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광대 숲과문화 강의노트1~15주차(2015 2학기), 1.2차 과제(2015 2학기), 중간.기말고사 문제(2015 2학기)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원광대 숲과문화 강의노트1~15주차(2015 2학기), 1.2차 과제(2015 2학기), 중간.기말고사 문제(2015 2학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숲과문화(강의노트1~15주차).hwp……………………………116p
숲과문화 1차 레포트.hwp…………………………………………2p
숲과문화 2차 레포트.hwp…………………………………………2p
숲과문화 중간, 기말고사 문제.hwp………………………………7p

본문내용

1주 숲의이해

<학습목표> 숲의 의미를 알고, 숲의 기능 및 중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1. 숲의개념
⑴ 정의: 나무가 무성하게 꽉 들어 찬 곳, 나무와 풀과 덩굴이 엉켜 있는
곳을 말한다.
⑵ 어원: Foresta(제한구역) - 일반인의 출입금지구역
(영국 왕실의 수렵장)을 뜻하였음
⑶ 용어: 山林; 산에 있는 숲(숲 + 토양)
森林; 위치에 관계없이 아무 곳의 숲
<숲이란 수풀이 줄어서 된 순수한 우리말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숲과 동일한 개념으로 산림(山林)또는 삼림(森林)이라는 단어들이 함께 사용되고 있다. 국어사전에서는 나무가 무성하게 꽉 들어 찬 곳 또는 풀, 나무, 덩굴이 한데 엉킨 곳을 숲으로 정의하고 있다. 일반적인 보통명사로는 숲을 사용하고 있는 반면 행정, 전문 기술적 용어로서는 산림과 삼림이라는 단어가 혼용되고 있다.
숲은 이 세상에서 가장 온전한 생명 공간으로 무생물과 생물계 사이의 연결 고리로서,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대단히 크다.
자연생태계는 토양 미생물, 토양, 물, 햇빛, 공기, 다양한 야생 동식물로 형성되는 먹이사슬 등의 요소들로 이루어지는데, 국부적인 지역에서부터 광범위한 지역에 이르기까지 그 규모는 다양하며, 각각 생태계의 특징을 형성하는 요소들도 다양하다.
숲 속의 식물들도 생존을 위한 투쟁을 한다. 동물들처럼 피투성이만 안될 뿐, 빛과 물을 확보하려는 영토 싸움을 긴 세월에 걸쳐서, 마침내 어느 한쪽이 죽을 때까지 집요하게 계속한다. 일찍 꽃피우는 식물들은 어쨌든 성질이 급한 것들이다. 멀고 먼 앞날을 예측할 수 없고, 그리고 대체로 험한 세상을 믿을 수 없으므로, 어렵게라도 조건이 되면 재빨리 번식하여 종족을 보존하는 일부터 챙긴다. 그래서 빨리빨리 눈치껏 살아간다.
이들 숲의 존재는 진리이며, 곧 인간의 생활양상과 매우 흡사하다. 그러므로 우리는 숲을 배우고, 따라야 한다. 한편 숲 내의 모든 생태계 구성요소들간에 더불어 사는 지혜를 가지고 있어 이를 또한 배워야 한다.>

2. 숲의시대적 변천사
⑴ 산림방치시대: 문화(생활의 터전, 숭배), 착취 이용(신탄재 등 盜濫伐)하였다.
⑵ 산지자원화시대: 산림녹화(조림), 경제수(생산재) 식재에 주력하였다.
⑶ 산림환경보전시대: 보호, 보존, 효용증진에 힘쓴다.
<1) 삼국시대 산림제도

인구가 적고, 토지가 개발되지 못한 상태로 산림은 원시림 그대로 울창한 임상(林相)이었다. 거주한 종족은 북방에서 진출한 한족 및 부여와 남방에서 북진한 삼한족과의 두 종족이 서로 지역을 나누어 점차 부락을 확대하며 국가를 창립하였다.
이들은 산과 계곡을 경계로 수비방어책을 강구하고, 경작과 수렵으로 생활을 유지하였기 때문에 산림의 훼손은 확대될 수밖에 없었다.
대체적인 임제(林制)는 금벌(禁伐)을 명하고, 무단 작벌(作伐)을 금단하였으며, 산야에 방화를 금지하고, 백성의 묘역에서 수목을 벌채하는 것을 금지하였다.
⑴ 無主公山 - 토호(土豪)의 점유
⑵ 산간계곡을 이용한 종족의 거점
⑶ 民生資用, 國家供用
⑷ 식재: 뽕나무, 밤나무, 잣나무, 옻나무 장려



2) 고려시대(918∼1392)의 산림제도

산림축적이 풍부한 시기였으나 인구가 점차 증가하고, 경지수요가 많아짐에 따라 산림의 개간과 이용형태가 변화되어 임지를 규제하게 되었다(군인이 담당).
경종6년(981): 방화엄금
현종4년(1011): 송백림(松柏林) 벌채 금지, 식재보다 보호에 역점
정종원년(1035): 수목 식재 권장
충렬왕 시대에는 몽고침략으로 산림 수탈기(收奪期)였으나 1294년(충렬왕20년): 목재를 이용한 선함(船艦)제작 중지, 용재림 보호
⑴ 산림도 田制로 취급: 조세 납수
⑵ 부락 산림은 부락 스스로 보호 재배(鄕制)
⑶ 식재: 뽕나무, 밤나무, 잣나무, 옻나무, 닥나무 장려



3) 조선시대(1392∼1911)의 산림제도

경국대전(經國大典): 산림에 관한 규정 및 생산물의 장려, 식재, 보호, 간수사항 등이 기록되어 있고, 산림조사(옻나무, 뽕나무, 과실수)를 정기적(3년마다)으로 실시하는 등 제도의 구체화(성종, 1493)
대전통편(大典通編): 완성된 법전으로 산림제도에 관한 규정도 잘 정비되어 있음; 구체적인 벌칙 내용을 명시(정조9년, 1785)
⑴ 임진왜란(선조 1592), 병자호란(인조 1636)으로 산림의 약탈과 피해가 큼
⑵ 임정(林政)의 실패 사례: 山林焚火, 山田開墾, 송충의 피해, 兵船製造, 가옥건축 등
⑶ 분수방근인(分授旁近人): 산 주변에 살고 있는 주민에게 산직의 직무를 부담
산림천택여민공지(山林川澤與民共之): 국가재정 확보를 위한 조치
禁山: 오늘날 보안림의 성격으로 산림보호 정책, 일반 백성의 산림이용을 제한(백악산, 남산, 인왕산, 낙산 등 서울都城內
  • 가격1,500
  • 페이지수120페이지
  • 등록일2016.01.03
  • 저작시기2015.12
  • 파일형식압축파일(zip)
  • 자료번호#9914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