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공동모금회(federated funder)
1) 공동모금회의 탄생
2) 시스템적, 법률적, 경영관리적 측면에서 비교·평가
3) 공동모금회의 발전방안
(1) 중앙과 지회 간의 역할 명확화
(2) 전문인력의 보강
(3) 이사회와 위원회의 적절한 기능 수행 유도
(4) 지역적 특성을 가미한 모금 프로그램의 특성화
(5) 배분과정의 공정성과 투명성 확보
2. 사회복지협의회의
1) 사회복지협의회의 탄생
2) 시스템적, 법률적, 경영관리적 측면에서 비교·평가
3) 사회복지협의회의 발전방안
Ⅲ. 결 론
참고문헌
Ⅱ. 본 론
1. 공동모금회(federated funder)
1) 공동모금회의 탄생
2) 시스템적, 법률적, 경영관리적 측면에서 비교·평가
3) 공동모금회의 발전방안
(1) 중앙과 지회 간의 역할 명확화
(2) 전문인력의 보강
(3) 이사회와 위원회의 적절한 기능 수행 유도
(4) 지역적 특성을 가미한 모금 프로그램의 특성화
(5) 배분과정의 공정성과 투명성 확보
2. 사회복지협의회의
1) 사회복지협의회의 탄생
2) 시스템적, 법률적, 경영관리적 측면에서 비교·평가
3) 사회복지협의회의 발전방안
Ⅲ.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차는 합리적이고 회원들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여야 할 것이다. 사회복지협의회의 활성화 과제로서 주민위한 단체임으로 주민의 참여 활성화를 통하여 조직화에 관심, 민주적인 절차, 홍보를 해야 할 것이며, 지역사회복지의 위상 강화를 위하여 문제 파악, 분석, 복지자원의 현황 파악, 관련 조직 간의 연계활동 강화하여야 하며, 재정확보를 통한 조직운영(회비), 주민밀착형 복지사업(지자체 지원)에 전력을 다해야 할 것이다.
Ⅲ. 결 론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현황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제까지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모금액 70% 이상이 연말 집중모금에 의해 모금되고 있다. 사회적으로도 연말이 되어야 이웃돕기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는 그릇된 인식들이 팽배해져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연중모금 프로그램을 좀더 다양화하고 이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현재 전국공동모금회의 경우 위원회는 3개의 위원회에 각기 약 20명 정도의 위원들로 구성되게 되어 있는데, 앞으로 하부 위원회의 개발을 통해 위원회 활동을 강화하면서 이들의 견해들을 합법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서 참여의 폭이 보다 확대되고 일부 집단에 의한 독점적 운영의 가능성에 대해서도 견제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사회복지 부문도 경쟁의 시대에 돌입했다. 인적, 물적 자원의 획득을 위한 다양한 경쟁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구체적이고 측정가능한 목표의 설정을 통한 책임있는 경영이 필요하다. 사회복지시설이 시대를 주도해 나가기 위해서는 각 기관이 정보체계개발, 직원훈련 및 잠재력 개발, 자원개발 및 할당 등을 합리적으로 조화시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조직 내부에서 꼬치꼬치 캐묻는 리더십에서 벗어나 외부의 경계로 나아가야 한다. 특히 무엇보다 비록 상황이 어렵지만 비전이 보이기 때문에 내 젊음을 여기서 불태우겠다는 고백을 이끌어낼 수 있는 리더십이 필요하다. 사회복지협의회는 이제 국민들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문제에 대한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앞서도 말했지만 자발적 조직성을 갖고 있는 협의회만이 앞으로도 살아남을 수 있는 개연성이 높다. 협의회도 이제 시민단체의 색깔을 갖고 교육 활동에 나서야 한다. 그것이 핵심이다.
참고문헌
1. 김범수(2000). 21세기 지역사회복지론, 홍익재, 8. pp. 231-255.
2. 강철희(1999). 한국 모금문화의 선진화 과제, 사회복지공동모금회.
3. 박영도(1997). NPO(비영리조직)의 활성화를 위한 입법방향. 서울: 한국법제연구원.
4. 정무성 역(2000). 비영리기관의 모금. 서울: 나눔의 집.
