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 서양문화 D형] 동일한 사건이나 경험에 대해 식민지/주변부의 시각을 통해 서양문화를 바라보는 것과 중심부의 시각으로 바라보는 것은 어떤 차이 - 사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의 서양문화 D형] 동일한 사건이나 경험에 대해 식민지/주변부의 시각을 통해 서양문화를 바라보는 것과 중심부의 시각으로 바라보는 것은 어떤 차이 -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방통대 경영학과 4학년 현대의 서양문화 D형] 동일한 사건이나 경험에 대해 식민지/주변부의 시각을 통해 서양문화를 바라보는 것과 중심부의 시각으로 바라보는 것은 어떤 차이가 있을 수 있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논하시오.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현대의 서양문화
1) 서양의 개념
2) 서양과 근대
3) 근대화와 서양문화
4) 서양 근대를 이해하는 방식
(1) 근대화론
(2) 종속이론
(3) 세계체제론
(4) 디페시 차크라바르티
2. 동일한 사건의 주변부와 중심부 시각으로 바라 본 서양문화
1) 주변부 시각으로 바라 본 서양문화
(1) 서구의 근대화와 지리적 팽창
(2) 문명 충돌론과 문화적 제국주의
2) 중심부 시각으로 바라 본 서양문화
(1) 근대적인 국민국가의 형성과 주권의 개념
(2) 경제와 사회적 측면
(3) 문화적 측면
3) 주변부와 중심부 시각으로 바라 본 서양문화의 차이점
(1) 구체적 사례 : 필리핀의 스페인 식민시기
(2) 주변부 시각으로 바라 본 서양문화
(3) 중심부 시각으로 바라 본 서양문화
(4) 서양문화를 보는 차이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그리고 불평등한 교환의 대상으로 생각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본격적인 산업화의 진전은 필리핀에서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식민통치는 항구를 중심으로 한 대도시 그리고 자원의 수탈을 위한 1차 산업에 집중되었을 뿐이었고 농촌사회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유지되어 있었다. 그리고 필리핀은 교육에 있어서 대단히 발전된 나라이다. 로마 가톨릭 교회에 의하여 여자대학이 일찍이 1593년에 이미 설립되었다. 1601년에 마닐라에 세워진 산 호세의 제수잇 대학은 국가적으로 교육의 중심부가 되었다. 산토 토마스의 도미니카 대학은 1611년 설립되었다. 고등교육 기관은 850개의 학교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가운데 50개는 학생 수가 수천이 되는 종합대학이다. 전체 학생 수는 1,300만으로 추산되는데 이는 필리핀 전 인구의 30%에 해당된다. 식자율은 82.7%이며 초등교육 기간 중 최초의 2년 동안을 제외하고는 주로 영어를 사용한다. 특히 미국대학, 대학원으로 유학하는 엘리트층을 흔히 볼 수 있으며 미국과 필리핀간의 교수, 연구원 교류도 많은 편이다. 이러한 교육적인 상황은 이 나라의 장래를 밝게 해 주고 있다. 또한 필리핀은 수세기에 걸쳐 스페인의 지배를 받았고 반세기 동안 지속된 미국의 통치하에서 그들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지만 동남아 고유의 정신적 지주는 뚜렷하게 남아 있다.
스페인 식민지시대에도 많은 필리핀 노래와 춤이 유지되거나 재해석되었으며 바야니한과 같은 합주단들은 이러한 전통예술을 공연하여 전 세계의 청중들에게 널리 알려왔다. 민간전승의 구전들은 우주의 기원에 관한 전설과 신화들을 풍부하게 담고 있으며 스페인의 정복에 연관된 이야기들도 포함하고 있다. 일부 지방에서 생산하는 독특한 목각품이 전국으로 팔려나간다.
(4) 서양문화를 보는 차이점
중심부 시각으로 바라 본 서양문화는 식민지배 기간에 발생하였던 산업화의 진전에 초점을 맞추어 경위야 어찌되었던 식민 지배를 거치며 산업화가 진행되었다는 사실을 중시한다. 이 과정에서 자본은 자본대로 그리고 노동은 노동대로 근대성의 경험을 축적하였다는 주장이다. 반면에 주변부 시각으로 바라 본 서양문화는 그러한 자본주의의 진전이 결국은 수탈을 위한 목적에서 진행되었다는 사실에 초점을 맞춘다. 따라서 식민지 시대의 산업화는 지배하기 위한 전략의 결과였을 뿐이라는 지적이다.
Ⅲ. 결론
서구에서 진행된 근대화 과정은 물질적 풍요와 정치적 민주화, 합리적이고 자유로운 정신을 제공했다. 그렇지만 지나친 물질주의와 엘리트주의를 초래하기도 했고 또 그에 대한 비판적이고 저항적인 움직임은 최근의 NGO운동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를 근대화의 또 다른 성과라고도 할 수 있지만 또 다른 한편으로는 근대화를 비판하는 탈근대주의의 움직임과 연결시킬 수도 있겠다. 분명 근대화는 국내적으로 국제적으로 불평등과 갈등의 소지를 산출했으며 환경파괴의 위협까지도 초래한 면을 부인할 수는 없다. 따라서 모든 인류에게 유익한 전 지구적이고 보편적인 차원의 가치와 계획 및 사회 질서를 제공하는 것이 근대 문명의 과제라 할 수 있다. 근대화가 초래한 현대 사회의 여러 문제들을 우리의 입장에서 해결하기 위해서는 근대화의 움직임을 보다 풍부하게 이해하고 종래의 서구 중심주의적인 관점으로부터 탈피할 필요가 있겠다. 이를 위해서는 많은 지식과 견문, 정확하고 신중한 판단, 그리고 도덕적인 성찰이 필요하다 하겠다.
<참고문헌>
개번 매코맥 외, 정영신 옮김(2014) 저항하는 섬, 오끼나와- 미국과 일본에 맞선 70년간의 기록, 창비
디페시 차크라바르티(2014) 유럽을 자방화하기, 그린비
호세 리살, 김동엽 옮김(2015) 나를 만지지 마라 1 & 2, 눌민
정승구(2015) 쿠바, 혁명보다 뜨겁고 천국보다 낯선, 아카넷
에드워드 사이드 지음, 김성곤·정정호 옮김(2011) 문화와 제국주의, 도서출판 창
이태주 지음(2006) 문명과 야만을 넘어서 문화읽기, 프로네시스
존 홉슨 지음, 정경옥 옮김(2005) 서구 문명은 동양에서 시작되었다, 에코리브르
마르코 폴로 지음, 김호동 옮김(2000) 동방견문록, 사계절
루츠 판 다이크 지음, 안인희 옮김(2005) 처음 읽는 아프리카의 역사, 웅진지식하우스
염홍철 편저(2002) 제3세계와 종속이론, 한길사
Ronald H.Chilcote(1986) 발전과 저발전의 이론, 나남
김동노, 식민지 시대의 근대적 수탈과 수탈을 통한 근대화, 창작과 비평, 1988
정태헌, 수탈론의 속류화 속에 사라진 식민지, 창작과 비평, 1997
  • 가격4,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5.09.20
  • 저작시기201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20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