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의세계 전설과 민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비문학의세계 전설과 민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구비문학의세계 전설과 민담

한국의 전설 자료 1편과 민담 자료 1편을 선택(총 2편)하여 자료를 소개하고 각각의 자료들이 갖는 의미에 관하여 고찰하시오.
⓵ 교재와 방송강의를 숙지하고 과제물을 작성한다.(전설, 민담의 개념과 특징을 이해하고 이에 합당한 자료를 선택해야 함)
⓶ 분량은 최소 A4 용지 6매(글씨 크기 11 / 줄 간격 180 / 참고문헌 소개 포함) 이상으로 한다.
⓷ 대상 자료의 소개는 A4 용지 2매 이내로 소개하고 논의의 과정에 필요한 부분은 내용을 인용하여 활용할 수 있다.
⓸ 참고문헌 및 각주를 작성하여야 한다.
⓹ 표절과 관련된 과제물은 점수를 부여하지 않고 학칙에 따라 처리한다.



목차

서론: 스토리텔링, 전설, 민담

본론
1 민담의 이해
2, 전설과 민담의 차이
3, 민담 사례
4, 전설 사례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되는 전통 농경사회에 있어 매우 충격적인 소재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국 각지에서 그 어떤 설화보다도 더욱 활발히 전승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일반적인 경우 어머니라는 존재는 자신의 자식이 아무리 보잘 것 없는 인물로 태어났다고 하여도 그 자식을 품어주고 위험에서 보호하려고 한다. 그러나 작품 속의 어머니는 그 반대이다. 아들을 스스로 죽이거나, 적대자에게 발설하여 위험한 상황으로 몰아 죽게 하는 일탈된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점에서 아기장수 전설 은 주목을 이끈다.
연구자는 아기장수 전설 의 자료들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특이한 유형의 이야기들을 접하게 되었다. 본 연구자의 흥미를 유발한 이 이야기들은 한국구비문학대계에 채록되어있는 자료이다. 거창지역에서 채록되었으나 기존 연구에서는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한 것들이다. 이 이야기들은 선행연구에서는 아주 특수한 유형으로 치부되었다. 그에 따라 이 이야기들에 김영희. “아기장수 이야기의 전승력 연구”(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1999), 6~16쪽. 아기장수 이야기는 유몽인의 어우야담(於于野譚) 이나 계서잡록(溪西雜錄) 등의 야담집, 강원도 강릉부지(江陵府誌) 등의 문헌에 실려 있어 빠르면 16, 17세기에 이미 문헌으로 장착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아기장수이야기에 등장하는 모티프는 삼국사기(三國史記) 나 삼국유사(三國遺事)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등의 문헌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송도기이(松都記異) ,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 경상도읍지(慶尙道邑誌) , 청구야담(靑邱野談) 등의 문헌에서 아기장수이야기와 유사한 모티프를 확인할 수 있다.
한 별다른 언급이 없이 변이형으로만 취급되었다. 이러한 까닭에 널리 알려 보편적인 아기장수 전설 이야기와 달리 거창지역 이야기들은 널리 소개되고 연구되지 못하였다. 그리하여 연구자는 이 설화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이 들었다. 구체적인 사례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의원 최동지의 처방
2. 산신령(거창군 거창읍 설화
3. 웃도리 엄마와 소금장수
4. 구백이와 파리
5. 용 아들의 말 안 들어 죽은 어머니
