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사_분석철학, 현상학, 실존철학 중심으로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철학사_분석철학, 현상학, 실존철학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분석 철학>
- 1. 분석철학 이란? -------------------------------------------------------------- 3
1) 분석철학의 경향
2) 분석철학의 내용
- 2. 분석 철학의 철학적 배경 ----------------------------------------------------- 4
1) 분석철학의 역사적 기초
2) 분석철학의 역사
- 3. 분석 철학 이론 --------------------------------------------------------------- 6
1) 철학의 임무
2) 철학의 목적
3) 철학의 특징
- 4. 분석철학의 교육 철학적 부분 ------------------------------------------------- 7
1) 분석철학의 교육이론
2) 분석철학의 내용
3) 교육원리
4) 분석철학, 교사들에게 교육 실천에 있어서의 유의사항
- 5. 다른 교육 철학과 분석 철학과의 비교 ----------------------------------------- 8
1) 분석철학과 본질주의 비교분석
2) 실존주의와 분석철학과의 비교
- 6. 분석 철학의 의의 및 한계점 -------------------------------------------------- 10
1) 의의
2) 한계점
3) 결론

<현상학>
- 1. 들어가며 --------------------------------------------------------------------- 11
- 2. 현상학에 대한 설명
1) 현상학 등장의 시대 배경과 현상학의 이념
2) 현상학적 환원과 지향성
3) 현상학적 환원과 지향성에 대한 구체적 예시
4) 현상학의 의의
- 3. 현상학적 서술로서의 문학 작품 ----------------------------------------------- 15
- 4. 문학 작품 해석 방법으로서의 현상학 ------------------------------------------ 16
- 5. 문학작품 평가의 현상학적 접근 ----------------------------------------------- 17
- 6. 나가며 ----------------------------------------------------------------------- 18

<실존철학>
- 1. 삶과 존재 -------------------------------------------------------------------- 20
- 2. 키에르케고르의 실존 ---------------------------------------------------------- 22
- 3. 야스퍼스의 실존해명 ---------------------------------------------------------- 25
- 4. 하이데거의 실존분석 ---------------------------------------------------------- 27
- 5. 존재의 본래성과 비본래성 ----------------------------------------------------- 29
- 6. 실존과 세계 ------------------------------------------------------------------- 30

