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예술의 이해와 감상] 공연예술의 대중화를 선도하는 현대적인 공연예술인 뮤지컬의 역사와 형식 등을 서술, 확대된 국내 뮤지컬 산업에 현황 비판하기 : 공연예술의이해와감상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연예술의 이해와 감상] 공연예술의 대중화를 선도하는 현대적인 공연예술인 뮤지컬의 역사와 형식 등을 서술, 확대된 국내 뮤지컬 산업에 현황 비판하기 : 공연예술의이해와감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뮤지컬이란?
2. 뮤지컬의 역사
1) 세계 뮤지컬의 역사
2) 우리나라 뮤지컬의 역사
3. 뮤지컬의 형식
1) 보드빌(Vaudeville)
2) 민스트럴쇼(Minstrel)
3) 벌레스크(Burlesque)
4) 레뷔(Revue)
4. 뮤지컬의 특성
5. 확대된 국내 뮤지컬 산업에 현황
1) 시장 규모
2) 수요부문
3) 공급부문
6. 국내 뮤지컬 산업의 문제점
7. 국내 뮤지컬의 발전방안
1) 킬러 콘텐츠 개발과 창작환경 조성
2) 관객 개발을 위한 노력
3) 표준계약서 도입
4) 투자금 모집과 회수의 구조적 선진화 필요

III.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개인별 추가사항을 계약할 수 있다.
미국 배우조합의 표준계약서는 계약체결과 이행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과 급여, 연급, 보험, 근로조건, 초상권, 기타 권리 등 세세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뮤지컬 배우들이 우선적으로 바라는 바는 최저 임금과 임금 체불방지, 상해에 대한 보상 등이다. 이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개런티인데 스타배우에 한참 못 미치는 개런티 액수는 물론, 개런티 지급 여부 또는 개런티 지급시기 등에서 배우들은 제작사로부터 부당하고 차별적인 대우를 받고 있다.
무엇보다 개런티 문제는 배우의 최저 임금을 얼마로 산정하여 개인별 임금을 어떻게 차등화 할 것인가가 관건이다. 창작자들의 로열티 지급에 있어서도 그들의 작품 공헌도가 높지만 로열티는 제대로 인정되지 않고 있다. 브로드웨이의 경우 작가 팀과 연출가, 안무가, 디자이너 등 개별적으로 조합이 형성돼 있어, 작가팀 전체가 제작사와 계약을 맺으면 팀을 이룬 각각의 창작자들이 합의하여 로열티를 배분하여, 연출가 및 안무가 역시 로열티를 받고 있다 브로드웨이의 배우조합, 더 뮤지컬, 2011.
. 국내뮤지컬 계에서도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할 수 있는 기관을 통해 표준 계약서 제도를 도입하고 가이드라인에서 벗어난 계약은 제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뮤지컬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이수진조용신, 뮤지컬 이야기, 도서출판 숲, 2009.
.
4) 투자금 모집과 회수의 구조적 선진화 필요
현재 사전제작비(Pre-productioncosts)와 주당운영비(weekly running costs)로 구분하지 않고 사전제작비+전 기간 운영비를 합한 총제작비만 계산하여 공연이 종료된 후 투자사들에게 투자비율에 따라 투자금을 나눠주는 형식을 취하다 보니 투자제안액수가 웬만한 브로드웨이 공연의 사전제작비와 맞먹는 기현상이 발생한다. 그러다 보니 투자자들 역시 금액에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다. 영향력 있는 투자사들은 투자 조건에 자신들의 투자금을 우선 회수하겠다는 내용을 집어넣거나 티켓 판매처로부터 바로 지급받겠다는 조항을 넣음으로써 타 투자자와의 형평성 문제를 유발시키고, 자금 흐름을 힘들게 만들기도 한다. 이를 탈피하여 사전제작비와 주당 운영비를 명쾌히 산출하여 투자자들이 사전제작비 기준으로 투자 하도록 하고 공연 개막과 동시에 작은 액수라도 투자금을 회수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정가은, 국내 뮤지컬 산업 현황 및 발전방안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1
.
