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역사] 조선시대 집(주택) 역사 - 조선시대 주택의 정의 및 배경, 양반주택(상류주택)과 서민주택의 종류와 유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건축역사] 조선시대 집(주택) 역사 - 조선시대 주택의 정의 및 배경, 양반주택(상류주택)과 서민주택의 종류와 유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조선시대 주택의 정의 및 배경
 1) 조선시대 주택형성의 요인
  (1) 가사제한(家舍制限)
  (2) 유교사상(儒敎思想)
  (3) 풍수지리(風水地理)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
 2) 조선시대 주택의 분류
  (1) 계층적 분류
  (2) 지역적 분류
  (3) 형태나 재료에 따른 분류

2. 양반주택(상류주택)
 1) 내외법과 주택과의 관계
  (1) 사랑채
  (2) 안채
 2) 조경의 특성들
 3) 대청의 정의

3. 서민주택
 1) 주택의 종류
  (1) 굴피집
  (2) 너새집
  (3) 초가집
 2) 지역별 주택의 유형
  (1) 남부 지방 
  (2) 중부 지방
  (3) 북부 지방

참고문헌

본문내용

전면은 토방 그대로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곳에 따라서는 평상을 붙여서 퇴로 쓰기도 한다.
전라남도 벌교는 앞에서 설명한 유형에 속하는 가옥이나, 큰방 앞에 퇴를 붙이고 뒤쪽에 부엌방을 두어 매우 오밀조밀한 평면을 구성하고 있다.
② 경상도
경상도의 일반적인 서민가옥은 다른 지방의 그것과 평면구성이 매우 흡사하여 一자형 평면에 부엌과 두 개의 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며, 방 전면에 퇴가 붙기도 하나 이것이 없는 경우도 적지 않다.
경상남도 남해군은 이 지방 서민가옥의 표준형이라고 할만한 것이다. 다만 작은방 옆에 부엌을 붙이고 이곳을 헛간으로 같이 쓰는 것이 조금 다르다. 해안이나 도서지역에서는 반농반어의 생업을 영위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어구나 농기구를 넣어둘 수장공간의 필요성이 다른 지역에 비하여 절실하기 때문에 이러한 공간이 생겨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2) 중부 지방
① 경기도
경기도 지방의 서민가옥 중에는 각 한 칸씩의 부엌과 방으로 이루어진 일자 2칸집이나, 부엌에 툇마루를 붙인 3칸툇집이 없지 않으나, 이보다 보편적인 것은 ㄱ평면으로 구성된 ㄱ자 집이라고 하겠다. 한편, 중류가옥에는 ㄷ자 집이 제일 많으며, 상류가옥이 되면 튼ㅁ자집이 주류를 이룬다. 옹진군 용유도(龍遊島)에도 ㄷ자집과 튼ㅁ자집이 주류를 이루며, 이와같은 사정은 같은 군의 덕적도도 비슷하다. 그러나 같은 옹진군에 속하면서도 연평도 · 백령도 · 대청도 · 소청도 일대에는 겹집이 압도적으로 분포하는바 이들은 황해도 겹집의 영향을 입어 생겨난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경기도의 평야 및 도서에는 ㄱ자집 · ㄷ자집 · ㅁ자집이 압도적으로 많고, 일부 산간과 도서지방에는 田자형 겹집이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② 강원도
강원도에는 우리 나라의 거대한 산맥 중의 하나인 태백산맥이 북에서 남으로 뻗어 내려 있어 대부분이 산간지대로 이루어졌으며, 따라서 가옥도 산간지대 특유의 여러 가지 특성을 지니고 있다. 강원도의 가옥이 지닌 가장 뚜렷한 특징 중의 하나는 평면의 구성이 북부지역 가옥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는 田자형을 거의 그대로 답습하고 있는 점이다. 그리고 산간지대에만 분포하는 귀틀집과 이에 시설된 고콜이나 '화투'와 같은 원시적인 잔존물이 존재하며, 지붕을 너와 · 굴피 · 새와 같은 특수한 재료로 덮은 점을 덧붙일 수 있다. 귀틀집이나 고콜 · 화투 그리고 너와나 굴피 · 새 등은 이 지역 특유의 시설이나 재료라고는 할 수 없으나 이것들은 산간지대에서 찾아볼 수 있는 특이한 문화요소이고, 더구나 최근에까지 강원도에만 남아 있었으므로 이들을 이 지역 가옥의 한 특징으로 다루어도 큰 잘못이 없을 것이다.
(3) 북부 지방
① 평안도
평안도에는 二자형 평면으로 구성된 가옥이 가장 많으며, 이밖에 一자형과 ㄱ자형이 있고, 전형적인 북부형 가옥이라고 할 수 있는 田자형이 산재하며, 드물기는 하지만 ㅁ자형의 또아리집도 보인다. 이들의 분포지역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또아리 집은 평안남도의 남부와 대동강 연안의 이북지역에 나타나며, 田자형은 평안북도의 낭림산맥의 북단 좌우측인 자성군 · 회창군 · 위원군 · 초산군 등지의 산간지대에 집중적으로 분포한다. ㄱ자형은 평안남도 북대봉산의 서남쪽인 성천군 · 덕천군 일대에, 그리고 一자형은 평안남도의 평야지대인 대동군과 강동군 일대, 그리고 평안북도의 삭주군과 같은 평안북도의 서남쪽 평야지대인 선천군·철산군 등지에 산재한다.
② 함경도
이 지방 가옥이 지닌 평면구성의 특징을 들어보면 그림에서 보는 것과 같이, 첫째 집 중앙부에 정주간이라는 생활공간을 두고, 둘째 이를 중심으로 좌우양쪽에 田자와 日자가 되도록 방을 두 줄로 배치한 점이다. 이러한 유형의 가옥을 두줄박이집, 양통형지, 전자집이라고 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런데 방을 이처럼 두 줄로 배치하는 것은 벽을 서로 공유함으로써 열의 손실을 막아 보온을 유지하려는 의도가 작용한 결과이며, 이 지방 가옥이 북부형이라고 호칭되기도 하는 것은 이에 연유한다. 한편, 외양간과 방앗간을 몸채 안에 둔 집을 강원도의 일부에서도 볼 수 있지만 전형을 이루고 있는 곳은 이 지방뿐이므로 이를 특징의 하나로 꼽을 수 있을 것이다. 정주간은 통간이며 마당과 정주간 사이에는 벽이 없이 터져 있어 한 공간을 이룬다.
참고 문헌
김동욱 저, 한국건축의 역사, 기문당 2013
서영두 저, 한국의 건축 역사, 공간출판사 2004
전봉희, 권용찬 저, 한옥과 한국 주택의 역사, 동녘 2012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06.23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56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