본문내용

구조상 항상 자기 자신을 초월한다. 따라서 그는 인간존재의 기본구조를 “심려”(Sorge)라는 말로써 표현한다. “심려”는 관계로서의 실존의 형식적인 구조를 말하는 것이다. 실존은 인간을 그 내용에 있어서 말하자면 인간을 그 형식적인 구조에 있어서 규정한 것이다. 따라서 실존은 하나의 단순한 자기 자신 속에만 뭉쳐있는 내재적인 존재가 아니고 자기 자신을 초월하는 관계이다. 시인 릴케가 잘 사용하는 “관련”이라는 말은 인간존재를 표현하기에 아주 타당한 말이다. “명확한 단순한 참다운 관련”이라고 그는 말하는데 이것은 하이데거의 말을 빌리면 실존의 “본래성”을 말하는 것이다. 실존은 이러한 관련 이외의 아무것도 아니다. 그런 고로 우리는 실존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실체”라는 개념에서는 떠나야 한다.
야스퍼스는 이 현존(Dasein)이라는 개념과 실존(Existenz)이라는 개념을 분명히 구별한다. 우리는 실존을 성취할 수도 있고 성취하지 못할 수도 있다. 야스퍼스는 비인간화된 현대 대중들을 “실존 없는 현존”이라고 말한다.
실존은 자연적으로 주어져 있는 인간의 어떤 본성을 말하는 것은 아니고 성취되어야 할 가능성이다. 그러나 하이데거는 실존을 상실한 대중적인 존재를 “현존”이라고 하지 않고 그저 “인간”이라고 표현한다. 그에 의하면 우리의 일상적이고 대중적인 존재 속에는 주체성을 가진 “나” 곧 나의 실존이 살고 있지 않고 “인간”이 살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인간들이 지껄이는 대로 지껄이고 인간들이 모이는 곳에 쏠리고 삶의 피상적인 표면에서 물거품처럼 떠다닌다. 그런 고로 하이데거는 이러한 “인간”의 존재방식을 “잡담”, “호기심” 그리고 “애매성”이라는 세 개의 개념들로 규정한다. “애매성”은 “인간”의 세계의 가장 피상적인 성격의 표현으로서 여기서는 “참”과 “거짓”이 구별될 도리가 없다.
이와 같이 실존철학은 인간존재를 언제나 두 가지 서로 반대되는 상태들로 구별한다. 이 두 가지 존재양식을 하이데거는 또한 개념적으로 “본래성”과 “비본래성”이라고 규정한다. 이것은 인간이 실존하는 두 가지 방식들이다. 그런데 실존철학에서는 이 두 양식들이 정도의 차이를 말하는 것이 아니고 본질적으로 이질적인 것이다. 그러므로 점진적인 발전과 진보는 인간으로 하여금 비본래성 에에서 본래성에로 도달하게 하지 못한다. 여기서는 결정적이고 단호한 전환이 필요하다. 야스퍼스에 의하면 이러한 실존성취를 위해서는 “철학적인 신앙”이 필요하다. 그가 철학적인 신앙이라는 것은 그 자신이 말하는 대로 “초월에 관계한 실존의 인식”이다. 하이데거에게 있어서는 실존의 본래성은 그가 말하는 “선행적인 각존선”에서 도달된다. 하이데거는 “삶을 삶 그 자체로부터 이해한다”는 대전제 때문에 형이상학적이고 종교적인 개념들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을 회피한다. 처음부터 그러한 성격의 개념들도 예컨대 죄나 양심과 같은 개념들도 인간존재의 실존적인 구조를 내재적으로 모사하는 실존의 개념들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그가 실존의 초월성을 심려라고 표현한 것도 야스퍼스의 종교적인 성격을 다분히 가진 “초월”에 비교하면 대조적이다.
6. 실존과 세계
하이데거는 “세계 안에 있는 존재”로서의 실존을 존재론적으로 분석한다. 그는 “세계 안에 있는 존재”의 실존적인 구성을 처지성과 이해(실존성)와 대화(전락선)라는 세 개념들로서 파악한다. 처지성이라는 것은 세계 안에 있는 실존의 수동적인 성격, 혹은 실존이 세계에 의해서 결정되는 수동성을 말하는 것이다. 이것을 하이데거는 피투성이라고도 하고 또한 현사실성이라고도 말한다.“ 이 피투성이라는 표현은 인도(넘겨줌)의 현사실성을 뜻하는 것이다.” 따라서 처지성은 곧 인간존재의 결정성을 말한다. 하이데거는 말하기를 “처지성 속에서 개시된 사실은 세계 안에 있는 존재로서의 실존의 결정성(규정성)으로 파악되어야 한다”라고 한다. 그런데 지금까지 우리가 여러 번 말한 정조가 바로 그 속에 실존의 결정성이 개시되는 처지성이다.
다음으로 이해는 “세계 안에 있는 존재”로서의 실존의 능동성이다. 그러므로 처지성이 실존의 결정성을 들어내는 것이라면 이해는 실존의 가능성을 들어내는 것이다. “이해 속에 가능성으로서의 실존의 존재방식이 있다.” 우리가 말하는 인간존재라는 것이 처음부터 우리가 이해하는 인간존재를 말하는 것이라면 실존은 우리의 이해가 함께 구성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하이데거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이해 속에서 실존적으로 이룩된 것은 어떤 내용이 아니고 실존하는 존재이다.” 그러므로 이해는 존재가능을 말한다. 그러나 하이데거에게 있어서는 이 “가능”은 제약 없는 자유의지에 의한 것은 아니다. 그는 이 가능성을 “피투된 가능성” 혹은 이해를 “정조에 물들어 있는 이해” 혹은 “피투된 기투”라고 한다. 그에 의하면 수동성으로서의 처지성과 능동성으로서의 이해는 함께 본원적이다. 따라서 실존철학은 객관적인 결정론도 주관적인 자유주의도 아니다.
<도 서>
현상학과 분석철학 박이문(작가) 저 지와 사랑 2007.10.20
현상학이란 무엇인가 (후설에서 메를로퐁티까지) 피에르 테브나즈 저 | 김동규 역 | 그린비(그린비라이프) | 2011.11.15
현대 철학의 흐름 (학술총서 16) 박정호 저 동녘 1996.08.25
현상학과의 대화 양해림 저 | 서광사 | 2003.11.30
소크라테스에서 포스트모더니즘까지 새뮤얼 이녹 스텀프 저 | 이광래 역 | 열린책들 | 2008.06.10
<논 문>
학술논문과학주의에 대한 철학의 비판적 고찰 1998년
결론=15,581,4 참고 문헌=18,584,1 과학주의, 철학, 비인간화, 인간성회복
기독교신학 김준연 나사렛대학교 / 지성과 창조
<참고문헌>
- 철학의 책(Philosophy book) _ 윌 버킹엄 외 공저
- 그림으로 읽는 철학사 _ 패터 쿤츠만 저
- 서양 철학사 _ 버트런드 러셀 저
- 세계 철학사 _ 한스 요아힘 슈퇴리히 저
- 철학적 신앙 _ 칼 야스퍼스 저
- 현상학과 분석철학 _ 박이문 저
- 분석철학이란 무엇인가 _ 한스요한 글로크
- 지각의 현상학 _ 메를로퐁티
-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 _ 장 폴 사르트르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16.10.06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10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