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태산의 교육적 삶과 메타교육활동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태산의 교육적 삶과 메타교육활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소태산의 상구활동
1. 소태산의 하화활동

Ⅱ. 메타교육활동의 양상
1. 상구의 상구활동
2. 상구의 하화활동
3. 하화의 상구활동
4. 하화의 하화활동

Ⅲ. 소태산의 메타교육활동
1. 상구의 상구활동
2. 상구의 하화활동
3. 하화의 상구활동
4. 하화의 하화활동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을 당부하고 있다. 십대 제자의 교화한 예를 들어 말한 것은 메타교육활동의 일환으로 ‘과거 역사에서 실제 일어났던 교육적 사건, 인물의 전기, 일화 등 매우 구체적인 교육적 사실을 들어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 단순히 ‘비유, 이야기 등과 같은 가상적이고 가공적인 예’를 드는 것과는 다르다. 교화하는 방편 또한 직접 꾸짖는 것이 아닌 ‘존우’의 정신, 스스로 깨닫게 단지 촉진적인 작용만을 용의주도하게 시도하는 ‘원조’의 정신에 바탕을 둔 교화를 펼치고 있다. 대중을 인도하기 위해서는 소크라테스의 ‘무지의 가장’을 연상시키는 듯 일부러 본색을 감추는 것으로 전형적인 ‘원조’의 원리를 따르는 하화를 보이고 있다.
참고문헌
1. 소태산 관련 문헌
박상권(1993). 소태산의 최초 법어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박희종(2003). 소태산의 「사실적 도덕의 훈련」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원불교교정원총무부 편(1996). 『원불교 헌규집』. 익산: 원광사.
원불교정화사 편(1977). 『원불교 전서』. 익산: 원불교출판사.
이공전(1982). 『대종경선외록』. 익산: 원불교출판사.
한정석(1999). 『원불교 정전 해의』. 서울: 도서출판 동아시아.
한정석(2004). 『사은은 얽혀 있다』. 익산: 원불교출판사.
2. 일반 참고문헌
김지현(2003). 교섭을 위한 교육적 지식의 수준 조절 원리. 『교육원리연구』, 8(1), 31-76. 교육원리연구회.
노희관 이용남 편(2000). 『교육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서울: 교육과학사.
박분희(2003). 가정에서의 메타교육. 『교육원리연구』, 8(1), 1-29. 교육원리연구회.
백승균 역(1993). 『인식의 해석학』. 저자 Bollnow. 서울: 서광사.
신기현(2002a). 칼 로저스의 교육적 삶과 메타교육. 『교육원리연구』, 7(1), 133-164. 교육원리연구회.
신기현(2002b). 메타교육의 관점에서 본 칼 로저스의 교육적 삶 : 한국 교육개혁에의 시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엄태동(1990). ‘갈매기의 꿈’에 나타난 가르침과 배움의 구조분석. 서울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이돈희 편역(1994). 『죤 듀이』.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이봉익 외(2000). 『교육학에의 초대』. 서울: 도서출판 원미사.
이성진 편(1994). 『한국교육학의 맥』. 서울: 나남출판사.
이영길(2000). 메타교육의 관점에서 본 장학의 교육적 관계 분석. 노희관 이용남편. 『교육학의 새로운 패러다임』(pp.195-211). 서울: 교육과학사.
이용남(1997). 한국 교육학의 두 전형비교. 『교육원리연구』, 2(1), 97-110. 교육원리연구회.
이용남 편(2002). 『교육학과 교육 : 교육학의 현황과 미래』. 서울: 교육과학사.
이용남(2004). 현행 한국 교육학의 성격과 문제점 분석. 『교육원리연구』, 9(1), 251-270. 교육원리연구회.
이정연(2004). 퇴계 이황의 교육적 삶과 메타교육. 『교육원리연구』, 9(1), 213-249. 교육원리연구회.
이희재 역(1999). 『몰입의 즐거움』. 저자 Csikszentmihalyi. 서울: 해냄출판사.
장상호(1991a). 교육학 탐구영역의 재개념화. 『교육학연구』, 91-2.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
장상호(1991b). 『Piaget 발생적 인식론과 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장상호(1994a). 교육은 결국 교육에 의해서 개혁되어야 한다. 『교육개발』, 87, 10-13.
장상호(1994b). 『Polayni : 인격적 지식의 확장』. 서울: 교육과학사.
장상호(1994c). 또 하나의 교육관. 이성진 편. 『한국교육학의 맥』(pp.291-326). 서울: 나남출판.
장상호(1997a). 『학문과 교육(상) : 학문이란 무엇인가』.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장상호(1997b). 교육의 재개념화에 따른 10가지 새로운 탐구영역, 『교육원리연구』, 2(1), 111-212. 교육원리연구회.
장상호(1999). 교육적 반전의 내재율에 비추어 본 고대희랍의 교육삼대. 『교육원리연구』, 4(1), 1-62. 교육원리연구회.
장상호(2000a). 『학문과 교육(하) : 교육적 인식론이란 무엇인가』.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장상호(2000b). 사대스승의 메타교육. 『교육원리연구』, 5(1), 49-127. 교육원리연구회.
장상호(2002). 교육적 관계와 교육공동체에 관한 소고. 『교육원리연구』, 7(1), 1-40. 교육원리연구회.
정연희(2002). 아함경에 나타난 교육적 관계의 형성과정. 『교육원리연구』, 7(1), 67-108. 교육원리연구회.
최성욱(2004). 교사-학생 관계의 비판적 고찰. 『교육원리연구』, 9(1), 1-45. 교육원리연구회.
Chang, S. H. (1998). Epistemological significance of educational relationship, Socials Korean Science Journal. 25(1), 21-61.
Csikszentmihalyi, M. (1997). Finding flow. New York: Brockman.
Dewey, J. (1963). Experience and education. New York: Collier Books.
Kuhn, T. S. (1970).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eters, R. S. (1966). Ethics and education. London: George Allen & Unwin Ltd.
Rorty, R. (1989). Contingency, irony, and solidarit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Vygotsky, L. S.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4.10.14
  • 저작시기201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12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