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실습) 호흡기계 체크리스트 문헌고찰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실습) 호흡기계 체크리스트 문헌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이 아래에 베개를 두개 정도 대줌
→ 등의 중간부분을 타진하고 진동시킴 (양측하엽상구의 배액을 도움)
⑤ 하지부분을 30도 상승시키고 좌측위(우측위)로 누음
→ 무릎사이에 배개끼우고 위쪽팔을 머리위로 들어 올림
→ 하부늑골이 있는 겨드랑이 부위를 타진하고 진동
→ 우측하엽전폐전구의 배액(좌측하엽전폐저구의 배액-우측위)을 도움
4) 기침 : 분비물을 폐로부터 제거하기 위함
① 대상자를 좌위로 취한 후 상체를 약간 앞으로 숙이고 무릎을 구부림
② 복부에 작은 배개를 대거나 손으로 지지하면 호기압을 높일 수 있음
(절대부위 긴장을 감소시켜 효과적인 기침을 하게함)
③ 느리고 깊게 숨을 두 번 쉼-이때는 코로 들이쉬고 입으로 내쉼
④ 세번째로 깊게 숨을 들이 마신 후 숨을 참고 셋까지 센 다음 두 번에서 세 번 정도 깊게 기침을 하며 기침을 하는 중간에 숨을 들이쉬지 않도록 함. 이때 강하게 공기를 폐 밖으로 몰아내도록 함
⑤ 분비물이 많은 경우 더 자주 심호흡과 기침을 하도록 격려
6. Chest drainage(흉관배액) : 흉막강 내 비정상적으로 존재하는 공기 또는 체액을 제거하고 폐가 재팽창될 수 있도록 흉강내 압력을 정상화시키기 위한 시술이다.
1) one bottle system : 공기만 배액하는 경우에만 사용한다. 환자의 흉막강과 연결된 긴 관(A)을 통해 밀봉병으로 들어온 공기는 물에 닿으면서 기포를 형성한다. 기포가 된 공기는 다시 수면 밖으로 나와 대기 또는 흡인기로 연결된 관을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한 번 환자에게서 빠져나온 공기는 다시 물을 거슬러 환자에게 되돌아갈 수 없으므로 밀봉병은 일방향 밸브역할을 하게 된다.
2) two bottle system : 공기 외에 혈액 또는 삼출액과 같은 체액을 함께 배액할 목적으로 사용한다. 체액은 환자의 흉막강과 연결된 긴 관을 통해 수집병에 모아지고 공기는 수집병을 거쳐 밀봉병으로 이동한다. 밀봉병으로 들어온 공기는 물에 닿으면서 기포를 형성하고 기포가 된 공기는 다시 수면 밖으로 나와 대개 또는 흡인기로 연결된 관을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3) three bottle system : 흡인되는 압력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지 못하도록 흡인조절관을 이용하여 일정한 음압을 적용하기 위해 사용한다. 흡인조절관에는 일반적으로 20cm 높이의 물을 채우고 밀봉병에는 5cm 높이의 물을 채워 두 물높이의 차인 15cmH2O의 음압이 유지되도록 한다. 15cmH2O이상의 흡인력이 발생하면 대기중에 노출된 관을 통해 대기중의 공기가 물속에서 기포를 형성하여 환자의 흉막강 내 공기와 체액의 흡인을 중단시키기 때문에 일정한 음압을 유지할 수 있다.
7. 흡인간호 : 생명유지에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할 기도유지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하다. 분비물이나 구토물 등으로 인해 기도유지가 되지 않을 경우, 고농도의 산소를 공급하더라도 그 효과를 보기가 어려워 즉시 분비물을 제거하여 기도를 유지한다.
1) oral & nasal(구강,비강)
- 손을 씻은 후 물품을 준비하고 환자 확인
-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 후 적절한 체위 유지(무의식 환자의 경우에는 측위에서 간호사의 얼굴을 마주 보도록 한다. 이 체위는 환자의 혀를 앞으로 내밀 수 있으며 인두로부터 분비물읠 배출을 돕고 분비물이 폐로 흡인되는 것을 방지한다/의식이 있는 환자의 경우 구강인두 흡인시 반좌위에서 목을 옆으로 돌린다.)
- 분비물의 양이 많을 경우 베개 위나 환자의 턱 밑에 타월을 준비해두고 흡인 전 청진 및 흉부 두드리기 시행함
- 흡인기를 작동시켜 기능이 정상인지 확인
- 멸균 흡인세트의 bowel에 n/s를 부어둠
- 장갑을 끼고 흡인 카테터를 오염되지 않게 꺼내어 흡인기에 연결하여 흡인기의 압력 조절
(성인:110~150mmHg / 아동:95~110mmHg / 영아:50~95mmHg)
- 삽입할 길이를 정하여 장갑 낀 손으로 위치를 표시(환자의 코에서 귓불까지 약 13cm)
- 마찰을 감소시키고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흡인카테터의 끝을 n/s에 적심
- 흡인카테터의 조절구멍을 열고 부드럽게 구강 또는 비강에 삽입함
- 흡인 조절구멍을 손가락으로 막고 부드럽게 흡인카테터를 돌려 빼면서 분비물을 제거
(흡인카테터가 기관벽에 닿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조직손상을 예방하고 1회 흡인시간은 15 초를 초과하지 않도록 해야함)
- 흡인카테터에 진한 분비물이 묻어 있으면 거즈로 닦아내고 생리식염수로 통과시킴
- 기도의 분비물이 제거될 때까지 반복해서 시행하며, 흡인시간이 5분을 넘지 않도록 함
- 흡인세트 bowel속의 남은 생리식염수를 흡인 카테터로 전부 흡인시킴
- 흡인조절기를 끔
- 필요시 구강이나 비강 간호를 실시하고 환자의 상태를 확인
- 사용한 물품을 정리하고 손을 씻음
※ 추후간호
a. 호흡사정에서 나빠진 경우
- 흡인의 시간을 제한
- 흡인의 빈도를 늘리고 한 번 흡인시 기간을 더 짧게 함
- 흡인과 흡인 사이에 산소를 공급하고 추가 산소를 공급
b. 혈액성 분비물이 있을 경우
- 흡인 압력을 줄임
- 간헐적으로 흡인하고 카테터를 돌리면서 흡인하여 압력을 적게 받도록 함
- 흡인 빈도를 평가
- 혈액응고 약물 사용에 대한 평가를 하고 혈액 응고 검사를 함
c. 흡인카테터가 비공을 통과하지 못했을 경우
- 다른 비공에 시도
- 비인공기도를 삽관함
- 점액에 의해 폐쇄되었다면 흡인을 시도
- 윤활제를 충분히 바름
d. 발작적인 기침이 지속될 때
- 산소 공급
- 응급상황이 아니라면 기침이 멈추고 난 다음에 흡인
- 처방에 따라 기관지 확장제나 국소마취제를 투여함
2) nasotracheal(비기관) : 흡인 시 대상자의 불안을 완화하고 협력을 얻기 위해 절차를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상자가 무의식일지라도 흡인을 의식할 수 있으므로 설명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금기가 아니면 침대를 45도 각도로 올리고 흡인하기 전 다량의 산소를 투여하여 흡인하는 동안에 저산소증 발생 위험을 줄인다.
구강흡인과 기관흡인의 원리는 본질적으로 같으나 구강흡인은 청결을 유지하면서 실시하는 반면 비기관, 기관지절개술, 기관내관 흡인은 무균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이 다르다.
  • 가격3,3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4.08.06
  • 저작시기2014.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23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