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철학 및 교육사(Ⅱ)] 조선시대의 교육, 조선후기의 교육사상, 근대의 교육 (조선시대 교육제도, 성리학, 실학, 동학, 과거제, 개화기, 일제, 미군정기의 교육)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철학 및 교육사(Ⅱ)] 조선시대의 교육, 조선후기의 교육사상, 근대의 교육 (조선시대 교육제도, 성리학, 실학, 동학, 과거제, 개화기, 일제, 미군정기의 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조선시대의 교육

 1. 조선의 사회와 문화

 2. 교육제도
  
  1) 관학
   (1) 성균관
   (2) 사학
   (3) 향교
   (4) 잡과교육
 
   2) 사학
   (1) 서원
   (2) 서당
  
   3) 학규
   (1) 경국대전
   (2) 권학사목
   (3) 학령
   (4) 구재학규
   (5) 진학절목
   (6) 경외학교절목
   (7) 학교사목
   (8) 학교모범

 3.과거제도와 교육

 4.국가의 교화정책 
 
 5.성리학과 교육사상
  1) 조선의 성리학과 교육사상
  2) 이황의 교육사상
  3) 이이의 교육사상


Ⅱ 조선후기의 교육사상

 1.실학의 교육사상 
  1) 실학의 성립과 사상적 특징


  2) 교육사상가
   (1) 유형원
   (2) 이익
   (3) 정약용

  2. 동학의 교육사상
   1) 신학제의 수립
   2) 민간인의 교육활동
   3) 선교단체의 교육활동


Ⅲ 근대의 교육

 1.개화기의 교육
  1) 개화와 근대교육의 태동
  2) 신학제의 수립
  3) 민간인의 교육활동
  4) 선교단체의 교육활동

 2. 일제강점기의 교육
  1) 일제의 식민지 교육정책
  2) 제 1차 조선교육령기의 교육
  3) 제 2차 조선교육령기의 교육
  4) 제 3~4차 조선교육령기의 교육
  5) 방정환 교육사상

 3.. 미군정기의 교육


참고문헌

본문내용

Ⅲ 근대의 교육
1.개화기의 교육
1) 개화와 근대교육의 태동
19세기의 조선사회 농민반란, 천주교의 전파, 동학운동의 확산으로 국가의 기강과 질서가 떨어졌다.
운양호사건에 굴복하여 1876년 일본과 강화도조약 맺고 개항을 하게 되었다.
여러 나라와 외교관계를 맺음으로써 서구의 신문화가 본격적으로 유입
동문학 - 영어통역요원 양성을 목적
1883년 묄렌도르프에 의해 설립된 영어교육기관.
육영공원 - 한국정부가 미국의 지원을 받아 1886년 설립한 근대교육기관
영어를 주로 배우면서 수학 자연 과학 역사 정치학 경제학도 배웠다.
2) 신학제의 수립
1894년 갑오개혁을 계기로 본격화
1895년 고종이 홍범14조를 선포 교육입국조서를 내려 근대교육에 대한 국가적 의지를 천명.
1895년 한성사범학교 관제의 제정을 시작하여 초등 중등 고등 전문교육기관으로 대별
1905년 을사조약에 의해 설치된 일제 통감부
우민화정책, 동화정책으로 대표되는 식민지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전초작업을 추진해 나갔다.
3) 민간인의 교육활동
민족 선각자 개화와 자강위한 학교설립 (민족 주체의식을 함양)
1905년 을사보호 조약을 계기로 교육구국운동으로 3000여개의 학교 설립
1907년 안창호가 세운 대성학교 이 승훈이 세운 오산학교 (민족의식이 특히 강함)
4) 선교단체의 교육활동
선교사들은 기독교를 전파하면서 교육사업과 의료사업을 함께 펼침
광혜원- 1884년 알렌 설립(근대식 국립병원)
배재학당- 1885년 감리교파의 선교사 아펜젤러에 의해 시작
영어교습이 중심이지만 한글과 한문 유교경전등이 포함
이화학당- 1886년 감리교파의 선교사 스크랜튼 여사에 의해 시작
한글 찬송가와 성경 등으로 주로 교육을 함. (오늘날의 이화여대)
경신학교- 1886년 장로교파의 선교사 언더우드에 의해 시작
영어와 국어 등의 일반 교과와 함께 성경 찬송 기도 등을 가르침
정신여학교- 1887년 벙커 여사가 한 명의 고아를 데리고 시작한 고아원에서 출발
2. 일제강점기의 교육
1) 일제의 식민지 교육정책
조선에 조선총독부를 설치하고 식민지 통치 (우민화 식민지 교육- 일시동인 내선일체)
우리의 민족의식 민족문화를 말살
2) 제 1차 조선교육령기의 교육
한국인의 일본인화(무단정치)
민족차별 정책 우민화정책의 저의를 나타냄
일본어 교육을 강화
각급학교의 교육연한을 단축함
(보통학교:4년 고등보통학교:4년)
한국인에게는 초등교육에 치중 중등교육은 실업교육을 강화
일본어 교육을 강화하여 보통학교부터 일본어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대부분의 교과서를 일본어로 편찬
3) 제 2차 조선교육령기의 교육
1991년 3.1운동계기로 ‘무단정치’에서 ‘문화정치’로 전환 (일종의 회유정책)
학교의 종류 수업연한을 일본의 학제와 동일 한국인과 일본인의 공학을 원칙
폐지되었던 한국어를 필수과목으로 부과
4) 제 3~4차 조선교육령기의 교육
1938년 미국vs일본 태평양전쟁
내선일체 황국신민화를 내세우며 민족말살정책 강화
사립학교 대한 탄압 본격화
1943년 10월 학병제 실시- 한국인 학생을 전쟁에 동원 (일본과 한국은 한 몸이다.)
1945년 5월 전시교육령 공포- 교직원 학생에 대해 학도대 조직.
5)방정환 교육사상
억압되어진 어린이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며 존중하였다
아동중심 교육사상을 주장한 아동교육의 선구자
최초로 아동문화운동 실시 어린이날 제정
(최초의 어린이날: 5월1일 현재 어린이날: 5월5일)
동요와 그림을 강조했으며 동화의 중요성을 상상력과 연관
어린이를 독립된 하나의 인격체로 보았다
3. 미군정기의 교육
진보주의 교육관: 통합교과 중심교육
휴교상태의 학교를 재 개교
군정천- 교육문제를 심의 결정하는 기구 ‘한국교육위원회’조직
조선교육심의회 를 구성→홍익인간의 교육이념 6-3-3-4의 단선형 학제 채택
아동중심교육과 생활중심교육을 포방하면서 민주교육의 뿌리를 내리고자 함
1946년 6월 국립 서울대학교 창설안을 내놓음
1948년 8월15일 수립되면서 문교부→교육법을 제정하기 위한 기초위원회 구성
1949년 12월에 제정 공포됨(자주적이고 민주적인 교육을 시행하기위한 법적근거마련)
(교육법은 11장 173조로 구성되었다)
참고문헌
신차균, 안경식 외1명 저, 교육철학 및 교육사의 이해, 학지사 2013
강선보(교수) 김정환 외 1명 저, 교육철학, 박영스토리 2014
조경원, 김미환 외3명 저, 교육철학 및 교육사, 교육과학사 2014
신득렬,이병승 외 2명 저 , 쉽게 풀어슨 교육철학 및 교육사, 양서원 2014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08.11
  • 저작시기2014.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34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