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어문규범_한글 맞춤법과 관련하여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는 조건을 예시와 함께 제시하고, 이것을 설명하세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어어문규범_한글 맞춤법과 관련하여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는 조건을 예시와 함께 제시하고, 이것을 설명하세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사이시옷의 의미

Ⅲ. 사이시옷의 사용유형과 그 예
1. 한글 맞춤법 고시 규정에 따른 분류
2. 의미론적 근거
3. 형태·통사론적 근거

Ⅳ. 소결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포함하고 있는 내용의 한 재료가 되는 경우나 둘 째, 둘째 말이 한 개의 완전한 독립한 명사가 되지 못하고 동사나 혹은 형용사의 어간으로부터 명사가 전성한 경우, 마지막으로 첫 말이 소유격의 주체나 또는 수식의 관형어가 충분히 되지 못하는 경우, 그리하여 두 말을 분리하여 생각할 것이 아니라 전연 단일한 명사로 볼 성질의 말인 경우이다.
3. 형태·통사론적 근거
형태·통사론적으로 사이시옷에 접근하는 학자들은 사이시옷을 형태소적 기능으로 파악하며\'ㅅ\'은 중세국어에서의 속격어미, 즉 격기능을 하는 표식으로 사용되었으나 점차 격기능을 잃고 근대 국어에 와서 복합어 내지 합성어를 만드는 기능으로만 사용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임홍빈 등에 의하면 \'사이시옷\'은 통사적 구성의 파격, 말하자면 통사적 연결의 부자연성이나 불가해성을 극복하는 수단이 되고 있다고 한다. 예컨대 \'부사 + 명사\'와 같은 경우 원칙적으로는 연결이 불가능한 파격을 이루게 되는데 이 때 \'사이시옷\'이 결합하게 되면 그 관계가 간접화, 추상화하며 의미의 특수화가 일어나게 된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사이시옷\'으로 가시화되는 \'사잇소리\'는 관계가 먼 두 요소를 결합하는 촉매적인 작용을 하는 존재라는 것이다.
예시 ☞ 고기배(고기의 배, 어복) - 고깃배(고기를 실어나르는 배, 어선)
나무집(나무로 만든 집) - 나뭇집 (나무를 파는 집)
Ⅳ. 소결
사이시옷의 문제는 앞서 밝힌바와 같이 \'사이시옷에 관한 맞춤법\'이 제정되고 난 후 이에 맞춰 사이시옷 현상이 발생한 것이 아니라 \'사이시옷\'의 발생이라는 현실에서 이를 설명하기 위한 이론과 근거가 연구되고 있는 실정으로 공식적으로 고시된 맞춤법 규정이나 의미론적 접근, 통사적 접근 등을 통하여도 그 사용 이유 및 정확한 예를 포괄적으로 설명하거나 발견하기 어렵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한국어 사용자가 한국어를 사용함에 있어 사이시옷을 배제한다거나 혹은 틀리는 것이 옳다고도 할 수는 없는 것이다. 비록 한글 맞춤법 규정으로는 포섭할 수 없는 사이시옷의 예 등 현행 한글맞춤법 설명이 한계를 노정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적어도 한글맞춤법 규정이 적시하고 있는 사이시옷의 사용정도는 확실하게 인지하고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Ⅴ. 참고문헌
『\'사이시옷\'의 교수-학습 방안』, 이은애.
『국어 사이시옷에 대한 통시적 연구』, 권용경.
『사이시옷 규정의 문제점 고찰』, 임석규.
『현대국어 사이시옷 현상의 검토』, 엄태수.
  • 가격3,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7.01.12
  • 저작시기201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62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