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학 A+] 학교보건 및 보건교육 건강증진이론 적용 프로그램 소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역사회간호학 A+] 학교보건 및 보건교육 건강증진이론 적용 프로그램 소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프로그램 진행의 필요성과 목적
󰊲 연구의 가설
󰊳 건강신념모델의 정의
󰊴 연구방법
󰊵 연구 결과
󰊷 결론
󰊸 참고 문헌

본문내용

어려움
개인의 능력 상실로 인한 자신감 결여 및 좌절감의 가능성
노후생활에 미치게 될 악영향
장기적인 치료과정에서의 고통
③ 운동의 유익성 및 장애
운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건강상 이득
운동을 통한 생활습관 병의 예방 및 치료
규칙적인 운동의 유익성
규칙적인 운동의 장애 요인 및 해결 방안 모색
연구 결과
1. 운동관련 건강신념 모델을 이용한 운동참여 의식 분석
1)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
성별에 따른 운동참여 관련 건강신념은 운동에 대한 유익성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높음
남자가 여자보다 ‘운동참여가 건강에 더 유익한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인식함
민감성과 심각성에서도 남자가 더 높음, 운동장애 요인에서는 남자가 낮음
2) 연령대에 따른 차이 분석
연령대에 따른 운동참여 관련 건강신념은 유익성, 심각성, 운동장애에서 유의한 차이 있음
유익성과 심각성 : 나이가 많을수록 운동이 건강에 유익하다고 인식, 생활습관병(성인병)이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인식
운동장애 : 나이가 많을수록 운동장애가 낮아짐 → 젊은 층보닥 규칙적인 운동참여에 대한 가능성이 높음
3) 교육수준에 따른 차이
고졸이하와 대졸이상으로 분류하여 비교함
분석결과 : 모든 요인에서 교육수준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남
이는 과거와 달리 운동과 건강에 대한 기본 지식 및 상싱등이 교육수준에 따라 차이가 없음을 의미함
본 연구 대상자 중 고졸이하의 교육수준의 비율이 고령자가 많았음
운동참여가 건강을 위해 필요하다는 인식은 나이가 듦에 따라 체력저하와 만성질환 이환의 가능성에 대한 두려움 등에 의해 강화되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함
4) 경제수준(월수입)에 따른 차이
월수입에 따른 운동참여 관련 건강신념은 운동장애 요인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관찰됨
이는 경제적 수준이 운동참여를 할 수 없는 부정적인 한 가지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줌
5) 건강상태에 따른 차이
“그저 그렇다” & "건강하지 않다“ VS "건강하다” & “아주 건강하다”
건강하다고 응답한 경우의 대상자들은 그렇지 않은 대상자에 비해 운동이 건강에 유익하다고 생각하지만, 실제 생활습관 병(성인병)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 & 건강하다고 응답한 경우 운동장애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남
본인이 지각하는 건강상태에 따른 차이 분석 : 생활습관병에 대해 인지하는 심각성이 집단 간 차이를 보이지 않음 이는 스스로 건강하지 않다고 생각하면서도 생활습관병에 대한 두려움은 크게 고려하고 있지 않다는 의미로 해석됨 이러한 경우 생활습관병 자체 및 합병증이 개인의 삶과 건강에 적지 않은 위협을 줄 수 있음을 인식시켜주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함
6) 운동참여 수준에 따른 차이
운동참여 수준이 높을수록 생활습관 병에 대한 낮은 민감성을 보이고 건강에 대한 심각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이는 운동참여가 많은 사람이 질병에 대한 두려움이 크지만, 실제로 자신이 질병에 이환되지는 않을 것이라 인식하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됨
운동장애 요인은 운동참여 수준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나, 운동참여율 증진을 위해서는 교육이나 개인 스스로 운동장애 요인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함
7) HBM 중재 운동프로그램이 혈압에 미치는 영향 분석
수축기 혈압 : 집단, 측정시기와 집단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
이완기 혈압의 경우는 측정시기, 집단, 그리고 측정시기와 집단의 상호작용 효과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8) HBM 중재 운동프로그램이 혈중 glucose, 중성지방 및 고밀도 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향 분석
혈중 글루코스와 중성지방은 측정기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을 뿐, 집단, 측정시기와 집단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관찰되지 않는다. 그러나 고밀도 콜레스테롤은 측정시키, 측정시기와 집단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후검증 결과, 운동프로그램 종류 후 6개월에서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HBM-EX 집단은 운동프로그램 종료시점에서 증가하여 운동프로그램 종료 6개월까지 증가한 반면, EX 집단은 운동프로그램 종료 시에 증가한 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2. HBM 중재 운동프로그램에 따른 6개월 후 운동참여율의 비교
걷기실천율 두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 관찰되지 않음
중증도 신체활동 HBM-EX집단(36.3%) > 집단(22.2%)
격렬한 신체활동 두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 관찰되지 않음
결론
1. 질병에 대한 민감성, 질병에 대한 심각성, 운동의 유의성, 운동 장애의 4가지 요인으로 구성된 총 26문항의 성인 운동관련 HBM 측정도구를 개발함
2. 개발된 측정도구를 이용 30~60대 성인의 운동관련 건강신념을 분석한 결과, 운동참여 연령은 운동의 유익성, 질병의 심각성, 운동장애, 성별은 운동의 유익성, 경제수준은 운동장애, 지각하는 건강상태는 운동의 유익성, 질병의 민감성, 운동장애, 운동참여 수준은 질병의 민감성과 심각성, 운동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
3. 운동관련 HBM 중재 운동프로그램은 운동만 중재한 집단에 비해 운동프로그램 종료 6개월 후의 규칙적인 운동참여율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남
4. 운동관련 HBM 중재 운동프로그램이 비만 및 대사증후군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12주 운동 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운동프로그램종료 6개월 후에는 EX 집단과 비교해 건강상태가 증진된 것으로 나타남
본 연구에서 개발한 운동관련 HBM 측정도구는 한국인 성인의 운동행위를 설명하고 예측하는 측정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며, 운동관련 건강신념 모델을 이용한 운동중재 프로그램은 운동참여율 증진과 함께, 비만 및 대사증후군 지표의 관리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참고 문헌
1. 조유향 외, 『지역사회간호학』, 현문사, 2014
2. 김화중 외, 『지역사회간호학』, 수문사, 2013
3. 안승우, 『건강신념모델(HBM)을 이용한 운동중재가 규칙적인 운동참여율 증진 및 비만과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2012
4. 지역사회간호학회 (http://www.kchn.or.kr/new/main/main.php)
  • 가격3,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7.01.22
  • 저작시기201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70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