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복식문화 공통자료]상대시대와 통일신라, 조선시대에 쓰인 남자의 두식과 관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복식문화 공통자료]상대시대와 통일신라, 조선시대에 쓰인 남자의 두식과 관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상대시대의 두식과 관모
1) 상대시대의 관모(冠帽)의 의의 및 기능
2) 상대시대의 관모의 종류

2. 통일신라시대의 남자의 두식과 관모

3. 조선시대의 남자의 두식과 관모
1) 조선시대의 두식 및 관모 개요
2) 조선시대의 관모의 종류

Ⅲ.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정했다. 왕과 사대부가 집안에서 사용하였으며 서민층이나 머리숱이 적은 노인들이 사용한 관은 종이나 베로 만드는 게 일반적이다. 상투관은 상투가 들어갈 만한 크기의 작은 관이다.
② 망건
망건은 조선시대 성인 남자가 상투를 틀 때 머리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이마에서 뒷통수에 걸쳐 두르는 것으로 귀천 없이 기혼 남자 모두가 착 용하였다.
형태는 윗줄을 끼우도록 말총으로 고를 촘촘히 맺어 두른 당과 망건을 졸라매기 위하여 말총으로 두껍게 짜고 좌우 끝부분에 아랫당줄을 단 편자, 착용시에 이마에 닿는 부분으로 그물처럼 성글게 얽은 망건 앞부분, 촘촘히 엮어 좌우 뒤통수를 감싸는 망건 뒷부분으로 이루어진다. 편자의 양 옆에는 ‘관자’를 다는데, 망건의 당줄을 걸어 넘기는 역할을 하고, 품계에 따라 재료나 새김 장식을 달리 하였으며 후대에는 망건 전면중앙에 ‘풍잠’을 부착하여 장식하기도 하였다.
망건의 맨 위에 갓이나 관을 쓰며 관자의 재료로서 품계를 구별한다. 후대에 와서 전면 중앙에 두 끝을 앞으로 가져와 동여맨다. 망건은 그물 모양과 닮았다는 뜻에서 망건이라 이름을 붙였으며 상류계층은 인모(人毛)로 보편적으로는 말총을 엮어서 만들었다. 중국의 유래는 망건은 명나라를 세운 주원장이 몽고족의 풍습을 없애기 위해 만들었다고 한다.
③ 탕건
탕건(宕巾)은 모자의 밑받침용으로 망건위에 써서 맨상투가 보이지 않도록 정리하던 사대부들이 쓰던 건의 일종이다. 평상시 망건의 덮개로 쓰거나 외출 시 갓 아래에 받쳐 썼다. 뒤가 높고 앞이 낮게 턱이 져 있으며 탕건의 윗부분은 반원형으로 평평하며 망건 위에 쓰이는 모자로 망건을 덮어주고 갓의 모양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대나무, 말총으로 엮어서 만들었으며, 옻칠을 하여 말려서 썼으며 형태는 앞쪽이 낮고 뒤쪽이 높아 2단으로 구성되었다.
개화기 이후까지 착용되어 다른 관에 비해 오랫동안 사용된 것으로 볼 수 있다.탕건은 벼슬아치만 썼기 때문에 ‘감투쓴다’가 ‘벼슬에 오르다’라는 뜻으로 쓰이게 되었다고 한다.
④ 정자관
정자관은 조선시대 중기에 사대부나 유생들이 평상시 집에서 거처할 때 도포, 창의와 함께 널리 착용하였다. 정자’의 모양을 닮았다고 하여 이름 붙여진 관으로, ‘말총’으로 만들며, ‘산자형’을 2(이)단 혹은 3단 겹쳐 놓은 형태이다. 젊은 사람은 단층, 늙은 사람은 2층, 대관은 3층으로 짰으며 학자다운 풍모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관이다.
⑤ 동파관
동파관은 중국 송나라 때 문인인 소식이 만들었다고 전해지는 관으로 그의 호인 동파에서 동파관이라 이름을 지었는데 정자관과 비슷하다. 한가운데 관이 서 있고 그 좌우에 말총으로 된 작은 관식이 있는데 4면의 내장과 외장이 이중으로 겹쳐있고 전후좌우의 마주 닿는 면을 없애고 각이 서로 마주본다.
⑥ 복건
복건은 고대부터 관을 대신하여 중국에서 사용된 간편한 쓰개인데 주희가 가례중에 추천한 후에 유학자가 주로 착용하였으며 소년이나 미혼남자의 통상예복으로 사용되었다.
⑦ 유건
유건은 학문을 하는 유생들이 쓰는 두건의 일종으로 자루모양으로 만들어 양면을 깊숙이 접고 위쪽의 솔기부분을 뒤로 눕힌 형태이다.
⑧ 충정관과 와룡관
《삼재도희》의 기록에 의하면 충정관이라고 하여 명나라 세종이 조관 평복에 착용하기 위하여 만든 것이라고 하였으며 조선시대 사인들이 평상시에 썼다. 와룡관은 조선시대 사대부들이 평상시 집에 거처할 때에 쓰던 관으로 중국 삼국시대 제갈량이 즐겨 썼다고 한다.
⑨ 전립
전립(戰笠)은 포졸들이 쓴 조선시대 철모 검은색 벙거지이다. 적이 쏘는 화살로부터 얼굴을 보호하는 기능이며 품계가 높은 무관은 공작새 깃털이나 금으로 장식을 달기도 했으며 무관들의 전립은 주로 값싼 돼지털로 만드는 게 일반적이며 융복과 군복 착용 시 쓰는 관모이다.
Ⅲ. 결 론
상대시대와 통일신라, 조선시대에 쓰인 남자의 두식과 관모에 대해 알아보았다. 우리나라 머리모양새에 관한 최초의 문헌상 글은 <증보문헌비고>에 쓰인 “단군원년(BC2333)에 머리를 땋고 개수하는 법을 가르쳤다”는 기록이다. 또한 BC3000년경으로 추정되는 청동기 시대의 유물 중 사람 얼굴 형상을 한 뼈비녀가 출토되기도 하였으니 당시의 정확한 머리 모양새를 알 수는 없어도 꽤 오래전부터 머리를 장식하곤 했던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미자, 『우리 옷 이천 년』, 미술문화(2008)
유희경, 『한국 복식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2002)
홍나영, 『말하는 옷 : 한반도 복식 문화사』, 보림(2015)
  • 가격3,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6.09.16
  • 저작시기201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86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