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교육론] 청소년 문학의 개념과 특징 - 청소년 문학에 대한 다양한 정의, 발견적 개념인 청소년과 청소년 독자, 청소년 문학을 이루는 규범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학교육론] 청소년 문학의 개념과 특징 - 청소년 문학에 대한 다양한 정의, 발견적 개념인 청소년과 청소년 독자, 청소년 문학을 이루는 규범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청소년 문학에 대한 다양한 정의들
2. 발견적 개념인 ‘청소년’과 ‘청소년 독자’
3. 청소년 문학을 이루는 규범들

참고문헌

본문내용

모에 대한 저항이 주된 주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청소년 문학에서는 성장보다는 반성장이 강조될 것이다. 청소년기에 대한 규정과 이를 바탕으로 한 청소년 문학의 규정은 ‘창비좌담’과 John C. Coleman, Leo B. Hendry, 강영배 등 역, 『청소년과 사회 : 청소년기의 심리, 건강, 행동 그리고 관계의 본질(The nature of adolescence)』, 파주 : 성안당, 2006을 참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여기에서는 청소년 문학을 내용적인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해보고자 한다. 첫째, 성장기의 육체적 정신적 변화에 맞서 경험하는 내적 외적 갈등이나 분투를 중심으로 전개되거나 둘째, 부모나 친구 등 인간관계의 변화 과정에서 겪는 문제들을 소재로 다루며 셋째, 청소년 화자가 겪을 법한 방황이나 고민에 초점을 맞추는 작품이다. 이 정의는 청소년 문학에 대한 최소한의 합의 없이 담론만 재생산되고 있는 현실을 반성하고 논의의 단초를 마련하기 위해 설정해본 것이다.
그렇다면 다음 장에서는 본격적으로 이 같은 청소년 문학 담론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아동 혹은 청소년은 누구인가라는 질문은 언제나 어른이란 누구인가 라는 질문과 연계되며 청소년 상(傷)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어른의 상에 의해 변화한다. 와다 슈우지, 위의 책, 162쪽 참조.
이제 ‘청소년은 누구인가’ 혹은 ‘청소년 문학은 무엇인가’ 보다 ‘청소년을 독자로 호명하는 주체는 누구인가’ 라는 물음이 필요한 시점이다. 기존의 청소년 독자에 대한 사회적 담론은 ‘청소년 문제’라는 틀로 접근하는 경우가 지배적이었다. 국책 기관에 통계 처리되는 청소년 독서는 주로 ‘개선’과 ‘진흥’, ‘문제’의 용어와 함께 다루어지고 있으며 연구도 청소년의 독서 문화는 문제의 ‘치료’와 ‘극복’의 차원이 가장 많다. 청소년 개념과 마찬가지로 청소년 독자 개념 역시 사회적으로 구성된 것이라고 할 때, 현재 우리가 지닌 청소년 독자에 대한 이해는 합당한지 되물을 필요가 있다. 최인자, 「청소년 문학 경험의 질적 이해를 위한 독서 맥락의 탐구」,『독서연구』제16호, 2006, 164~165쪽.
청소년 독자에 대한 실질적인 탐구는 중요한 문제이지만 여기에서 다루지는 않는다. 다음 장에서는 청소년 독자라는 이미지를 만들고 청소년 문학 현상을 확대 재생산시키는 기제에 대해 밝혀볼 것이다. 이를 위해서 청소년 문학을 일종의 행위체계라는 관점에서 다룬다. 청소년 문학의 독서 현상을 일종의 의사소통 행위로 파악할 때, 텍스트를 생산한 저자는 발신자가 되며 이를 최종적으로 수신하는 자는 청소년이 될 것이다. 그러나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에는 텍스트의 유통과 평가, 선정, 보급 등의 다양한 과정이 존재한다.
참고문헌
청소년 문학에 대한 좌담을 보면 이에 대한 사람들의 입장이 매우 상이함을 알 수 있다.(황광수 등 토론자, 「청소년문학, 시작이 반이다」, 『창비어린이』제2권, 2004
박춘식, 『아동 문학의 이론과 실제』, 학문사, 1993
한스 하이노 에버스, 김정회 외 역, 『아동청소년 문학의 서(Literatur fr Kinder und Jugendliche)』, 유로, 2002
김경연, 「독일 아동 및 청소년 문학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선주원, 『청소년 문학교육론』, 역락, 2008
한준상, 『청소년학연구』, 경기 고양: 한국학술정보, 2001
조용환, 「청소년연구의 문화인류학적 접근」, 『한국청소년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1993
최이숙, 「1970년대 이후 신문에 나타난 청소년 개념의 변화」,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박연미, 「청소년기의 개념화와 청소년의 성: 1990년대 이후 청소년 보호 정책을 둘러싼 논쟁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전명기, 「전통사회 통과의례와 청소년 존재 개념」, 『청소년학연구』 제11권 제2호, 2004
이혜숙, 「‘청소년’ 용어 사용 시기 탐색과 청소년 담론 변화를 통해 본 청소년 규정방식」, 『아시아교육연구』 7권 1호, 2006
천정환, 「근대 초기의 대중문화와 청소년의 책읽기」,『독서연구』제9호, 2003
다이안 맥도넬, 임상훈 역, 『담론이란 무엇인가』, 한울, 1992
임성관, 「청소년기의 발달을 도울 수 있는 도서자료」,『 연구독서문화연구』9호, 2009
와다 슈우지, 『어린이의 인간학』, 아름다운 세상, 1997
최인자, 「청소년 문학 경험의 질적 이해를 위한 독서 맥락의 탐구」,『독서연구』제16호, 2006.
  • 가격3,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7.03.04
  • 저작시기201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03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