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와 스타 그리고 팬 (스포츠스타와 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포츠와 스타 그리고 팬 (스포츠스타와 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팬덤(fandom)
1) 팬덤(fandom)의 기원
2) 팬의 유형

2. 스포츠 스타

3. 스포츠 스타덤과 팬덤에 관한 논의

4. 스포츠팬의 호기심과 스포츠 팬 이론

5. 서포터의 사회학
1) 서포터 문화
2) 한국의 서포터 문화; 붉은 악마

본문내용

집단에 대한 기존의 부정적 인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각과 수용태도가 필요한 때라고 언급하였다. 하지만 가끔 그들은 폭력성을 가진 군중으로 변하기도 한다. 서포터의 배타성 및 폭력성이 늘어나는 것은 인위적으로는 막기 힘들다. 유럽제국과 남미도 서포터의 배타성과 폭력성을 근본적으로 막지는 못하고 있다. 서포터의 폭력성은 훌리건과 구별된다. 훌리건은 상대에게 상해를 입히고, 구조물에 방화를 일으키거나, 심지어 상대를 사망에 이르게도 하지만, 서포터는 우발적인 말싸움이나 밀고 밀치는 몸싸움으로 그칠 때가 많다. 사회학자들은 축구 폭력의 사회심리학적 쾌락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훌리건들은 일상적으로 라이벌을 만나 ‘뚜껑이 열릴’ 때 경험할 수 있는 강력한 감정적 ‘흥분buzz’을 한다(Giulianotti 1995).
2) 한국의 서포터 문화; 붉은 악마
한ㆍ일 월드컵 당시 한국의 경기가 열릴 때마다 한국에는 수십, 수백만 명의 응원 인파가 거리고 몰려 나왔다. 언론의 추산에 의하면 5월 4일 폴란드전 52만여 명, 6월 10일 미국전 77만여 명, 6월 14일 포르투갈 전 278만여 명, 6월 18일 이탈리아 전 400만 명이 길거리로 나와 응원에 참가하였다.
도시는 붉게 수를 놓은 듯했고 경기가 계속 될수록 길거리로 쏟아지는 인파는 배가 되었다. 남녀노소 가릴 것 없이 붉은 셔츠를 입고 페이스페인팅을 했다. 무엇보다 그 많은 사람들이 응원을 하고 난 뒤의 경기장이나 거리의 뒷자리가 깨끗했다는 점은 자랑할 만한 일이다. 7차례의 길거리 응원에 나선 사람은 모두 2,193만 여명이다. 그런데 폭력, 난동, 소란, 무질서에 대한 사건사고는 찾아볼 수가 없다. 과연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가 월드컵 최대 승자는 한국인이라고 할만도 하다(신동민, 2005). 바로 이곳, 한국엔 붉은악마라는 서포터 조직이 있었다.
2002년 한일월드컵을 계기로 중요한 문화현상으로 부각된 붉은악마는 1995년 PC통신의 축구관련 동호회 사이버공간이 출발점이 되어 1997년 8월 붉은악마라는 정식명칭을 확정하여 출범하였고, 현재 붉은악마는 국가대표팀 경기위주로 활동하며, 경기가 없을 때는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다양한 활동과 행사를 개최하고 있으며, 붉은악마 조직에 대한 의미생산은 스포츠를 통해 새로운 사회질서가 출현하는 구조와 방식을 이해하기 위한 또 다른 작업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김영갑, 2004). 이 붉은 악마는 사회학에서 공식조직과 유사한 의미로 결사체란 용어를 자주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결사체란 “이익, 공공봉사, 그리고 즐거움 등과 같은 특정한 목표, 목적, 가치 등을 추구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설립된 특별 목적 집단(이상행, 1996)”으로서 붉은악마 조직은 바로 이와 같은 공식조직일 뿐 아니라 결사체의 성격을 갖고 있는 조직이라 할 수 있다.
동아일보와 21세기평화재단이 2002년 8월 14일 개최한 ‘평화포럼’에서 강원용 평화포럼 이사장은 “월드컵 때 정작 전 세계를 놀라게 한 것은 《붉은악마》들이었다. 700만 명이 거리에 쏟아져도 사고 한 건 안 생기고 청소도 깨끗이 하는 것은 전 세계 어느 나라도 못하는 일이다”는 의견을 밝혀, 《붉은악마》가 공동체의 단합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점을 상기시켰다(동아일보, 2002.08.14.).
《붉은악마》의 사회통합적인 역할에 대한 외신의 반응도 매우 긍정적이었다. 뉴욕타임스 2002년 6월 30일자에서 “축구 쿠데타를 연상시키는 한국 《붉은악마》들의 열광적인 응원은 몇몇 문제점을 보상하기에 충분했다”고 전했다. 미국 시사주간 뉴스위크는 2002년 7월 8일자에서 “2002월드컵의 진짜 챔피언은 한국”이라며 “잦은 외침, 경제난 등을 겪은 한국인들이 유럽의 축구 강국 연파, 국민 단합 확인 등을 통해 새로운 자신감으로 가득 차 있다.”고 전했다(한국일보, 2002.07.01.)
참 고 문 헌
구창모 (1998). 현대사회와 스포츠영웅, 스포츠 영웅의 사회학적 관점. 한국스포츠 사회학회지.
김영갑(2004). 사회운동적 관점에서 붉은악마 바라보기. 한국체육학회지, 43(6), 127-138.
김원석 (1999). 스포츠스타를 모델로 한 광고의 효과에 관한 연구.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김창남 (1998). 대중문화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동아일보, 2002.08.14. [21세기평화재단포럼]21세기 새로운 '광복'을 위해, 윤종구 기자.
박병주(1998)
박성희(2007). 스포츠 팬의 행동결정요인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접근: 스포츠 팬의 호기심을 중심으로. 체육과학연구, 18(4), 173~184.
박진경(2003)
박진경(2007). 스포츠 스타의 영웅적 특성과 팬십의 관계.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 1-11.
변재곤 (1998). 스포츠모델 사용광고물의 광고효과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성창훈, 박상혁 (2003). 스포츠 영웅의 성격 특성적 이미지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2, 6, 289-297.
송해룡 (1998). 스포츠 보도의 문제점: 한국의 스포츠 저널리즘 그 현주소와 진단. 저널리즘 비평. 26 42-52.
신동민(2005). 축구 서포터스 그리고 붉은 악마 : 열두 번째 선수가 경기를 지배한다. 서울 : 맥스미디어.
이상행(1996). 스포츠 사업조직의 구조적, 문화적 특성과 조직유효성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정갑영 (1994). 산업조직론. 서울: 박영사.
정혜경 (1996). 한국 대중문화 영역의 스타시스템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조대현 (1988). 애니메이션 팬덤 연구.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대학원.
한국일보, 2002.07.01. [사설] 아! 대~한민국.
홍상혁 (2002). 붉은악마의 탄생과 논란, http://www.reddevil.or.kr/Babad, E. & Katz, Y.(1991), "Whisful thinking-against all odd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1(23), 1921-1938.
  • 가격1,9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6.05.27
  • 저작시기201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30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