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복지 - 여성근로자의 복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여성복지 - 여성근로자의 복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배경
2. 여성의 노동시장참여의 역사
3. 여성근로자의 근무 직종
4. 여성근로자의 임금
5.여성근로자의 승진
6. 여성근로자의 퇴직
7.휴가 및 보육
8. 여성근로자의 정신건강
9. 여성근로자에 대한 성희롱
10. 여성근로자 근무 여건의 예
참고문헌

본문내용

규정 (1964년)
근로자는 자신이 심리적 피해를 입었다는 것을 증명하지 않고도 자신이 성희롱을 당했다고 주장할 수 있다.
- 우리나라 : 남녀고용평등법 상 사업주가 성희롱 예방 교육을 의무적으로 실시,
성희롱을 한 사람에게는 인사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되었다. (1999년)
3) 현황과 여파
(1) 현황
- 성희롱은 모든 작업환경에서 발생한다.
- 현재 50% 정도가 성희롱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우리나라 여성근로자의 경우는 87%가 사업장에서 성희롱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 2000년에 36개의 사업장에서 363건의 성희롱 사건이 노동부에 정식으로 접수되었다.
∴ 우리나라 사업장에서의 성희롱 정도가 심각함을 알 수 있다.
(2) 발생 직종에 따른 특징
- 여성이 많은 직종의 경우에 성적 요구를 따르지 않을 때에는 일자리를 잃을 수도 있다는 위협이 가해진다.
- 남성이 많이 일하는 직종의 여성근로자일 경우에는 성희롱을 더 많이 겪게 된다.
남성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여성이 위협함에 따라 보복의 형태로 성희롱이 가해지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3) 여파
① 성희롱이 미치는 영향
- 성희롱은 여성이 자신을 근로자로 생각하는 것에 대해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특히 사회적 지지망이 없을 경우 여성의 고통은 심하다.
- 성희롱은 기업에게 피해를 입힌다.
② 사회복지사의 역할
- 성희롱을 방지하는 교육을 주관하고 실행한다.
- 성희롱을 당한 근로자를 상담하고 그 근로자에게 가장 적절한 대처 방안을 찾아준다.
EX) 수치심 극복, 대인관계 문제 조정
10. 여성근로자 근무 여건의 예
1) 생산직 근로자
- 여성은 생산직에 빠른 속도로 참여하고 있다.
① 생산직의 특징
- 생산직에 근무하는 여성은 반(半)숙련 기계작동자로서 고용된 경우가 많으며 남성근로자 보다 임금이 적다.
- 생산직 여성근로자가 일하는 직종에서는 성 분절 현상이 있다.
EX) 여성은 비(非)내구제 업종에 고용 , 주로 조립라인에 고용
(Andersen, 2000:125-127)
2) 서비스직 여성
- 서비스직은 여성이 많이 참여하고 있는 직종이다.
- 임금을 가장 적게 받는 층의 하나이다.
- 서비스직의 특성
① 성 분절이 높게 되어 있다.
EX) 주방근로자, 카운터 근로자는 여성이 75%
보수가 좋은 경찰, 소방관 등 보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근로자는 남성이 많다.
② 이직율이 높고 파트 타임 고용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③ 여성에게는 질이 떨어지는 근무형태일 수 있다.
④ 성에 대한 어떤 기대를 가지냐에 따라서 서비스직에 종사하는 여성이 경험하는 바가
영향을 미친다. EX) 웨이트리스 - 젊고 섹시할 것이 기대된다.
【 참고 문헌 】
김애령, 남미애, 노병일, 박수경, 윤경아, 이윤화, 조성혜. 2001
여성복지론 서울: 대학출판사
남인순. 1999a. “가정과 여성복지 - 주요 흐름과 향후과제”. 월간 복지동향 12월 :33-37
남인순. 1999b. “갈길 먼 여성인권”. 월간 복지동향 5월 :10-14
박래영. 1997. 대만 싱가포르의 근로자 복지제도: 주택 교육제도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박봉정수. 2000. “모성보호비용의 사회분담화 그리고 가정과 직장의 양립지원조치.”
월간복지동향 11월: 33-34
심명. 2000. “육아휴직-우리의 미래를 위한 투자입니다.” 월간 복지동향 9월: 34-36
통계청. 2000. “2000년 한국의 사회지표.”
http://www.nso.go.kr/report/-data/ssin2000...
통계청. 1999. “1998년 사회통계조사 주요결과(요약): 가족복지노동 부문.”
http"//www.nso.go.kr/report/data/ssss99.htm.
통계청. 1997. 한국의 사회지표 1997. 서울: 통계청.
Alock, P. 1997. Understanding Poverty (2nd ed.) London: MacMillan.
Andersen, M.L. 2000. Thinking about Women: Sociological Perspectives on Sex and Gender (5th ed). Needthem Heights, MA: Allyn and Bacon. 2000.
Arnold, J., C. L. Cooper, and I. T. Robertson. 1995. Work Psychology: Understanding Human Behaviour in the Workplace (2nd ed).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12.26
  • 저작시기201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95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