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실천기술의 기본과정과 기술 - 접수면접과 관여, 자료수집과 사정, 계획과 계약, 개입과 점검, 평가와 종결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실천기술의 기본과정과 기술 - 접수면접과 관여, 자료수집과 사정, 계획과 계약, 개입과 점검, 평가와 종결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접수면접과 관여
1) 접수면접과 관여단계 동안 클라이언트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활동
2) 접수면접(intake)
3) 저항의 4단계
4) 전문적 관계의 기본요소
5) 접근방법

2. 자료수집과 사정
1) 자료수집 방법
2) 자료수집 방법의 한계
3) 사정(assessment)
4) 진단과 사정의 용어 혼란
5) 접근방법

3. 계획과 계약
1) 계획에 명시되어야 할 내용
2) 클라이언트의 알 권리
3) 개별화된 계획
4) 접근방법

4. 개입과 점검
1) 계획된 변화과정 단계
2) 클라이언트 원조에 있어서 사회복지사의 명심사항
3) 접근방법

5. 평가와 종결
1) 발달측정, 사정, 평가의 이해
2) 사정・평가과정에 대한 모델
3) 프로그램 평가의 개념
4) 프로그램 평가의 목적과 기능
5) 프로그램 평가의 과정
6) 프로그램 평가의 유형
7) 프로그램 평가의 기준
8) 유용한 프로그램 평가를 위한 지침
9) 접근방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료를 정보 산출을 위해 쓸 수 있는가?
새로운 정보수집도구를 도입해야 되는가?
얼마나 자주 정보를 수집하고, 보고를 해야 되는가?
4 단계 :
정보를 수집하고, 보고한 사람은 누구인가?
어떻게 정보가 수집되며, 어떠한 형태로 보고될 것인가?
정보의 신뢰도, 타당도를 어떻게 검토할 것인가?
이 정보를 어떻게 결정과정에 활용할 것인가?
이 정보의 신용도를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
⑶ 총괄평가(summative evaluation) : 목표 지향적 평가
총괄평가는 본적으로 연역적인 논리에 바탕을 둔 평가이며, 한 기관의 정책 또는 프로그램이 달성하고자 했던 목표를 얼마나 잘 성취했는가의 여부를 평가한다. 총괄평가는 최종결과물을 평가하고, 성공 혹은 실패와 관련된 요인을 알아내는 것이며, 프로그램의 결과와 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점검이 과정의 종결까지 지속되면 총괄평가 형식이 된다. 총괄적인 것이란 재원제공자에게 실시 결과를 보고하기 위한 것이다.
총괄평가의 6단계 실행과정
1 단계 :
이 기관의 목적(mission)은 무엇인가?
이 기관이 개입 또는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는 분명하게 규명되어 있는가?
서비스의 표적 집단은 규명되어 있는가?
서비스가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는 분명히 확인되었는가?
서비스의 방법은 분명히 설명되었는가?
2 단계 :
프로그램의 목적(goal)은 무엇인가?
이 기관이 달성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은 목적달성을 위한 업무활동, 표적 집단, 소요 전문 인력, 예산 등을 정확히 기술하고 있는가?
이 기관이 시행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의 목적은 표적 집단에게 기대되는 예상효과(impact), 해결되어야 할 문제, 서비스전달 방법을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는가?
3 단계 :
프로그램의 목표(objective)는 무엇인가?
각 프로그램의 목적은 목적 달성을 위한 측정 가능한 목표와 구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는가?
서비스가 어떻게 전달될 것이라는 과정적 목표가 명시되어 있는가?
표적 집단 또는 서비스의 대상자에게 나타날 서비스 효과의 목표가 구체적으로 명시되었는가?
4 단계 :
프로그램의 목표가 달성되었는지 여부를 어떻게 결정하는가?
프로그램 목표 달성의 여부를 측정하기 위하여 어떤 척도를 사용할 것인가?
과정적 임무* 및 효과척도를 사용하였는가?
우리의 업무는 프로그램의 목표달성과 관련이 있는가?
* 과정적 임무 : 직원의 서비스전달 소요시간, 서비스전달 형태와 방법 등을 칭한다.
5 단계 :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한 목표는 달성되었는가?
