 선(禪)과 종래선, 불교 선(禪)과 묵조선, 불교 선(禪)과 염불선, 불교 선(禪)과 간화선(화두선), 불교 선(禪)과 중국선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원불교 선(禪)과 작업선

Ⅱ. 원불교 선(禪)과 생활선

Ⅲ. 원불교 선(禪)과 불이선

Ⅳ. 원불교 선(禪)과 종래선

Ⅴ. 불교 선(禪)과 묵조선

Ⅵ. 불교 선(禪)과 염불선

Ⅶ. 불교 선(禪)과 간화선(화두선)

Ⅷ. 불교 선(禪)과 중국선

참고문헌

본문내용

공안이라 하며, 선의 과제로 삼는 것이다.
화두는 그 본질이 불조의 깨달음 자체이므로, 수행자가 반드시 통과하지 않으면 안되는 지상의 과제라 하겠다. 이 과제를 뚫고나야 비로서 부처를 알고, 조사를 알고, 자신의 본성을 알고, 법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래서 화두를 조사관(組師關)이라고도 한다. 이 화두를 타파했을 때, 즉 의심의 덩어리가 완전히 깨졌을 때 진리의 문이 열리는 것이다.
일념으로 화두를 들게 될 때 다음과 같은 관정을 겪게 된다는 것이다.
첫째, 과거나 미래로 나갔던 마음이 지금 이 순간으로 돌아오게 되고,
둘째, 꿈을 꾸고 있는 듯한 망상에서 깨어나게 되며,
셋째, 도를 구하는 마음이 끊이지 않고 점점 강렬해져서,
넷째, 분별심이 사라져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는 지혜의 안목이 열리게 되는 것이다. 화두를 들 때 자신의 전 존재를 화두에 맡기고, 모든 생각이나 분별을 끊고, 지식이나 논리로 헤아리려 하지 말며, 行, 走, 坐, 臥, 語, , 動, 靜의 어떤 상태에서나 어떤 장소, 어떤 시간에도 오로지 화두 일념이어야 한다. 화두를 드는 수행자에게 있어서는 화두가 바로 자신의 생명이며, 과거 현재 미래이며 우주 자체인 것이다.
Ⅷ. 불교 선(禪)과 중국선
선(禪)은 실천형태와 선사상(禪思想)이라는 두 측면에서 바라볼 수 있다. 불립문자(不立文字)니 교외별전(敎外別傳)이라는 표어가 나타내듯이, 선(禪)은 본래 이론적인 이해를 배제하고 곧바로 깨달음의 지혜를 체험하고 실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선을 학문적으로 논하는 선학(禪學)의 측면에서는 그러한 체험과 실천을 단순히 기술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그것이 어떤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가를 탐구하여 선사상(禪思想)이라는 이론을 구성하여 선을 이해하려고 한다.
중국선(中國禪)을 선사상(禪思想)의 측면에서 바라보면 기본적으로 두 주제로 나누어진다. 그것은 우선 극복해야 할 존재로서의 중생의 본질이 어떤 것인가 하는 것과, 다음에 중생의 상태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 \'중생의 본질에 대한 견해\'와 \'그 극복 방법의 제시\'라는 이 두 가지는 달리 말하면 심성관(心性觀)과 수증관(修證觀)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둘이야말로 선(禪)을 이론적으로 이해함에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다. 또한 중생의 본질을 어떻게 규정하느냐에 따라서 수증(修證)의 방법도 달리 제시될 것이므로 이 두 가지는 서로 뗄 수 없는 관계에 있다. 따라서 중국선종(中國禪宗)의 흐름을 사상적(思想的)으로 구분해 볼 때에도 그 구분은 바로 이 두 요소의 변천이 기준이 되어야 한다. 심성관(心性觀)과 수증관(修證觀)의 변천에 따라서 중국선종(中國禪宗)의 전개사(展開史)를 구분해 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제1기> 정좌점수선(靜坐漸修禪)의 시기 : (5C말-8C초) 초조(初祖) 보리달마(菩提達摩)에서 오조(五祖) 홍인(弘忍)까지. 사망귀진(捨妄歸眞)좌선간심(坐禪看心)수인증과(修因證果)를 특징으로 하는 점수선(漸修禪)의 시기.
