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종교사(지파형성, 가나안정착)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스라엘 종교사(지파형성, 가나안정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
2



Ⅱ. 본론

…………………………
2

가. 이스라엘 역사와 고대 근동
…………………………
2

1) 고대 근동 연구의 필요성
…………………………
2

2) 이스라엘 역사와 고대 근동
…………………………
3




나. 이스라엘이 어떻게 가나안에 정착했는가?
…………………………
4

1) 침략 모델(정복설)
…………………………
4

2) 침투 모델(이주설)
…………………………
4

3) 혁명/이탈 모델(혁명설)
…………………………
5

4) 고고학적 입장
…………………………
5

5) 정착 유형의 평가
…………………………
5




다. 이스라엘의 지파 동맹이란?
…………………………
6

1) 이스라엘의 지파 동맹
…………………………
6

2) 이스라엘 지파의 실제
…………………………
8

가) 에브라임 지파
…………………………
8

나) 갈릴리-이스르엘 / 유다와 남쪽 지파들
…………………………
9

다) 단-르우벤-갓
…………………………
9

3) 이스라엘 지파의 다른 주장들
…………………………
10

가) 암픽티오니
…………………………
10

나) 단편 사회 모델
…………………………
10



Ⅲ. 결론

…………………………
10



※ 참고문헌

…………………………
14

본문내용

후계자 여호수아가 가나안 서쪽 구릉지대의 상당 부분을 정복할 때 이스라엘의 연합 부족들을 지휘한 방법과, 그 정복한 땅을 부족들에게 분배한 내용을 담고 있다. 사사기는 여호수아 이후부터 왕이 세워지기 이전까지 이스라엘의 지도자로 활동하였던 사사들의 군사 공적과 통치에 관하여 이야기하고 있다. 이 자료에는 풍부한 전승, 즉 시, 민담, 속담 등이 복합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일정한 역사관을 가지고 편집되어 있으나, 단일하고 일관성 있는 기사를 우리에게 제시해 주고 있지 않기 때문에 많은 논쟁이 일어나고 있다. 최창모, 『이스라엘사(세계각국사 19)』, 26
고대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정착에 관한 모든 모델들이 당대의 모델들의 관점에서 발명되어 왔다는 사실은 놀라운 일이면서도 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 그렇다고 해서 고대 이스라엘의 발명이 남의 눈을 피해서 의도적으로 사실을 오도해 왔다든가, 모든 학자들이 팔레스타인인에 대한 강탈을 분명하게 지지하는 발언을 했다고 암시하려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주관적이고 무의식적인 요소들이 고대 이스라엘의 상상의 과거를 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는 것이 명백해질 때 객관적인 학문의 아우라를 전파해 왔던 성서연구 담론의 권력은 폭로된다. 그래야만 팔레스타인의 역사를 침묵시켜 온 현재의 횡포를 논증할 수 있다. 이 같은 사실을 인식하는 것이야말로 팔레스타인의 과거를 이스라엘의 지배로부터 해방시키는 전주곡이다. 키스 W. 휘틀럼, 『고대 이스라엘의 발명』 [(The)invention of ancient Israel : the silencing of palestinian histor], 김문호 역, (서울: 이산, 2003), 179-180
이러한 성경적이고 역사적 사실을 가지고, 본론에서도 살펴보았듯 이스라엘 역사와 종교는 불가분의 관계성을 가지고 있음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역사와 종교, 이들은 때로는 비슷하면서도 때로는 대조적인 관계를 보여 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관계를 통하여서 비로소 이스라엘 종교의 발전과정과 역사의 재구성이 가능하다. 이렇듯 역사를 알아야 그 역사가 있던 시대적 배경가운데 종교를 알 수 있고, 종교를 알아야 역사적 상황에 어떻게 발전했는지를 알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는 과거를 통하여서 현재 기독교가 공동체로 살아가는 현재를 바라볼 수 있는 또 다른 시각을 가질 수 있게 되지 않을까?
또한 가나안 정착 이후에도 사사시대의 12지파의 영토 분배와 관련하여 몇 가지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실제로 12지파가 이스라엘 역사상 존재하였는가? 그렇다면 여호수아 13-22장의 12지파는 언제 어떤 목적으로 형성된 것인가? 여호수아서와 사사기서의 서로 다른 지파에 관한 기록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러한 질문에 대하여 노트는 이 12지파 체제의 연대 문제와 상관없이 이러한 지파들의 연합체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김영진, 『고대 이스라엘 역사』, 102
