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의 원형으로서의 무가 (문학과 구비문학, 구비문학의 원형을 이루는 무가, 무가의 특징, 무가의 담당층 - 무당의 개념과 분류, 무가의 갈래, 무가의 범위에 대한 논의, 무가의 세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비문학의 원형으로서의 무가 (문학과 구비문학, 구비문학의 원형을 이루는 무가, 무가의 특징, 무가의 담당층 - 무당의 개념과 분류, 무가의 갈래, 무가의 범위에 대한 논의, 무가의 세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 문학과 구비문학, 구비문학의 원형을 이루는 무가.

2. 무가의 특징
 1) 전승의 제한성 - 담당층의 특수성
 2) 구연의 제한성 - 무속의례에서만 연행
 3) 신성성
 4) 제술성
 5) 종합 예술적 형태

3. 무가의 담당층 - 무당의 개념과 분류
 1) 강신무
 2) 세습무

4. 무가의 갈래
 1) 서사적 유형의무가
 2) 전술적 유형의 무가
 3) 서정적 유형의무가

5. 무가의 범위에 대한 논의

6. 무가의 세계
 1) 일반신 본풀이
 2) 당신 본풀이
 3) 조상신 본풀이

7. 무가, 어떻게 볼 것인가.

8. 맺는 말

본문내용

할망 본풀이-산육신의 유래
초공 본풀이-무조신의 내력담
이공 본풀이-출화신의 유래
삼공 본풀이-직업신의 내력담
세경 본풀이-농경과 목축을 관장하는 신의 유래
차사 본풀이-저승 차사인 강림의 내력담
명감 본풀이-수복신의 내력담
지장 본풀이-지장신의 유래
문전 본풀이-문신의 내력담
칠성 본풀이-칠성의 유래
마누라 본풀이-마마신의 내력담
이처럼 유기적인 체계와 구성을 가지고 있는 일반신 본풀이에서는 주재신의 근본을 풀어서 그 신이 어떻게 하여 그 기능을 수행하게 되었는가를 해명하려고 하면서, 이를 지배하고 통제하려고 하였다.
2) 당신 본풀이
당신 본풀이는 각 마을의 수호신인 당신의 내력담이다. 당은 마을굿을 하는 신당을 말하는데, 이러한 당신 본풀이는 그 마을 안에서만 전승되는 독자성 즉, 지역적 특수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교재에서는 서귀포 본향당 본풀이를 소개하고 있는데, 이것은 일문관 바람운님이 서귀포 본향당의 신당으로 좌정하기까지의 과정이 서술된 신화로, 그 내용은 지극히 인간적인 모습을 담아내고 있으면서, 마을 사람들의 생활과 사상이 반영된 귀천의식과 같은 사회적인 요인, 그리고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제주도의 당신 본풀이가 주목되는 것은 그것이 매우 다양한 내용과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 나라 당신의 다양성을 한눈에 알수 있게 해주는 제주도의 당신 본풀이는 제주도 본풀이의 요체라고 할 수 있다.
3) 조상신 본풀이
조상신 본풀이는 일월 조상 집안 또는 일족의 수호신으로서의 조상으로 혈연조상과는 다르다. 제주도에서 지내는 조상신 본풀이는 일월조상을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혈연 조상과는 엄밀히 구분하고 있다.
의 내력담을 가리킨다. 여기서는 뱀을 수호신으로 받드는 조상신 본풀이를 수록되어 있는데 예문에서 조상신 본풀이가 혈연 조상이 아닌 신앙의 대상을 공통의 조상으로 삼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7. 무가, 어떻게 볼 것인가.
국문학개론을 이 장을 「무가 연구를 위한 제언」이라는 소제목으로 다루고 있다. 무가연구는 민족문화의 형성을 재구하고, 문학의 원형을 찾고, 우리 조상들이 가졌던 의식구조의 해명에 그 연구 가치가 있다. 우리는 무가에 대한 소기의 성과를 거두기 위해, 북방 아시아와 한국 무가의 비교를 통해 한국 무가 장르가 가지는 보편성과 특수성을 밝히고 이것이 민족의 역사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를 구명해야 한다.
8. 맺는 말
지금까지 구비문학의 원형으로서의 무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서론에서는 문학과 문학의 갈래, 그리고 구비문학의 중요성을 상기시키는 가운데 특히 무가를 주목하여 설명하였고, 본론을 6단락으로 나누어 각각에서 무가의 개념, 특징, 담당층, 갈래, 범위, 무가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서사무가 중에서도 제주도 본풀이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무가 연구 가치와 그에 대한 제언을 하는 것으로 마무리 지었다. 무가와 무속은 다르다. 무가가 구비문학의 범주에서 다루어진다고 한다면 무속은 민속학의 범주에서 다루어지는 학문이다. 따라서 무가를 공부함에 있어서 그 뿌리와 줄기가 뻗어 나가는 모양을 주시하여 그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유의하면서 무가에 대한 관심을 더욱 촉구해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국문학개론』 김광순 외. 2003. 새문사 p.243-259
『한국구비문학개론』 김태곤 외. 민속원 2003
『한국의 무속신화』 김열규 외 공저. 1998. 박이정 p.83-121
『경기도의 굿』 하주성. 1999. 경기문화재단. p.316-317
『동해안별신굿』 이균옥. 출판사 박이정
『굿 영혼을 부르는 소리』 사진 김수남. 열화당. 2005, p.14-17
『한국문학통사1』 제4판 조동일. 지식산업사. 2005.
『한국현대문학사1』 권영민. 민음사. 2003.
『한국 민속학 개론』 최운식 외 공저. 2004. 민속원.
『한국의 굿』 문무병 외 6명. 민속원. 2003. p12-14, 16-25, 159-162
『제주도 무속과 서사무가』 장주근. 도서출판 역락. 2001. p.52-60, 63-65, 73-82, 164-166, 239-242, 244
『韓國의 굿』-서울인천경기편- 이선주. 민속원. 1996. p.68-69, 125, 167-168
『무가문학연구』 이경업 박이정 1998
참고 사이트
낙동민속보존회, www.nakdong.org
한국의 굿 http://good.culturecontent.com/05/ea/sub_01.asp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07.01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70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