5. 이영철(2003), 지역사회복지실천론, 서울, 양서원
6. 표갑수(2003), 지역사회복지론, 서울, 나남출판
7. 한국사회복지협의회(2004), 계간 사회복지 2004 가을 통권 162호, 송정부, 상지대학교교수 및 강원도사회복지협의회장
8. 한국사회복지협의회(2003), 계간 사회복지 2003 봄 통권 156호,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시범사업을 통해 본 사회복지협의회의 특성과 향후 방향 모색, 이현주
Ⅲ. 결 론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현황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제까지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모금액 70% 이상이 연말 집중모금에 의해 모금되고 있다. 사회적으로도 연말이 되어야 이웃돕기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는 그릇된 인식들이 팽배해져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연중모금 프로그램을 좀더 다양화하고 이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현재 전국공동모금회의 경우 위원회는 3개의 위원회에 각기 약 20명 정도의 위원들로 구성되게 되어 있는데, 앞으로 하부 위원회의 개발을 통해 위원회 활동을 강화하면서 이들의 견해들을 합법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서 참여의 폭이 보다 확대되고 일부 집단에 의한 독점적 운영의 가능성에 대해서도 견제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사회복지 부문도 경쟁의 시대에 돌입했다. 인적, 물적 자원의 획득을 위한 다양한 경쟁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구체적이고 측정가능한 목표의 설정을 통한 책임있는 경영이 필요하다. 사회복지시설이 시대를 주도해 나가기 위해서는 각 기관이 정보체계개발, 직원훈련 및 잠재력 개발, 자원개발 및 할당 등을 합리적으로 조화시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조직 내부에서 꼬치꼬치 캐묻는 리더십에서 벗어나 외부의 경계로 나아가야 한다. 특히 무엇보다 비록 상황이 어렵지만 비전이 보이기 때문에 내 젊음을 여기서 불태우겠다는 고백을 이끌어낼 수 있는 리더십이 필요하다. 사회복지협의회는 이제 국민들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문제에 대한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앞서도 말했지만 자발적 조직성을 갖고 있는 협의회만이 앞으로도 살아남을 수 있는 개연성이 높다. 협의회도 이제 시민단체의 색깔을 갖고 교육 활동에 나서야 한다. 그것이 핵심이다.
참고문헌
1. 김범수(2000). 21세기 지역사회복지론, 홍익재, 8. pp. 231-255.
2. 강철희(1999). 한국 모금문화의 선진화 과제, 사회복지공동모금회.
3. 박영도(1997). NPO(비영리조직)의 활성화를 위한 입법방향. 서울: 한국법제연구원.
4. 정무성 역(2000). 비영리기관의 모금. 서울: 나눔의 집.
5. 이영철(2003), 지역사회복지실천론, 서울, 양서원
6. 표갑수(2003), 지역사회복지론, 서울, 나남출판
7. 한국사회복지협의회(2004), 계간 사회복지 2004 가을 통권 162호, 송정부, 상지대학교교수 및 강원도사회복지협의회장
8. 한국사회복지협의회(2003), 계간 사회복지 2003 봄 통권 156호,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시범사업을 통해 본 사회복지협의회의 특성과 향후 방향 모색, 이현주
키워드
추천자료
[교육행정] 교육제도와 행정조직, 장학행정
자원봉사활동의 세계적 경향과 향후 우리나라 자원봉사활동 방향
우리나라 사회복지 재정관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서 논술
품질경영론_PPT
복지행정의 체계 및 조직
자원봉사론4공통) 외국의 국가 중 자원봉사활동이 잘 되고 있는 국가를 한 국가씩 선정하여 ...
[벤처창업][벤처창업 업종선정과 사업계획수립]벤처창업의 개념, 벤처창업의 사전준비, 벤처...
공동모금 (모금기관의 실태 및 유형,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자원동원 방법 및 배분활동)
지역사회복지 (지역사회복지개념, 재가복지서비스,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과기술, 지역사회복...
자원봉사론4공통) 외국의 국가를 선택≪영국(UK)≫ 그 국가의 자원봉사활동의 현황과 역사적 배...
2015년 2학기 평생교육경영론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조직의 마케팅1- 사회복지마케팅 필요성 ...
우리나라 사회복지에 있어,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데 그 이유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