<제2기> 직지인심견성성불선(直指人心見性成佛禪)의 시기 : 남종 조사선(祖師禪)
①개시(開始)(7C후반-8C전반) : 혜능(慧能)의 선법(禪法) 개혁= 조사선(祖師禪)의 개발.
②완성(完成)(8C후반-9C전반) : 마조(馬祖)와 석두(石頭)= 조사선의 완성.
③전개(展開)(9C후반-11C전반) : 오가칠종(五家七宗)= 조사선의 만개.
즉심시불(卽心是佛)입처개진(立處皆眞)선문답(禪問答)직지인심(直指人心)견성성불(見性成佛)오수동시(悟修同時)돈오돈수(頓悟頓修)를 특징으로 하는 돈오선(頓悟禪)의 시기.
<제3기> 간화묵조선(看話照禪)의 시기 : (12C전반- ) 대혜종고(大慧宗?)의 간화선(看話禪), 굉지정각(宏智正覺)의 묵조선(照禪).
중국선종사를 위와 같이 3기로 나눌 때, 제1기와 제3기에 관해서는 대체로 정좌점수(靜坐漸修)를 위주로 하는 선법(禪法)과 간화(看話)와 묵조(照)의 선법으로 규정이 되고 있다. 그 사이에 위치하는 제2기의 선(禪)에 관해서는 선종(禪宗) 혹은 조사선(祖師禪)이란 이름으로 부르고 있으며, 그 선법(禪法)의 요지는 일반적으로, 직지인심(直指人心)견성성불(見性成佛)이심전심(以心傳心)불립문자(不立文字)라고 한다. 특히 제2기는 선(禪)이 혜능(慧能)에 의하여 인도(印度)의 색채를 탈피하고 중국화되는 시기로서, 그 이후 중국한국일본에서 전개된 선불교(禪佛敎)의 원형(原型)이 완성되는 시기이며, 따라서 현재 우리나라 선불교를 이해하기 위해서도 대단히 중요한 시기이다.
전통적으로 보리달마(菩提達磨)를 중국선종(中國禪宗)의 초조(初祖)라고 인정하지만, 스즈끼다이세쯔(鈴木大拙)가 이미 지적하였듯이, 실질적으로는 혜능이야말로 중국선(中國禪)이라는 새로운 선문(禪門)을 처음으로 열어제친 개조(開祖)라고 해야 한다. 그것은 실천형태의 측면에서는 정좌수행(淨坐修行)이라는 점수법(漸修法)에서 선문답(禪問答)을 통한 돈오(頓悟)에로의 변화이며, 심성관(心性觀)과 수증관(修證觀)의 측면에서는 사망귀진(捨妄歸眞)과 수인증과(修因證果)에서 일체개진(一切皆眞)과 정혜불이(定慧不二)에로의 변화를 의미한다. 혜능이 새롭게 연 이러한 선(禪)은 이후 중국을 위시하여 한국이나 일본으로 전파된 선불교(禪佛敎)의 기본 토대가 되며, 특히 임제종(臨濟宗)의 간화선(看話禪)으로 계승된다. 따라서 혜능이야말로 인도(印度)에서 전래한 선(禪)을 중국화시킨 실질적인 초조(初祖)라고 해야 한다. 그러므로 혜능의 선(禪)을 이해하는 것은 바로 중국선(中國禪)을 이해하는 길잡이요 지름길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은종(2006), 원불교 선의 원리와 수행법 연구 : 소태산 대종사의 전인적 생활선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김대현(1980), 보조선과 원불교선의 비교연구 :원불교 선 사상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김영민(2000), 원불교의 성리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김은종(2002), 원불교선의 수행 체계,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박혜훈(2010), 원불교 선으로서의 훈련법 발전방향 모색,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송천은(1991), 원불교 선의 기초적 입지,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키워드

  • 가격6,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3.07.2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43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