위의 자료들은 기존 연구의 관점에서는 특별한 의미를 가지지 못하였다. 하지만 본고에서는 지역의 이야기를 분석하면서 이 지역의 이야기가 가지는 독특함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 지역의 이야기로 인하여 기존 유형분류의 한계를 느끼게 되었다. 그에 따라 거창 아기장수 전설 을 포함하는 제 3의 유형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아기장수 전설 이야기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난한 집에 아이가 태어났다. 하루는 아이가 어머니에게 지게를 얻어 달라고 하였다. 아이는 어머니를 지고 산 속을 걸어가더니, 어느 기와집 앞에 도착하여 어머니를 내려놓고 그곳이 자신의 집이라고 하였다. 이것을 이상하게 여기고 있는데, 장수가 어머니에게 찾아왔다. 장수는 어머니에게 아이를 시켜 호랑이, 천도복숭아, 덤불을 구해 오라고 하라고 하였다. 어머니가 장수의 말에 따라 아이로 하여금 그것들을 구해오게 했다. 아이는 어머니가 구해오라고 하는 것을 모두 쉽게 구해왔다. 그것을 본 장수는 아이의 비범한 능력을 알고 아이를 죽이고자 하였다. 장수는 어머니에게, 아이에게 덤불을 구해오라고 시켜서 그것을 구해오면 아이를 덤불로 묶으라고 하였다. 어머니가 아이를 덤불로 묶자, 장수는 다른 장수들과 함께 아이를 산 밑으로 밀어서 아이를 죽게 하였다. 그러나 산짐승들이 부서진 아이의 뼈를 모아서 아이가 재생하였다. 다시 살아난 아이가 집에 가 보니, 어머니가 덤불에 묶인 자신을 밀었던 장수들과 정을 통하고 있었다. 아이는 장수들을 모두 죽여 산짐승들에게 던져주었다. 그리고 어머니에게 떠나라고 하였다
위 이야기의 기본구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 아기장수의 출생
㉡ 신이한 능력
㉢ 적대자(장수들)의 등장
㉣ 아기장수의 죽음
㉤ 아기장수의 재생
㉥ 복수와 성공
위의 이야기에서 아기장수의 출생은 널리 알려진 아기장수 전설과 같이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난다. 천한 신분의 집안에서 비범한 아이가 태어난 장면은 이야기의 뒷부분에 이어질 갈등을 예시하고 있다. 보편적으로 알려진 아기장수 전설 에서는 아기장수의 신이함의 상징으로 ‘날개’가 나타난다. 하지만 위 이야기에서의 아기장수는 어머니를 지고서는 산 속의 기와집을 찾아가 ‘자신의 집’이라고 칭하는 행동으로 그의 비범함 을 보이는 차이점이 있다.
결론
과제에서 보는 것처럼 설화의 하위 부류를 대체로 신화, 전설, 민담으로 분류하는 것이 통례화 되어 있으나, 학자에 따라서는 설화와 민담을 동일시하거나 민담을 다른 개념의 상위 개념으로 두기도 한다. 그러나 설화가 말 그대로 이야기-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이야기라는 점에서 다른 세 개념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할 듯하다.특정 문화 집단이나 민족, 각기 다른 문화권 속에서 구전되는 이야기를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한 문화 집단의 생활, 감정, 풍습, 신념 등이 반영되어 있으며 초자연적이고 신비적인 특징이 두드러지기도 한다. 설화는 기본적으로 구조화된 이야기의 형식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설화가 서사물, 즉 소설의 모태라는 판단의 유력한 근거가 된다. 설화의 가장 큰 특징은 전승 방식이 구전된다는 것이다. 구전이라는 점에서 소설과 다르고, 구조화 된 이야기라는 점에서 소설과 유사하다. 구전이란, 서사의 내용이 구연자로부터 청자에게로 직접 소통되는 방식을 가리킨다.
우리가 전해들은 오랜 옛날의 이야기는 단순한 이야기가 아니라 조상 대대로 내려오는 희로애락의 감정적 산물이다. 고달픈 현실을 위로하고 미래에 대한 희망을 키우며 우리 선조들은 역경을 이겨내기 위해 이야기와 상상력으로 소통하는 지혜를 몸소 보여주었다. 오늘날 우리가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들을 귀담아 들으려는 이유라 하겠다.
참고 자료
장덕순, 서울대학교 출판부, 『한국설화문학연구』, 『구비문학개설』,한국구비문학회, 일조각, 1971
이성준, 「설문대할망 설화연구」(『국문학보』10, 1990)
최래옥,관탈민녀형 설화의 연구, 한국고전산문연구, 동화문화사, 1981
최인학, 비교연구를 통한 한국민속과 동아시아민속원, 2004),
  • 가격2,9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7.03.31
  • 저작시기201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26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