이렇듯 가나안 정착 전후에도 끊임없이 다양한 변화가 있었고,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존재 한다. 비록 우리는 이것을 연구하면서, 하나의 정답이 주어졌으면 좋았겠지만 아직도 이것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존재한다. 이는 아마 다양한 방법론을 사용해 여러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 아닐까. 물론, 너무 많은 방법론과 접근성이 있는 것이 문제가 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우리가 하나의 방향성을 찾아가는 노력을 멈추어서는 안 될 것이다. 그것은 우리가 종교사에 대한 끊임없는 노력을 가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렇듯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질문을 던질 수 있었을 것이다. 물론 간단하지 않은 지파형성의 과정과 가나안 정복 과정의 내용이기에 그 의미를 개괄적으로 소개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글을 마무리 하면서 이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었던 크게 두 가지의 결론을 내리고 싶다. 하나는 이 연구의 결론과, 하나는 연구의 자세이다.
첫 번째로 “연구의 결론”이다. 우리는 우선 이스라엘 역사 연구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이스라엘 역사와 고대근동, 그리고 종교 등에 있어서 서로에게 필요하지 않은 것은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보다 더 이들의 위치를 알기 위하여, 모든 분야의 연구가 필요한 것이었다. 이런 과정의 토대로 우리는 얻고자 했던 기독교 공동체의 기초적 단위가 되는 ‘지파’에 대하여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지파가 형성되기까지의 가나안 정착으로부터 지파 형성 과정까지 살펴 볼 수 있었다.
두 번째로 “연구의 자세”에 대해 이야기 하고자 한다. 우리는 여러 연구들을 통하여 어떠한 답을 내릴 수 있을까? 이것은 이 연구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우리들의 연구 가운데 잊어서는 안 될 주제일 것이다. 우선 답을 내리기 이전에 우리는 어떻게 존재했음을 먼저 알아가자. 그리고 그들의 삶의 자리를 돌아볼 수 있는 시각을 가져야 할 것이다. 그 후 여러 가지 측면으로 바라보는 비평적 자세를 가져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강성열. "이스라엘 종교와 아세라 숭배" 「신학이해」 13집,
김경호. 『야훼 신앙의 맥』. 서울: 평화나무, 2007
김영진. 『고대 이스라엘 역사』. 서울: 한들출판사, 2006
김영진. 『역사와 신앙』. 서울: 한들출판사, 2005
한상인. 『이스라엘 왕국 시대의 고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4
김영진. 『이스라엘 역사 서설』. 경기: 올람하타낙, 2002
최창모. 『이스라엘사(세계각국사 19)』. 서울: 대한교과서, 1994
라이너 알베르츠, 강성열 역, 『이스라엘 종교사 1』.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3
키스 W. 휘틀럼, 김문호 역, 『고대 이스라엘의 발명』. 서울: 이산, 2003
J.맥스웰 밀러존 H. 헤이즈, 박문재 역, 『고대 이스라엘 역사』.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6
S.G.DE.그라아프, 박권섭 역, 『약속 그리고 구원 1』. 서울: 크리스챤서적, 1985
데이비드F. 힌슨, 이후정 역, 『구약성서 신학』, 서울: 컨콜디아사, 1984
G.W.앤더슨, 김찬국 역, 『이스라엘 역사와 종교』.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0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6.11.10
  • 저작시기2015.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38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