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소설’에 나타난 도교(道敎)의 모습 - 도교란 무엇이며, 우리나라의 고전문학에 영향을 준 이유, 고전소설에 나타난 도교의 요소와 모습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소설’에 나타난 도교(道敎)의 모습 - 도교란 무엇이며, 우리나라의 고전문학에 영향을 준 이유, 고전소설에 나타난 도교의 요소와 모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도교란 무엇인가?
(2)도교사상이 우리나라의 고전문학에 영향을 준 이유
(3) 고전소설에 나타난 도교의 요소
  ①신선사상
  ②신비사상
  ③무위자연사상
  ④허무취악사상
  ⑤은일사상
(4) 고전소설에 나타나는 도교의 모습
  ①구운몽
  ②춘향전
  ③금오신화

Ⅲ. 결론

본문내용

이원적 공간구성에서 오는 전기성을 극복하고 현실적 세계로, 실제담 내지 사실을 강조하는 근대소설적 구성을 성공하였다고 하겠다.
③ 금오신화
▶한 때의 부귀영화도 늙어감에는 아무런 소용이 없어진다. 그래서 사람들은 영생을 위한 불로초를 구하고 싶어했다. 이러한 연명 의식은 김시습의 <금오신화>에서도 엿볼 수 있다. <만복사저포기>에서 양생이 연등행사에 참가하여 부처와의 저포놀이에서 이기자 부처가 인연을 맺어 준 여인이 나타나는데 그 여인의 탄식이 ‘인생박명 내여비야’이다. 여인에 의해 노출된 박명에 대한 탄식은 항아무산선녀 등을 통하거나 신선설화와 관계가 있는 인물이나 지명을 언급함으로도 나타낸다. <이생규장전>에서도 이러한 연명의식을 나타나는데, 이생의 부인이 홍건적에게 죽임을 당한 후에 이승으로 환신해서 부부로 살면서 어느 날 저녁 ‘명수불가타야“라며 ’고당일하무산녀‘라고 무산선녀가 될 수 없음을 탄식하고, 천상 인간과 소식이 막힘을 서러워한다. <용궁부연록>에서는 환생이 용궁에 초대받아 연회가 한참일 때 현선생이라는 거북이가 나와 지어 부르는 노래 싯구에서 선악인 단악이 없어도 천년 이상 호흡만으로 장수 할 수 있음을 자랑하는 대목 역시 김시습의 연명의식과 연결된다고 하겠다.
▶<남염부주지>를 살펴보자. 이 작품에서는 도교에 대한 표현이 문면에 직접적으로 나타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 작품을 도교소설이라 하는 이유를 몇 가지 보면 우선 ‘염부주’라는 작품의 배경과 <남염부주지>라는 제목이 도교에서 등장하는 장소이기 때문이다. 또한 작품의 근간이 설화의 유형인데 이는 고전소설의 바탕이 되어 있는 신괴류,, 기억 등의 설화는 거의 도교에서 발생하여 전승된 것으로 본다. 일례를 들면, 어떤 사람이 현세에서 선행을 베푼 덕으로 죽어서 저승의 왕이 되어갔다거나, 승천하여 영생을 얻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그것이다. 따라서 박생이 죽은 뒤에 ‘염부주’의 왕이 된다는 작품의 줄거리는 바로 도교설화에서 온 것이라 할 수 있다.
또 이 작품의 주된 배경은 박생의 꿈 속이다. 이것은 일종은 몽담류로 전기체소설 등 고전소설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형태로, 이것도 도교적 성향을 띤 것이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김시습이 이 작품을 입장에서 썼느냐를 보면, 당시는 유생과 승려는 소설 등의 패관잡기는 입에 담지도 않고, 손도 대지 않는 것이 원칙이여, <금오신화> 같은 신괴소설을 그러한 입장에서 썼다고 볼 수 없고, 그러한 이유로 이 소설이 도교의 관점에서 쓰여졌다 할 수 있다.
Ⅲ. 결론
이상으로 고전문학작품에 나타난 도교적 모습들을 작품들을 통해 살펴보았다. 도교적 색채는 현실에서 이루지 못하는 민중들의 소망들은 작품에서 표현함으로써 갈등해소의 구실을 톡톡히 해내었다고 볼 수 있겠다. 구체적으로 몇몇 고전소설 안에서 나타나는 도교의 모습도 살펴보았는데 「구운몽」에서는 제목을 비롯해 배경과 등장인물에서 도교적 상징을 찾아볼 수 있고,「춘향전」에서는 배경인 광한루를 비롯하여, 춘향과 이몽룡에 대한 설명, 이야기의 전개에서 찾아볼 수 있다. 5편으로 구성된 「금오신화」에서는 각 작품 안에서 김시습의 연명의식과 선계에 대한 동경을 찾아낼 수 있었다. 고전문학작품의 도교사상의 유입은 학문적인 위치로서의 역할 뿐만이 아니라 작품 자체의 질을 한 단게 높였다고 볼 수 있겠다. 도교가 고전작품의 내용을 확대시키고 깊이있게 창작시키게 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이 과제를 자료 찾고 워드 치기에만 급급했던 내 자신을 반성하며 교수님께 죄송스런 마음 여쭈어야겠다. 그러나 이 레포트를 통해 고소설에 존재하는 도교적 모습을 미흡하나마 찾을 수 있었기에 스스로를 위로하며 이 글을 마칠까 한다.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4.08.31
  • 저작시기2014.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56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