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발달단계와 여가행동] 여가와 가족생활주기, 여가와 생활만족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간발달단계와 여가행동] 여가와 가족생활주기, 여가와 생활만족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인간발달의 단계

Ⅱ. 인생의 네 가지 주제들

Ⅲ. 가족생활주기와 여가
1. 여가행동 예측
2. 여가의 역할과 정체성
1) 준비기
(1) 개인적 정체성 추구
(2) 사회적 정체성 개발
(3) 정체성 형성과 학생
(4) 구혼기간
2) 확립기
(1) 독신과 생활투자
(2) 결혼
(3) 취학전 부모
(4) 중간확립 단계
(5) 가족과 여가관계
(6) 출가와 두 번째 변화
3) 재결합기
(1) 탈부양기
(2) 퇴직이전기
(3) 퇴직기
(4) 고독생존기

Ⅳ. 여가와 생활만족도
1. 생활양식의 개념
2. 여가와 생활만족도
1) 생활만족도의 개념
2) 여가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3) 한국인의 여가생활 만족도

본문내용

생활만족도는 주관적이며 철학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조사 분석을 통해서도 재인의 경제적 행복, 정신적 신체적 건강, 기타 요인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나, 개인의 정신적 행복과 같은 생활만족을 정량적 질적 요인을 평가하는 데는 주관적인 도구가 필요하다.
생활만족도라는 개념을 최초로 사용한 뉴우가텐 등에 의하면, 생활만족이란 매일의 생활을 구성하는 활동으로부터 기쁨을 느끼며 자신의 생활에 대해 의미와 책임감을 느끼고, 자신의 목적을 성취하였다고 느끼며, 긍정적 자아상을 지니고 자신을 가치 있다고 여기고, 낙천적인 태도와 감정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따라서 생활만족도나 행복에 관한 연구결과를 보면, 개인이 지적요인과 정서적 반응을 포함하여 그의 생활을 얼마나 긍정적인 방식으로 경험하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2) 여가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여가참여는 생활만족 또는 행복의 변수에 의해서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그 반대일 수도 있다. 사실상 여가는 개인의 일상 생활적 행복에 기여하는 중요한 구성요소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리들이 매일 수면, 식사, 가사, 그리고 단조로운 노동환경에 몰입하게 되지만, 이것들이 우리들의 행복이나 즐거움을 반드시 향상시켜 주지는 않는다. 그러한 활동들을 하지 않을 때 생활만족도가 더욱 악화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내적으로 동기 되거나 종종 자유로이 선택되는 여가활동이 즐거움의 기회를 더 많이 주며 생활만족을 향상시켜 주는 것이다. 보통 생활만족이나 행복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상당히 많다. 이에 대해 에딘톤(Edignton) 등은 이를 주관적 변수와 인구통계적 변수, 그리고 심리적 차원으로 나누고 있다.
첫째, 주관적 변수(subjective variables)에는 자기존경, 자아만족, 생활기준(standard of living), 가족생활, 노동, 정신적 및 육체적 건강, 커뮤니티, 무드(mood), 거주지, 신체적 매력성, 그리고 여가가 포함되고 있다. 둘째, 인구통계적 변수(demographic variables)에는 소득, 연령, 성, 인종 및 민족, 고용, 교육수준, 결혼과 가족이 포함되고 있다. 그리고 심리적 차원으로는 사회적 접촉, 성격, 창조성, 활동 등을 들고 있다. 이들 변수의 요인들은 여가경험 자체에서도 연구될 수 있다.
이소 아홀라(Iso-Ahola)는 여가와 생활만족도간에는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존재하고 있음을 밝힌 바 있다. 켈리(John R. Kelly)는 생활만족도의 결정요인으로 자기표현, 동료애(companionship), 통합, 건강, 휴식과 기분전환, 새로운 사람의 접촉, 자연과의 접촉, 가족관계 등 여덟 가지를 제시하고 있는 바, 이 가운데 휴식과 기분전환이 여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이다.
연령별로 여가와 생활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결과, 생활만족도에 크게
영향을 주는 활동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행과 문화적 활동은 45-55세
연령층에서 가장 중요한 만족요인이다. 둘째, 사회적 문화적 그리고 관광활
동은 55-64세의 연령층에서 가장 중요한 만족요인이다. 넷째, 사회적 및 여행
은 65-74세의 연령층에서 가장 중요한 만족요인이다. 넷째, 가정중심적이고
가족간 활동은 75세 이상의 노인들에게 가장 중요한 생활만족요인이 되고 있
다. 따라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가족간의 여가활동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
할 수 있다.
한편, 생활만족도에 대한 여가와 노동의 기여도에 대한 조사결과, 다음의 세 가지 가설이 논의되고 있다. 그 하나는 사람들의 노동이 여가에 파급되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둘째는 사람들은 노동의 불만족을 보상받기 위하여 여가를 이용하게 되며, 그 반대의 경우도 있을 것이다. 셋째는 노동과 여가는 생활만족도와 관련하여 서로 아무런 관계가 없을 것이다. 연구결과, 노동과 여가는 서로 파급효과를 줄 수 있을지라도 생활만족도에 대한 영향 면에서 노동과 여가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반대로 다차원적이고 아주 복잡한 생활의 여러 측면을 고려할 경우, 노동과 여가 그리고 생활만족도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여가는 커뮤니티생활에 만족의 영향을 준다. 알렌(Allen)과 비아티(Beattti)는 커뮤니티생활의 만족도를 결정하는 차원을 여가를 포함하여 일곱 가지를 설정하고, 그중 경제적 차원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밝혀냈으며, 여가는 다섯 번째로 중요한 차원이었다고 제시한다. 그러면서 여가는 커뮤니티 생활의 전반적인 만족도를 가장 잘 예견해 주는 요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따라서 여가활동에의 충분한 참여는 커뮤니티생활의 행복에 대한 개인의 지각에 강력하게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3) 한국인의 여가생활 만족도
한국노동연구원은 1998년과 1999년 2회에 걸쳐 생활만족도를 조사한 적이 있다. 이 조사항목 중의 하나는 생활만족도로서 생활만족도의 영역을 생활전체/전반, 가족의 수입, 가족관계, 여가활동과 주거환경 등 5가지로 구성하였다.
두 번에 걸친 조사결과 만족도의 수준에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이 가운데 가장 만족도가 높았던 가족관계(5점 만점중 3.7점)였으며, 다음으로 주거환경(3.1점), 생활 전체/전반(2.9점), 여가활동(2.8점), 가족의 수입(2.6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가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이하로 나타났으며, 고 연령대보다는 저 연령층, 저학력보다는 고학력 수준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이 조사의 구성에서 노동 또는 직장에 대한 만족도가 빠져 조사설계에 약간의 문제가 있기도 한다.
2차 연도 생활만족도 조사에서 생활 전체/전반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2.9점으로 보통 정도의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다. 가족관계에 대한 만족도는 3.7점으로 응답자의 64.3%가 가족관계를 만족스럽게 여기고 있다. 반면 가족의 수입에 대한 평균 만족도는 2.6점으로서 다른 생활만족도에 비해 대체로 점수가 낮은 편이며, 가족의 수입에 만족한다는 응답자의 비중은 13.5%에 불과하다.
여가활동과 주거환경에 대해서는 평균만족도가 각각 2.8점, 3.1점으로 보통(3.0점)에 근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천자료

  • 가격3,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4.03.25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95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