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자료는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자료를 다운로드 하신 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자료를 다운로드 하신 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영문초록
The women's independence movement in Manchuria was not actively developed before and after the 1910s. The women's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1910s was led by the wife of an exiled independence activist. The biggest influence on the women's independence movement was the March 1st Movement in 1919. In Yongjeong, during the March 13th Movement, a woman went up to the podium and gave a speech. Later, as independence movement groups were established. In the 1920s, they did not participate in the battle directly, but the women joined the independence army and supported from behind. Great changes took place in the 1930s. After the Manchurian Incident in September 1931 and the establishment of Manchuria, the Korea-China united front was formed. Influenced by this, young women who followed Communism also participated in the battle directly, and later the Chinese government remembered them as ‘female warriors’.
국문초록
본 논문은 1910년대 전후부터 1930년대까지 만주에서 활동한 여성 독립 운동가들의 활약상을 살피고, 시대별로 어떤 경향성을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1910년대 전후의 만주 지역의 여성 독립운동은 활발하지 못하고 주로 망명한 독립운동가의 부인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이는 1919년 3·1운동 이후 크게 변화하였다. 용정 3·13운동 당시 여성이 단상에 올라가 연설하는가 하면 여학생들이 시위를 주도하였다. 이후 훈춘애국부인회·간도부인애국회·만주여자교육회 등의 여성단체가 등장하였다. 1920년대에는 여성들이 직접전투에 참전하지는 않았지만, 후방에서 독립군들에게 음식 제공, 세탁, 전투복 제작 등의 활동을 벌였다. 1930년대에는 여성 독립운동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1931년 9월 만주사변 이후 만주국이 성립되자 한중연합전선이 형성 되면서 공산주의를 추종한 젊은 여성들이 직접 전투에 참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한인 여성들은 전장에서 많은 희생을 치렀고 훗날 중국 정부는 이들을 ‘여전사’로 기억하고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논문] 논문(論文) : 독립운동가 윤희순(尹熙順)의 국내,외 항일독립운동
[논문] 기획주제 : 여성과 힘 ; 만주망명과 여성의 힘 -가사문학 <원별가라>,<위모□>,<신□□령>을 중심으로-
[논문] 만주 망명 여성의 가사 <위모사> 연구
[논문] 안동의 지역성과 만주망명 관련 가사문학 -지역문화콘텐츠 제안
[논문] 특집 : 일제강점기 망명 관련 가사에 나타난 만주의 장소성
[논문] 일반논문 : 일제 강점기 만주망명지 가사문학 -담당층 혁신유림을 중심으로
[논문] 만주망명 가사 <간운□> 연구
[논문] 중국 만주지역 독립운동과 여성항일운동
[논문] 만주망명인을 둔 고국인의 가사문학 -자료 및 작가를 중심으로
[논문] 연구논문 : 나혜석의 민족의식과 독립운동지원 활동 -중국 안동(단동)지역에서의 활동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