또한 흥행 성공 시 예상되는 수익 및 파생 프로덕션에서 오는 수익까지 포함한 장기 비전 제시를 통해 투명성을 유지하고 신뢰를 가지고 뮤지컬에 투자 할 수 있도록 하는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누가 봐도 수긍이 가는 합리적이고 선진적인 투자 및 회수방식, 그리고 거품이 없는 정직한 제작비 산출과 투명한 정산만이 한국 뮤지컬 산업이 생존할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이다. 특히 뮤지컬 제작사 대한 투자는 고위험의 중·장기 투자를 수반하므로 공동투자, 세제혜택 등의 정책적 지원 필요할 것이다.
III
결론
본문에서 살펴보다시피 우리나라의 뮤지컬의 산업은 해마다 점점 규모가 커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위에서 제시한 발전방안을 여기서 간단히 요약해보고자 한다.
첫째, 시나리오의 경우에는 같은 내용을 드라마나 영화로 제작하는 경우가 뮤지컬보다 훨씬 큰 액수의 수입을 얻을 수 있으므로 우수한 작품을 만들기가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라이선스 공연이 강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것은 뮤지컬의 발전을 위하여 좋지 못한 현상이므로 자체적인 콘텐츠를 개발할 여건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
둘째, 우리나라의 뮤지컬의 관객을 살펴보면 대다수가 젊은 층이다. 선진국의 경우에는 연령층도 다양하고, 해외의 관객이 참여하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그에 반하여 우리나라는 관객층이 국내에 한하고, 대다수인 중년과 고령층을 끌어들이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셋째, 우리나라는 스타마케팅에 치우친 결과로 주연급의 배우들에게만 수입이 많이 배당되고, 그 외의 조연들의 수입은 액수 면에서 차이가 많이 난다. 그리고 쌍방에 대한 대우도 많이 다르다고 하는데, 이런 양극화를 없애기 위하여 조연급 배우들을 권익을 지키기 위한 표준계약서 도입이 필요하다.
넷째, 현재의 투자금은 총제작비를 기준으로 계산을 하다 보니 투자자들에게는 엄청난 부담을 주게 된다고 한다. 만약 큰 금액을 투자했다가 실패라도 하게 되면, 원금을 회수하지 못한다는 위험이 존재한다는 의미다. 이것은 사전제작비에 주당운영비를 분류하여 사전제작비만을 투자금으로 제시한다면 지금보다 적은 부담을 느끼게 될 것이고, 회수에 대한 안정감을 높아질 것이다.
참고자료
김성원, 무대연기와 카메라연기 그 차이에 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논문, 2010.
브로드웨이의 배우조합, 더 뮤지컬, 2011.
문화체육관광부, 문화향수실태조사, 2014.
문화체육관광부·예술경영지원센터, 2015. 뮤지컬 실태조사, 2015.
손정섭, 뮤지컬 Oh 뮤지컬, 북스토리, 2001.
오승지, 뮤지컬에 內在된 舞踊의 役割 關한 硏究, 세종대학교 대학원 논문, 1995.
원종원, 한국뮤지컬산업의 특성에 관한 시론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11권. 2005.
원종원, 한국 뮤지컬 산업의 시장 특성에 관한 고찰, 서비스마케팅저널, 2010.
이동섭, 뮤지컬의 이해, 살림, 2012.
이미성, 한국뮤지컬사 연구, 동국대 대학원 논문, 2000.
이수진.조용신, 뮤지컬 이야기, 도서출판 숲, 2009.
이정화·정기은, 국내 뮤지컬 산업의 발전 현황과 변화, 문화산업연구, 2013.
정가은, 국내 뮤지컬 산업 현황 및 발전방안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1
정중헌, 한국 뮤지컬의 작품성향과 과제, 한국뮤지컬협회 제1회 심포지움, 예술의 전당, 1991.
최동길 외, 국내 공연산업의 수익 구조에 관한 연구, 예술경영연구, 2011.
최주환, 문화산업의 관점에서 본 한국뮤지컬의 문제점 연구, 중앙대 대학원 논문, 2006.
태유진, 한국뮤지컬의 제작현황과 관객개발에 대한 연구, 국민대 대학원 논문, 2008.
  • 가격3,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6.10.08
  • 저작시기201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12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