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축사] 익공계 양식이 무엇이며, 조선시대에는 왜 익공계 양식을 주로 사용 했는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건축사] 익공계 양식이 무엇이며, 조선시대에는 왜 익공계 양식을 주로 사용 했는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머릿말

1.서론
1.1 익공계란 무엇인가.
1.2 익공계의 시초

2.본론
2.1 종친부의 특징
2.2 종친부의 구조
2.3 종친부의 익공계

3.결론
3.1 익공계의 특징과 조선시대 건축구조

본문내용

붕이고, 가구는 1고주 5량이다. 전면 세 칸에는 사분합문, 그 양쪽과 뒷면 가운데에는 사분합창, 그 양쪽 칸과 측면에는 모두 이분합창을 달았다. 건물 좌·우 측면 기단에는 아궁이를 내었다.
익랑은 중당 뒷면의 툇칸과 익사 전면의 툇칸을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하고, 그 아래로는 장초석을 받쳐 사람들이 지나다니게 하였다. 정면 3칸, 측면 1칸 규모인데, 양끝에 툇칸이 한 칸씩 더 달렸으며 익사와 같은 바닥 높이로 처리되었다. 기둥머리를 깊게 파고 상·하 이익공을 모두 끼운 형태의 공포로 짜였으며, 공포 외단은 운공형, 내단은 보아지 보아지 : 기둥과 보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을 보강해 주는 건축 부재.
로 되었다. 중당은 화강석을 다듬은 장대석 기단 위에 세워져 있으며, 정면7칸, 측면5칸의 2익 공계양식의 겹처마로 되어있다. 구조는 2중량 7량가 이며 파련대공에 팔작지붕이다. 익사는 중당보다 격을 낮추었고 규모가 작아 정면 5칸, 측면 3칸으로 평면을 잡고 익공계 양식으로 공포를 짰다.
2.3 종친부의 익공계
<그림4>
<그림5>
<그림6> <그림7>
3. 익공계의 특징과 조선시대 건축
익공계의 특징으로는
첫째, 기둥 상부에서 창방과 같이 十자로 짜여지나 창방 윗면의 높이보다 익공재 높이를 더 높여 여기에 주두가 안치되게 주두자리를 파고 주두를 얹었으므로, 익공재의 위치로 보아 결국 헛첨차와 같은 형식을 나타낸다.
둘째, 익공재 위에 보머리를 직접 닿게 얹되 주두 상부가 보 밑에 묻히도록 조립하고, 보머리는 보의 폭 그대로 주심 밖으로 빠져 삼분두또는 운형으로 끝마무리를 한다.
셋째, 2익공일 때에는 재주두라는 특수한 크기의 주두를 사용한다.
넷째, 익공재의 건물 내부 쪽은 반드시 보를 받치는 보아지을 형성하고 있다.
조선 초기에 사용되던 주심포계 의 형식을 취하며 익공으로 발전하는 양식이 많이 있는데, 예를 들어 안동 개목사원통전 안동 개목사원통전 : 보물 제 242호
의 정면포작을 비롯하여 전라남도 송광사하사당 송광사하사당 : 보물 제 263호
, 강원도 청평사회전문 청평사회전문 : 보물 제 164호
등은 과도기적인 형식으로 주심포계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사실들로 보아, 주심포계 구조에서 익공계 구조로 발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 중기.임진왜란과 병자호란으로 인하여 경제는 피폐해졌다. 그래서 사회적 신분제도 보다는 경제적인 권위가 중요한 시기적 요건이 되었다. 이에 따라 실학사상이 발달하였기에, 주심포와 유사하나 간략화 된 형식의 익공계 형식이 발달하게 되었다.
익공계는 외관이 화려하지는 않으나 부재의 양을 줄여 경제적이며, 합리적이기 때문에 조선시대 건축에 폭 넓게 사용되었다. 화려하지는 않지만, 절제된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으며, 공포를 짜는 구조에 있어서 부재끼리 맞물리는 면들을 통해 선조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다.
이미지 출처
<그림1> <그림2> - http://blog.daum.net/sobagu/9169133
<그림3> - http://www.minsokwon.com/news/news_read.asp?no=104
숙천제아도 - 한필교
<그림4> <그림5> <그림6> <그림7>
http://fahl.hanyang.ac.kr/bbs/board.php?bo_table=image_korea&wr_id=4366&page=250#1
참고문헌
『한옥(韓屋)의 조영(造營)』(신영훈, 광우당, 1987)
『한국의 살림집』(신영훈, 열화당, 1983)
『한국건축양식론』(정인국, 일지사, 1974)
『한국건축사』(윤장섭, 동명사, 1980)
『한국목조건축』(김정기, 일지사, 1980)
『종친부고』(김성준, 『사학연구』 18, 1964)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5.02.06
  • 저작시기2015.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56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