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집과 공간문화 : 한옥답사 보고서 - 아산 외암(外巖)민속마을, 회덕 동춘당(同春堂)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인의 집과 공간문화 : 한옥답사 보고서 - 아산 외암(外巖)민속마을, 회덕 동춘당(同春堂)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한국인의 집과 공간문화

한옥답사보고서


1. 아산 외암[外巖]민속마을
외암마을입구
외암마을 지리적분석
가옥특성
외암마을 전체적 분석

2. 회덕 동춘당[同春堂]
다양한 기와무늬
별당의 의미
한옥에 대한 앞으로의 방향성

본문내용

1. 아산 외암[外巖]민속마을

 언제부턴가 집이라는 공간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집을 통해 문화를 바라본다는 사실을 알게된 후, 집을 보면 그 안에 숨겨져 있는 많은 배경들이 궁금해지곤 했다. 한옥은 단순히 우리나라의 전통 가옥이라는 정의를 떠나서 우리나라의 문화를 담고 있고 선조들의 소소한 지혜와 옛 정들을 담고 있는 시대의 결정체이다. 공간 속에 숨겨져 있는 의미들을 파악하면서 한옥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꼭 그 시절로 돌아가 ‘어떻게 하면 더 시원한 공간을 만들까?’, ‘어떻게 하면 더 친근하게 어울릴 수 있는 집을 만들까?’라며 골똘히 고민하는 우리 선조들이 된 것 같은 기분이 든다.

 어릴 적 날씨가 좋으면 부모님과 함께 집 근처에 있는 외암민속마을로 소풍을 갔었다. 빽빽하게 들어선 아파트 단지에서 지내다가 이따금씩 찾아가게 되는 한옥마을은 어린 마음에도 크게 자리잡을 정도로 인상 깊었다. 입구에 들어서면 나지막한 담벼락들과 완만한 지붕곡선들이 나를 포근하게 해준다는 느낌이 들었다.

                        ≪ 사 진 ≫
                       <외암마을 입구>




≪ … 중 략 … ≫




2. 회덕 동춘당[同春堂]

                        ≪ 사 진 ≫
                  <동춘당공원 입구와 동춘당 정원>

 대전으로 이사를 간 후 집 앞 공원 동춘당이 문화유적지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동춘당은 조선 중기 송준길선생이 자신의 호를 따서 지은 별당이다. 동춘당 공원을 돌아보면 각각 독립된 한옥건물들을 찾아볼 수 있다. 동춘당 공원 안에 동춘당이라는 별당과 그 주변에 사랑채와 안채 사당 등이 독립되어 세워진 것이다.
 동춘당은 조그마한 팔작지붕의 기와집이고 온돌방 2칸에 대청 4칸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같이 건물의 균형과 주위환경과의 조화를 중요시하는 부분은 조선시대 별당건축의 한 유형이라 한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4.03.09
  • 저작시기2013.5
  • 파일형식기타(docx)
  • 자료번호#9073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