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 별산대놀이][양주][별산대놀이][양주 별산대놀이 의의][양주 별산대놀이 가면][송파산대놀이]양주 별산대놀이의 의의, 양주 별산대놀이의 가면, 양주 별산대놀이와 송파산대놀이, 양주 별산대놀이의 춤사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양주 별산대놀이][양주][별산대놀이][양주 별산대놀이 의의][양주 별산대놀이 가면][송파산대놀이]양주 별산대놀이의 의의, 양주 별산대놀이의 가면, 양주 별산대놀이와 송파산대놀이, 양주 별산대놀이의 춤사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양주 별산대놀이의 의의

Ⅲ. 양주 별산대놀이의 가면

Ⅳ. 양주 별산대놀이와 송파산대놀이
1. 제 1과장
2. 제 2과장
3. 제 3과장
4. 제 4과장
5. 제 5과장
6. 제 6과장
7. 제 7과장

Ⅴ. 양주 별산대놀이의 춤사위
1. 예전과 현재의 춤사위의 변화
2. 전수방식의 변화

참고문헌

본문내용

게 언제부터인가요?
석종관 : 그게 배우기를 우리가 그렇게 배웠어요. 제가 여기 64년도부턴 여기에 입문을 했거든요. 그 기본춤이란 걸 하긴 했어요. 근데 어른들이 ‘기본춤 추자’는 이야기를 안 해요. 어른들이 “배겨라” 그러면 춤추잔 이야기죠. 그 이야기를 노인분들이 많이 하셨고, “나가서 배겨봐라” 그러면 나가서 춤춰봐란 이야기였어요. 기본춤은 그렇게 해서 배웠고, ‘기본춤’이란 용어가 생긴 것은 70년대 중반을 조금 넘어가요. 75년도나 76년도 그 무렵이예요. 그 당시 대학가에서 한창 탈춤 붐이 일어나서, 서울대부터 시작해서 쫙 들어오기 시작했단 말이죠. 그때부터 ‘기본춤’이란 게 생겨났고, 70년대 후반부터 80년대 초반에 ‘뒷풀이’란 게 생겼어요.
전경욱 : 기본 춤사위를 몇 개로 하시죠?
석종관 : 저희가 처음 배울 때는 여덟 가지, 불림새까지 포함해서 아홉 가지요. (1) 불림, (2) 빗사위, (3) 고개잡이, (4) 깨끼, (5) 깨끼리, (6) 멍석말이, (7) 곱사위, (8) 여닫이, (9) 너울질이 있죠. 그리고 예전엔 팔뚝잡이도 있었고, 목잡이도 있었고 그랬는데, 그때 당시 선생님들이 중요하게 생각하질 않았는지, 있긴 있는데 기본춤에는 안 넣었죠. 1번서부터 9번까지 하고 2, 3, 4, 6, 7까지 다시 하고 거기서 끝나요.
전경욱 : 그럼 이 순서대로 그때도 했단 말이죠?
석종관 : 그렇죠.
석종관 : 춤사위가 실질적으로 여덟 가지인데, 여덟 가지로 하다보니깐 어떤 작품성이란 게 없어서, 1과장부터 8과장 끝까지 가는 과정 중에서 춤사위가 있어요. 이걸 다시 집대성을 해 가지고, 24사위까지 쫙 연결해 놓은 게 있어요.
전경욱 : 그걸 실제로 가르치실 때 쓰나요?
석종관 : 그건 우리 애들은 다 알고, 공연할 때 또 해요. 이 24가지는 학생들에겐 안 가르치고, 이 양주별산대놀이 연기자들만 하죠. … 이걸 해서, 어떤 누가 어떤 배역을 배우더라도 다 할 수 있게끔.
전경욱 : 그럼 이 24가지도 이름이 있겠죠?
석종관 : 우선 아까 이야기했던 9가지, (10) 거수빗사위, (11) 팔뚝잡이, (12) 갈지자걸음, (13) 양너울질, (14) 연풍대, (15) 뒷까치걸음, (16) 병신사위, (17) 외너울질, (18) 앞까치걸음, (19) 멍석말이, (20) 짐걸이 고개잡이, (21) 앉은걸이, (22) 짐걸이, (23) 앉은돌이, (24) 깨끼, (25) 팔자빗사위, (26) 제비활개 이 24개 춤사위는 원래 각 과장에는 들어 있었는데, 기본춤사위에는 없던 거죠. 그러면 이걸 배우고 나면, 직접 연기를 배울 때 각 과장에서, 이미 배운 것이라 배우기 쉽다는 거죠.
이상과 같이, 노재영이 양주별산대놀이를 배우기 시작하던 1957년 무렵만 해도 춤사위의 전수방식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고 한다. 기존 연희자들이 시범으로 춤을 한 번 추고, 그냥 따라하라고 했다는 것이다. 그러다가 석종관이 입문한 1964년 무렵부터는 기본춤이란 말은 쓰지 않았지만, 실제로 기본춤에 해당하는 (1) 불림, (2) 빗사위, (3) 고개잡이, (4) 깨끼, (5) 깨끼리, (6) 멍석말이, (7) 곱사위, (8) 여닫이, (9) 너울질을 배웠다고 한다. 그리고 1973년 무렵부터 대학생들에게 춤을 가르치면서 기본 춤사위를 한 동작씩 자세하게 가르친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춤사위의 전수방식에 변화가 일어났는데, 최근에는 기존의 9가지 기본춤 이외에 전체 과장에 나오는 춤사위를 모두 정리한 24춤사위를 전수하고 있다고 한다. 이것은 외부에서 배우러 오는 대학생들에게는 가르치지 않고, 양주별산대놀이 보존회 내부적으로 전수자들을 교육할 때 가르친다고 한다. 그러면 전체 과장 중 누가 어느 배역을 맡더라도 쉽게 배울 수 있다는 것이다. 춤사위의 전수방식이 점차 체계화되어 온 것이다.
참고문헌
김용수 / <양주별산대놀이>에 나타난 웃음의 구성 -웃음을 통해 본 한국가면극의 정신, 한국연극학회, 2012
김지원 / 양주별산대놀이에 내재된 표현적 상징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0
박희미 / 민속극의 대사 고찰 : <양주별산대놀이>·<송파산대놀이>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2007
은혜진 / 조선후기 탈춤의 문화사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양주 별산대 놀이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1995
장하나 / 양주별산대놀이에 내재된 신명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7
정형호 / 양주별산대놀이의 전승집단과 지역공동체 문화와의 관련성, 한국구비문학회, 2005

추천자료

  • 가격6,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8.0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09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