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개론] 교육공학(educational technology)의 성격 - 교육공학의 정의 및 발달과정, 교육공학의 연구영역, 교수설계 및 개발모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학개론] 교육공학(educational technology)의 성격 - 교육공학의 정의 및 발달과정, 교육공학의 연구영역, 교수설계 및 개발모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교육공학의 정의 및 발달과정
1) 교육공학의 정의
2) 교육공학의 학문적 발달

2. 교육공학의 연구영역
1) 설계영역
2) 개발영역
3) 활용영역
4) 관리영역
5) 평가영역

3. 교수설계 및 개발모형
1) 교수설계의 개념
2) 교수설계 모형
3) 교수체제 개발 모형

참고문헌

본문내용

적으로 하는 교수체제개발(ISD)을 의미한다. 반면에 미시적인 수준의 교수설계는 가르쳐야 할 내용이 선정된 후 단위 수업시간에서 가르치는데 필요한 아이디어를 모아놓은 것으로, 특정의 조건이 주어졌을 때 기대하는 학습자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최적의 교수방법이 무엇인가를 결정하는 과정으로, 수업에 대한 사전계획을 의미한다. 즉, 특정의 학습내용과 특정의 학습자가 주어졌을 때, 학습자의 요구에 맞는 학습내용을 체계화하고 설정된 교수목표를 성취하는 방법을 계획하고 개발하는 과정을 말한다.
〈표 1〉 거시적 설계모형과 미시적 설계모형
2) 교수설계 모형
교수설계(敎授設計) 모형이란 교수설계를 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과정이나 절차 또는 과제를 수행해야 할 순서에 따라 행위별로 묶어 놓은 것이다. 따라서 교수설계 모형의 목적은 교수설계를 하는데 있어서 체계적이며 과학적으로 할 수 있도록 명백한 안내와 지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 안내와 지침에는 모형이 적용되는 상황 및 조건, 사용되어야 할 교수전략 및 전술, 그리고 교수의 결과로서 나타나야 하는 바람직한 결과 등 교수설계의 목적에 필요한 제반 요소들이 모두 포함된다. 다음의 표에서 객관주의에 기반한 전통적 설계모형과 최근에 교육공학의 기반이 된 구성주의적 설계모형의 주요 차이를 비교하였다.
〈표 2〉 전통적 설계모형과 구성주의적 설계모형
3) 교수체제 개발 모형
교수체제(敎授體制) 개발은 교수를 하나의 체제로 가정하고, 교수에 대한 체제적 접근을 시도하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고육공학의 학문적인 독자성을 확보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다음은 교수체제 개발의 대표적인 모형으로서 ‘ADDIE 모형’을 그림으로 제시하고 각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그림 2] ADDIE Model
① 분석(analysis) : 모든 수업은 학습자, 수업내용, 수업과제, 학습환경 등을 면밀히 분석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 단계를 요구분석(要求分析)이라고도 하는데, 정확한 요구분석을 통해 교육과정 및 수업의 구체적인 목표를 도출한다.
② 설계(design) : 설계는 앞의 분석단계에서 나온 산출물을 창조적으로 분석하고 종합하는 과정으로, 교육목표에 따른 세부적인 교육내용을 상세화한다. 따라서 설계과정에는 수행목표의 명세화, 평가도구의 설계, 프로그램의 구조화 및 계열화, 교수전략매체의 선정이 포함되고, 교육훈련의 전체 윤곽이 디자인된다.
③ 개발(development) : 앞서 설계한 수업내용을 실제로 개발하고 자료를 제작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설계한 내용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매체를 선정하고, 초안자료를 제작한 후, 수정 및 보완을 거쳐 최종 형태의 교수학습 자료 또는 편람(manual)을 완성한다.
④ 실행(implementation) : 이 단계에서는 개발한 내용을 실제 수업현장에서 적용해 보는 단계이다. 즉, 교수학습의 실제 시행을 말한다. 다만, 대대적인 시행 이전에 일정 표본을 선정하여 예비시행(pilot-test)을 실행한 후, 최종적으로 수정 보완 작업을 거치기도 한다.
⑤ 평가(evaluation) : 마지막으로, 평가는 실행단계에서 수집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단계이다. 이는 교육 프로그램의 최종적인 가치와 유용성을 판단히 총괄평가의 단계로서, 평가의 다른 축인 형성평가와는 구별된다.
참고문헌
박선영 저, 교육학개론, 박영스토리 2015
성태제, 강대중 외 저, 최신 교육학개론, 학지사 2012
김희수, 최정선 외 저, 이해하기 쉽게 쓴 교육학개론, 동문사 2014
박철홍, 강현석 외 저, 현대 교육학개론, 학지사 2013
김도진, 송성순 외 저, 교육학개론, 창지사 2015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5.10.04
  • 저작시기201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33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