클라이언트와 공동으로 합의되었던 특수한 서비스의 목표가 있었는가?
공동의 서비스 목표달성을 위해 특별히 채택된 방법이 있었나?
목표달성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정기적인 평가는 있었나?
사회복지사와 슈퍼바이저는 자신의 서비스전달의 효과성을 정기적으로 평가하는가?
6 단계 :
평가의 자료를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는 달성수준을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의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되었는가?
평가의 자료가 해석의 과정을 거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할애했는가?
어느 정도나 내적 혹은 외적 요인이 평가결과에 영향을 미쳤는가?
프로그램의 긍부정적인 양면을 고려할 때 어떠한 변화를 시도해야 되는가?
평가의 결과는 어떻게 활용해야 될 것인가?
7) 프로그램 평가의 기준
평가의 기준(criteria)이란 평가를 위한 척도이다. 프로그램의 성패를 판단하기 위해서 프로그램의 어느 측면을 평가의 초점 또는 대상으로 삼아야 할 것인가에 대한 기준을 말한다. 평가의 기준은 대체로 ① 목표달성 수준, ② 기대하는 변화의 정도, ③ 변화 또는 성과를 나타내는 점수, ④ 의도한 서비스 효과가 표현되는 맥락이이나 상황의 수준, ⑤ 원하는 가치가 산출되는 정도나 범위, ⑥ 클라이언트의 만족도를 나타내는 특정 지표, ⑦ 특정행동 또는 태도의 변화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요크(R. O. York)는 평가의 기준으로 ① 노력성(effort), ② 효과성(effectiveness), ③ 효율성(efficiency), ④ 서비스의 질(quality of services), ⑤ 과정(process), ⑥ 영향(impact), ⑦ 형평성(equity) 등 7가지를 제시하였으며, 여러 학자의 공통적인 평가 기준은 ① 노력성, ② 효과성, ③ 효율성, ④ 서비스의 질, ⑤ 이용자 만족도를 제시하고 있다.
8) 유용한 프로그램 평가를 위한 지침
⑴ 평가자료와 보고의 사용자(행정가, 입법가, 실천가, 프로그램 기획가 등)를 명확히 한다.
⑵ 평가가 가능한지 결정한다.
⑶ 프로그램의 목표와 목적을 진술한다.
⑷ 평가될 프로그램의 개입을 서술한다.
⑸ 변화에 대한 측정 가능한 지표를 선정한다.
⑹ 적절하고 사용 가능한 자료수집과 측정의 도구를 선정한다.
⑺ 자료를 어떻게 수집하고 도표화하며, 분석할지 계획한다.
⑻ 평가결과를 해석한다.
9) 접근방법
구 분
내 용
단일사례설계
기초선의 활용과 후속적인 변화의 측정을 통해 개입의 영향을 평가한다.r
신속한 사정도구
임상적 측정의 도구를 사용하여 평가와 사정의 정확도를 증진한다.
과제달성척도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가 개입과제를 완수한 정도를 결정한다.
목적달성척도
클라이언트가 개별화된 목적을 달성한 정도를 측정한다.
서비스 계획결과 체크리스트
한 기관에서 전형적으로 제기되는 결과목적의 일람표에서 클라이언트 진보를 기록한다.
개별화된 척도
개별 클라이언트와 상황에 독특한 측정척도를 만든다.
차별적 영향의 점수화
개입이 시작된 이래 발생한 변화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인식을 얻어내고 다른 요인에 의한 것과 개입에 의한 변화를 구별한다.
서비스의 종결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간의 전문적 관계를 시기적절하고 책임 있는 방법으로 종결한다.
참고문헌
구혜영 저, 사회복지 실천기술론, 신정 2013
윤선오, 김현진 저,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양서원 2013
최선화 저, 풀어쓴 사회복지실천기술, 공동체 2012
설전화 저,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이해, 양서원 2013
엄명용, 김성천 외 저,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학지사 2011
조미숙, 유용식 외 저, 최신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동문사 2012
  • 가격3,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13.10.04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43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