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포드, 가드너, 스텐버그의 지능에 관한 이론배경을 정리 하고, 특수한 학습자(학습부진아, 학습장애, 영재아 등)를 정하는 우리나라의 정부 기준에 관해 기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길포드, 가드너, 스텐버그의 지능에 관한 이론배경을 정리 하고, 특수한 학습자(학습부진아, 학습장애, 영재아 등)를 정하는 우리나라의 정부 기준에 관해 기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길포드, 가드너, 스텐버그의 지능에 관한 이론배경
1) 길포드 지능구조 이론에 관한 이론배경
2) 가드너 다중지능 이론에 관한 이론배경
3) 스텐버그 삼원지능 이론에 관한 이론배경

2. 특수한 학습자를 정하는 우리나라의 정부 기준
1) 교실현장에서 교사가 영재와 일반아동을 구분하여 지도할까? 만약 구분하여 지도한다면 어떤 방법을 적용할까?
2) 정규교과 학습에 영재 이외의 특수한 학습자를 포함하는가? 그렇다면 어떤 학생이 있는가?
3) 교실현장에서 특수한 학습자가 정규교과 학습에 포함되지 않는다면 왜 그럴까? 만약 그렇다면 어떤 교육 방법의 적용을 통해 정규 교과교육에 함께 할 것인가?

3.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는 것이다.
3. 나의 의견
인간의 지적 능력은 오랫동안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 그러던 중 과학의 발달과 더불어 추상적이고 철학적인 논의의 대상이었던 인간의 지적능력은 측정이 가능한 IQ(intelligence quotient)의 개념으로 일반화되기 시작했다. 1904년에 파리의 교육부 장관은 프랑스 심리학자인 알프레드 비네(Alfred Binet)와 그 동료들에게 초등학교의 아동들 중학교 공부에서 실패할 위험이 있는 아동을 찾아내고 또 그들에게 교정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 달라고 요청한 결과 최초의 지능검사가 나오게 되었다. 그 몇 년 후에 이 지능검사는 미국으로 도입되어 널리 확산되었다. 또 객관적으로 측정되어 단일 지수 혹은 IQ점수로 환산할 수 있는 소위 ‘지능’이라는 말이 널리 퍼지게 되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이러한 기존의 지능 개념만으로는 인간의 다양한 지적 능력을 설명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 개념으로는 학교 밖 사회생활에서의 성공에 대한 예언은 20%에 불과하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또한 종래의 IQ점수는 학교의 교과과목을 해낼 수 있는 능력은 예측할 수 있을지 몰라도 미래의 인생은 예언하지 못했다고 평가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종래의 지능 개념이 주로 학교 상황에서 요구되는 논리력, 언어력 등의 인지 능력만을 강조하고 학교 밖의 현실세계에서 가치 있게 여겨지는 다른 능력들을 무시한 결과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길포드, 가드너, 스텐버그의 지능에 관한 이론배경을 정리하고, 특수한 학습자(학습부진아, 학습장애, 영재아 등)를 정하는 우리나라의 정부 기준에 관해 기술해 보았다. 우리가 지능이라 부르는 것에 대해 사람들마다 의견이 다르다는 생각은 오래 전부터였는데, 플라톤은 2000여 년 전에 유사한 다양성을 논했다. 지능의 본질에 대한 가장 최초의 이론들은 ①학습하기 위한 역량 ②한 인간이 획득한 총 지식 ③일반적으로 새로운 상황과 환경에 성공적으로 적응하는 능력 등이다. 금세기에는 지능의 의미에 대해 상당한 논쟁이 있어왔다. 1921년 그 주제에 관한 토론회에서 14명의 심리학자들이 지능의 본질에 대해 14가지 다른 관점을 제시한 것이 보고되었다. 스턴버그와 디터맨이 1986년에 이 과정을 반복했는데, 24명의 전문가들에게 지능의 정의에 대하여 질문했지만 서로 다른 의견을 피력했다. 이처럼 지능은 여러 학자들에 의해서 각기 나름대로 정의되어 현재 100여 개의 정의가 있지만 이것들을 총괄적으로 분류해 보면 네 가지 기본적 입장으로 나눌 수 있다.
참고문헌
박성익(2003). 영재교육학원론. 교육과학사
김양현(1999). 다중지능 이론과 교육적 시사, 한국초등교육.
송숙경(2004). 다중지능 이론의 교육적 시사점과 한계.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충렬(2008). 영재교육 전문가 양성을 위한 대학원 교육과정 국제 비교 연구. 영재교육연구.
조순화(2006). 협동학습에 따른 학습부진아 지도의 효과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 가격2,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11.27
  • 저작시기201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77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