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소설론] 구성론 - 구성의 정의와 법칙 및 유형(구성의 의의, 구성의 이해요인, 구성과 행위, 구성의 법칙, 플롯의 유형과 필요성), 구성연구의 실례(채만식의 탁류, 염상섭의 만세전, 김동리의 무녀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현대소설론] 구성론 - 구성의 정의와 법칙 및 유형(구성의 의의, 구성의 이해요인, 구성과 행위, 구성의 법칙, 플롯의 유형과 필요성), 구성연구의 실례(채만식의 탁류, 염상섭의 만세전, 김동리의 무녀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구성의 정의와 법칙 및 유형
(1) 구성(플롯)의 의의
(2) 구성의 이해요인
(3) 구성과 행위
(4) 구성의 법칙
(5) 플롯의 유형
(6) 플롯의 필요성

2. 구성연구의 실례
(1) 채만식의 「탁류」
(2) 염상섭의 「만세전」
(3) 김동리의 「무녀도」

참고문헌

본문내용

적인 사건들로 작품을 구성해감으로써 통속소설적 면모를 보였다.
④ 「탁류」는 신문연재소설로 흥미위주의 플롯선정이 불가피해 플롯에 많은 클라이막스를 포함시키고 있다.
⑤ 「탁류」는 작가의 주제 의식이 살아 있는 작품이면서도 흥미를 잃지 않는 작품구조를 통하여 일제강점기하의 도시 하층민의 전락과정을 충분히 암시하고 등장인물들의 삶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전개시켜 가면서 역사 속의 탁한 세태의 흐름을 비판적으로 보여줄 수 있었다.
(2) 염상섭의 「만세전」
① 「만세전」의 구성 : 9장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 단락에 나타난 행동은 다음과 같다.
㉠ 동경 유학생인 ‘나’는 기말시험 도중 아내의 위독 전보를 받고 귀국을 서 누른다. 지주 다니던 술집에 들러 일녀 청자를 만난다.
㉡ 동경에서 기차를 타고 신호에 들러 음악학교에 유학 중인 동포 을라를 만나본다.
㉢ 기차로 하관까지 와서 연락선을 탄다.
㉣ 연락선에서 내려 부산에 도착한다.
㉤ 부산에서 술집에 들러 시간을 보낸다.
㉥ 기치를 타고 김천에 도착, 형의 마중을 받는다.
㉦ 서울에 도착, 죽어가는 아내를 만난다.
㉧ 서울에 묵으면서 집안의 분위기를 살피고, 올라와 사촌형과의 관계를 알아본다.
② 「만세전」의소설구조 : 작중 서술자이자 관찰자인 ‘나’는 동경 → 신호 → 배안 → 부산 → 김천 → 서울 → (다시 동경)으로 이어지는 여로의 기본구조 안에 있다.
③ 단순한 기행의 순차적 진행이나 현실의 파노라마적 진열이나 관찰이 아니라 자신의 삶의 이념이나 가치 등 행동양식을 전체적 상황 속에서 파악하고 있다는 점에서 작중현실에 깊게 개입하고 있다.
④ 「만세전」의 서사단락 : 표면적으로는 동경 → 서울 사이의 거리의 단락으로 끊어져 있지만 이를 이어주는 것은 작중화자 ‘나’가 보고 겪게 되는 시실들과 그 사실들에서 ‘나’와 팽팽히 이어지고 결속되는 상황들과의 내적 긴장상태에 있다.
⑤ 「만세전」의 서사구조 : 단순한 기행이나 관찰자로서의 그것이 아니라 식민화 현실의 ‘발견’과 자아의 '각성’의 도정이라는 점에 그 두드러진 특성이 있다. 주인공 이인화의 갈등은 자아의 세계화, 즉 사회화의 과정이다.
⑥ 식민지 조선의 현실을 보는 주인공의 시선이 단순한 흑백논리가 아니라 자아와 세계 사이에 감추어진 현실을 들추어내고, 드러난 현실은 자신의 삶의 이념이나 가치에 깊게 배어 있는 것이다.
⑦ 「만세전」의 서사구조 속에는 복잡하면서도 통일된 예술적 구조가 이루어져 있으며 삶이 우연이 아니라 필연적인 연관 속에 있음을 보여 준 것이며 3.1운동을 중심으로 한 역사, 사회의식의 성숙이라는 큰 구조 안에서 이런 미적 구조의 성숙이 가능할 수 있었던 것이다.
(3) 김동리의 「무녀도」
① 「무녀도」의 플롯은 시간적 진행에 있어 가장 진형적인 순리이다. 그 플롯을 전개시켜 가는 기초적 갈등 역시 단순화되어 있다.
② 「무녀도」에서의 갈등 : 토속신앙을 상징하는 무녀인 모화(毛火)와 한국에 침투된 서구적(歐해) 근대문화의 기독교 사상을 대표하는 욱이와의 갈등으로 압축되어 있으며 그들의 사건진행 방식을 따라가 보면 그것은 전형적인 비극의 플롯이다.
③ 「무녀도」플롯의 가장 극적인 의미는 파멸로 이어지는 의미의 상징성에 있다. 허구를 현실적이게 하는 예증적 속성을 떠나 그 파멸의 의미를 보다 선명히 보여주는 것이 된다.
④ ‘욱이’의 죽음은 신약성서를 유물로 남기는 행위를 통해 외래적인 것의 도래를 기정화하는 것이지만 ‘모화’의 죽음은 신비의 저편에 대한 끝없는 의문을 낳게 한다. 그러나 그것은 결국 식민지 사회 내부에 일고 있었던 토착적 인간상에 대한 향수와 새로운 외래적 문화의 전래가 가져오는 충돌에 있어서 토착문화의 붕괴를 상징하는 것이 되고 만다.
⑤ 내면적 플롯의 특징 : 낭이에 대한 모화의 무한정한 애정의 축문이나, 욱이에 대한 애절한 소망의 축문이니-, 오지 않는 욱이를 기다리는 축문들이 모두 율격을 그대로 도입하여 전통적 융통성을 지니고 있다.
⑥ 축문은 「무녀도」에 있어서 놀랄 만한 극적 긴장과 감정적 단락의 예시와 유동성을 나타내고 있다.
⑦ 「무녀도」의플롯은 전통적인 방법으로 조직되어 있으며 사소한 사건들이 가지는 치밀한 의미성에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강승원 저, 해법문학 현대소설, 천재교육 2014
윤성원, 정승철 저, 한권에 잡히는 현대소설, 블랙박스 2011
한국현대소설연구회 저, 현대소설론, 평민사 2015
윤희재 저, 전공국어 현대소설, 열린소설 2017
유태영 저, 현대소설론, 국학자료원 2013
  • 가격3,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7.02.23
  • 저작시기201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93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