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의 이해 A형:외적 언어학 또는 인접과학과 언어학의 관계에 대해 간략히 기술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언어의 이해 A형:외적 언어학 또는 인접과학과 언어학의 관계에 대해 간략히 기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서론

본론
1, 내적 언어학과 외적 언어학
2, 언어의 기원에 관한 연구
3, 사회언어학
4, 방언학과 언어지리학
5, 언어심리학
6, 신경언어학
7, 컴퓨터언어학
8, 수리언어학
9, 역사언어학
10, 사전편찬론
11, 자료체 언어학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계열적 관계는 이전의 대립쌍에 비해 대조의 성격은 약하다. 한 기호가 주위의 다른 기호와 구별될 경우에 고유한 가치를 지니는데 이를 통합적 관계라 한다. 빨간 꽃, 흰 꽃, 푸른 꽃 등으로
보듯 꽃 앞에 놓일 수 있는 단어는 계열적이다. 이를 계열적 관계라 한다.
소쉬르의 구조주의 언어학은 인접 학문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슬픈 열대'의 저자 레비스트로스는 소쉬르의 후광을 업어 성공한 학자다. 형식, 구조를 중시한 소쉬르의 언어학과 마찬가지로 레비스트로스는 인류학에 구조주의를 도입한다. 이 자체가 엄청난 학문적 논쟁을 불러 온다. 레비스트로스와 샤르트르의 논쟁은 지금 시점에서 보기에 유치한 점도 있지만 그 당시 얼마나 큰 충격으로 다가왔는지를 우리가 짐작할 수 있게 한다. 문학비평도 구조주의 영향이 큰 분야다. 저자나 독자가 아니라 문학작품 자체를 구조와 형식으로 분석할 틀을 제공했기 때문이다. 이 외에도 사회학, 종교학 등 구조주의 혁명은 한 때 지성계를 풍미했다.
1957년 촘스키는 'Synatactic Structures'를 발표한다. 변형생성문법, 이 논문으로 촘스키는 소쉬르 이후 또 한 차례 언어학계를 흔드는 혁명을 일으킨다. 소쉬르의 구조주의 언어학은 랑그만을 대상으로 하고 과학을 지향한 탓에 학문적 영역을 스스로 제한시킨 감이 없지 않다. 이에 비해 촘스키는 언어의 본질과 인간의 본질을 결합시켜 이해하려 노력했다. 어린 아이가 별 어려움 없이 모국어를 배우는 현상은 촘스키에게 경이의 대상이었다. '왜 어린아이는 언어를 배울 수 있나?'가 촘스키가 던진 질문이고 이에 대한 답이 변형생성문법이다. 촘스키 이전까지 언어습득에 관해서는 행동주의 심리학의 견해가 우세했다. 행동주의 심리학은 자극과 반응의 연쇄를 통해 인간은 언어를 습득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비해 촘스키는 언어습득능력(LAD, language aquistition device)을 들고 나왔다. 이에 따르면, 인간은 선천적으로 언어습득능력을 갖고 태어난다. 이성주의 심리학이 촘스키의 입장이다. 변형생성문법의 목표는 LAD를 해명하는 것이다. 변형생성문법은 소쉬르의 구조주의 언어학이 그랬듯 인접 학문에 큰 영향을 미쳤다.
결론
언어학은 인간과 떼려야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왜냐하면 가장 기본적인 의사소통의 기능과 고차원적인 사유능력까지 아우르는 언어의
쓰임새는 인간을 언어를 구사하는 유일한 존재로 만들었으며, 언어학은 그러한
인간의 언어 자체와 이와 관련된 여타 학문 그리고 인류 문화를 폭 넓게 탐구하는
학문이기 때문이다.
언어를 연구대상으로 삼는 언어학은 성질상 다른 분야와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언어가 갖는 심리적 측면 때문에 심리학과 관계를 맺는다. 또한 언어를 매개로하는
말하는 이와 듣는 이 사이의 사회적 관계 때문에 사회학과 연관을 맺고, 대중언어의
인지 때문에 인류학과 관련을 맺는다. 또한 철학 생물학, 의학, 신경과학등과도 관련을
맺고 있다. 우리가 언어에 대하여 연구하고, 사유하고, 고민해야 하는 이유는
언어가 인간의 본질을 설명해주는 여러 방법 중에 가장 중요하고 유용한 방법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참고 문헌
강범모 (2007), 풀어쓴 언어학 개론 언어, 한국문화사.
고려대학교 대학국어편찬실(1984), 대학인을 위한 언어와 표현, 고려대학교 출판부.
김방한 (2001), 언어학의 이해, 민음사.
김선미 (2003), 언어와 언어학 이론, 한국문화사.
김진호 (2004), 언어학의 이해, 역락.
노마 히데키, 김진아 외 역(2012), 한글의 탄생(문자라는 기적), 돌베게.
박종갑 외 8인(2007), 북한의 언어와 문학, 영남대학교 출판부.
  • 가격3,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5.10.02
  • 저작시기201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30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