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헌유형정의부(DTD)의 표준값, 편집, 문헌유형정의부(DTD)와 기술적범용마크업언어(SGML), 텍스트기반포맷(XML), 문헌유형정의부(DTD)와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 탐색보조도구(FindAid)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헌유형정의부(DTD)의 표준값, 편집, 문헌유형정의부(DTD)와 기술적범용마크업언어(SGML), 텍스트기반포맷(XML), 문헌유형정의부(DTD)와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 탐색보조도구(FindAid)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문헌유형정의부(DTD)의 표준값

Ⅲ. 문헌유형정의부(DTD)의 편집
1. 파일 기능
1) 새파일
2) 열기
3) 저장
4) 새 이름으로 저장
5) 텍스트 편집기
6) 종료
2. 도구 기능
1) 검증
2) 객체
3) 발생지시자
4) 인클루젼(Inclusion)
5) 종단노드

Ⅳ. 문헌유형정의부(DTD)와 기술적범용마크업언어(SGML)

Ⅴ. 문헌유형정의부(DTD)와 텍스트기반포맷(XML)

Ⅵ. 문헌유형정의부(DTD)와 한국문헌자동화목록법(KORMARC)

Ⅶ. 문헌유형정의부(DTD)와 탐색보조도구(FindAid)

참고문헌

본문내용

itor에서는 이러한 구조도로부터 자동으로 DTD를 생성해 주기 때문에 명확한 구조정보가 있다면 DTD의 작성은 수월해진다. KORMARC의 경우 반복적인 구조가 많으므로 본 DTD의 설계에 있어서는 KORMARC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구조들을 분석하여 도식화하고 이 구조도를 바탕으로 Inside&Out DTD Editor의 DTD 자동생성기능을 이용하여 해당되는 DTD 모듈을 확보한 후 이들을 모아 편집함으로써 전체 DTD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구문분석기인 SP가 제공하는 DTD 검증 기능(-p 옵션)을 이용하여 DTD에 구조상 오류가 있는지를 검사하였다.
Ⅶ. 문헌유형정의부(DTD)와 탐색보조도구(FindAid)
탐색보조도구(finding aids)란 보존문서관이나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유형의 장서에 대한 기술 및 접근도구로서, 장서를 구성하는 각 자료에 대해 분립수준을 다양화하여 조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서지레코드와 1차 자료의 중간에 위치하므로 이용자는 서지레코드로부터 탐색보조도구로, 탐색보조도구로부터 1차 자료로 안내받게 된다.
1993년 ‘Berkeley Finding Aid Project(BFAP)’라는 이름으로 캘리포니아대학 도서관에서 SGML 형식으로 탐색보조도구를 코딩하기 위한 원형 표준의 개발을 시작하였다. 탐색보조도구는 계층적으로 구조화된 일종의 문헌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평면적 구조인 MARC 형식보다는 다양한 서지수준을 표현하는 데 적합한 SGML이 채택되었다. 1995년 FindAid DTD의 개발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자 이를 이용하여 실제 코딩한 탐색보조도구에 대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SGML 기반 코딩표준의 폭넓은 채택을 도모하기 위해 같은 해 앤아버(Ann Arbor)에서 열린 ‘Bentley Library Research Fellowship Program for the Study of Modern Archives’에서는 코딩표준 설계의 원칙과 데이터모델 등 새로운 DTD를 개발하는 데 필요한 토대를 제시하였고 그 이름을 EAD(Encoded Archival Description)로 개칭하였다. 그리고 탐색보조도구의 기술, 통제, 탐색, 색인 및 출력 등의 기능을 지원할 수 있고, 교환 및 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데이터의 공유 및 종합 DB의 작성을 지원하며, 기계가독형 탐색보조도구 작성시 플랫폼 독립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그 코딩체계로 SGML이 사용되었다.
EAD는 TEI와 USMARC를 준용하여 첫째, 데이터모델에 있어서는 TEI에 따라 탐색보조도구의 헤더를 정의하고 가능한 경우 태그명과 그 구조를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둘째, 목록레코드와 탐색보조도구와의 밀접한 관계를 인식하여 USMARC의 필드에 대응되는 내용은 USMARC에서 사용되는 속성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LC의 Network Development and MARC Standards Office에서 유지기관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파일럿 프로젝트도 수행중이다. 1996년 8월 현재 EAD 시험용 베타버전이 배포되고 있다.
보존문서와 같은 정보자원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환경의 정보자원에 대해서는 다양한 수준의 메타데이터가 필요하기 때문에 탐색보조도구와 같은 도구의 역할이 중요해진다. 또한 모건(Eric L. Morgan)은 전자적 성격의 정보자원이 등장하면서 목록이 탐색보조도구화하고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이를 SGML을 이용해 표준적으로 코딩하여 인터넷상에서 이용할 수 있게 하고 다양한 탐색보조도구간에 호환성을 확보하는 것은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실제로 LC에서 구축한 탐색보조도구의 경우 정보자원의 출처, 접근조건, 관련 전기정보나 역사정보, 범위와 내용을 기술하는 주기, 분립수준에 따른 기술의 상세성 등 목록레코드보다 더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고방원 외 1명(2010), DTD를 이용한 XML Pull 파서 생성기, 한국경영교육학회
김정미 외 1명(2007), 이원분류표를 위한 XML DTD의 설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남시병 외 2명(2012), DTD 자동 생성 기법을 이용한 USN 미들웨어 설계 및 구현,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박도준 외 2명(2005), DTD 전자서명을 이용한 XML문서의 보안성 향상,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이상용(2003), 한국 문집을 위한 XML DTD 개발에대한 연구, 서지학회
조왕근(1997), 학위논문 SGML DTD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 가격6,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7.2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46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