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역세권 이론적 배경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철도역세권 이론적 배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2장 이론적 배경
제1절 철도역세권의 개념과 역사
1. 철도역세권 및 역생활권의 개념
가. 역세권의 개념과 범위
나. 역 중심 생활권의 이해
2. 철도역세권의 역사
가. 철도역세권 개발 발전과정
나. 민자 역사 개발
제2절 철도역세권의 개발현황
1. 철도역세권의 개발
가. 철도역세권 개발 관련 이론
나. 역세권 관련법규 및 프로세스
다. 철도역세권의 개발 특성
2. 철도역세권의 주택개발 유형
가. 역세권 개발의 목표설정 및 모형정립
나. 역세권 개발 유형
제3절 선행연구 고찰
1. 선행연구의 검토
가. 역세권의 범위 설정 및 개발
나. 주거지 상업화
다. 개발밀도 실현
라. 역세권 기반 수요 추정
2. 시사점 및 차별성

제3장 철도역세권 개발현황 및 역세권 개발의 문제점
제1절 서울시 철도역세권 개발현황
1. 서울시 철도 역세권 현황
가. 서울시 도시철도 체계
나. 운영 현황
2. 철도 역세권 개발현황
가. 서울시 도시철도 확충의 역사
나. 서울시 역세권 개발 사례
다. 향후 도시철도 확충 계획
3. 분석 및 시사점
제2절 외국의 철도역세권 개발 사례
1. 영국
가. 세인트판크로스(St Pancras) 역세권
나. 런던 도크랜드(Docklands) 개발사업
다. 밀턴케인즈 개발사업
2. 일본
가. JR큐슈
나. 나고야 역세권
3. 분석 및 시사점
제3절 역세권 개발의 문제점
1. 근본적인 문제점
2. 법률상 문제점
가. 사업시행자 등 구체적인 규정 미비
나. 다양한 개발방식 부재와 복잡한 행정절차
3. 높은 토지지가 및 사업성 악화 문제
가. 토지사용방식의 문제점
나. 철도부지의 비효율성과 사용 제한 문제
4. 금융 및 세제 지원의 필요성


표 목차

<표 2-1> 역세권의 개념정리
<표 2-2> 민자 역사 도입시설 및 규모
<표 2-3> 민자 역사 사업주관자의 재원조달 유형
<표 2-4> 지구 단위계획 입안․결정절차
<표 2-5> 도시개발사업 사업시행자
<표 2-6> 도시개발구역 지정규모
<표 2-7> 역세권의 개발 유형
<표 2-8> 환승형태의 유형과 특성
<표 3-1> 도시철도의 유형분류
<표 3-2> 서울시 도시철도 운영현황
<표 3-3> 서울시 도시철도의 범주
<표 3-4> 서울메트로 운행현황
<표 3-5> 서울메트로 수송실적
<표 3-6> 서울도시철도 운행현황
<표 3-7> 2015년 서울 지하철 5~8호선 수송인원 최대․최소역
<표 3-8> 2015년 서울 지하철 5~8호선 호선별 수송 실적 비교
<표 3-9> 2015년 서울 지하철 5~8호선 요일별 수송인원
<표 3-10> 용산 역세권 용도지역별 사업계획
<표 3-11> 2008년「서울시 도시철도기본계획」의 경전철 노선 계획
<표 3-12> 서울시 10개년 도시철도망구축계획 노선별 추진현황
<표 3-13> 도크랜드(Docklands) 규모와 기능
<표 3-14> 일본역세권 개발 프로세스의 변화
<표 3-15> JR 큐슈의 주요 철도역 개요

그림 목차

<그림 2-1> 철도 역세권의 범위
<그림 2-2> 철도역세권 개발의 개념 변화
<그림 2-3> 역세권 개발 발전과정
<그림 2-4> 시기별 국내 철도 역세권 개발 변화형태
<그림 2-5> 역세권 개발의 트랜드 변화
<그림 2-6> 도시 활동 공간 구조
<그림 2-7> 중심지 이론
<그림 2-8> 운정 신도시 교통체계 구축
<그림 3-1> 서울메트로 수송증감 및 점유율
<그림 3-2> 용산 역세권 사업대상지
<그림 3-3> 용산 역세권 용도지역과 개발조감도
<그림 3-4> 수색역세권 사업대상지
<그림 3-5> 성북역세권 사업대상지
<그림 3-6> 서울시 10개년 도시철도망 노선도
<그림 3-7> 서울시 교통체계 구성
<그림 3-8> 보행자 중심의 워터프론트
<그림 3-9> Wapping 지구 런던타워
<그림 3-10> 밀턴케인즈 개발 개요
<그림 3-11> JR 큐슈의 주요 철도역 개요
<그림 3-12> 각 역과 도심과의 거리 및 관계설정

본문내용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24권 제1호.
박윤태(1999). 다층적 공간구성을 고려한 철도역사 계획안 및 연구. 홍익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종군(2012). 철도역세권 복합개발의 개선방안.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2). 국유철도 민자 역사 개발에 대한 서울시 정책대응방안.
서울특별시(2015). 서울시 10개년 도시철도망구축계획.
서울메트로(2014). 서울지하철 개통 40주년 기념 백서.
서울특별시(2014). 도시교통정비 기본계획: 제Ⅲ편 본보고서.
선상훈(2014). 철도역세권 개발의 공공기관 자금조달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성현곤, 김태현(2005). 서울시 역세권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요일별 시간대별 지하 철 이용인구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제23권 제8호.
성현곤, 김동준, 박지형(2008). 서울시 역세권에서의 토지이용 및 도시설계특성이 대중교통이용증대에 미치는 영향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제26권 제4호, 대한교 통학회.
성현곤, 최막중(2014) 철도역 접근성이 건축물 개발밀도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제49권 제3호
손의영, 김재영, 정창용, 이종훈(2009). 역세권을 반영한 도시철도 역별 수요추정 모형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제27권 제2호.
신기철(1992). 제3기 지하철계획수립. 한국건축문화연구소.
신예경, 정혜진(2016). 고속철도역 신설과 도시 재구조화 연계 계획의 특성. Asia
-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6, No.7.
신예철, 김태호, 장명준(2013). 도시 및 교통계획의 합리적 연계를 위한 서울시 역 세권의 개발특성과 대중교통서비스여건의 영향관계분석. 도시설계 제14권 제2 호, 한국도시설계학회.
안정근, 박만희(2011). 인천광역시 도시철도 1호선 개통에 따른 역세권 도시공간 변화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31권 제1D호.
양승우(1994). 조선후기 서울의 도시조직유형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양재호(2000). 역세권개발방향의 규모설정에 관한 연구: TOD내의 MXD 모델중심 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오영택, 김태호, 박제진, 노정현(2009). 토지이용유형별 서울시 역세권 대중교통 이 용수요 영향인자 실증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9권, 제4D호.
유승환, 강준모(2012). 역세권 공간구조 특성이 지가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대한 토목학회논문집 제32권 제1D호.
윤병훈, 남 진(2013). 서울시 개발밀도 실현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48권 제5호.
윤혜림, 남 진(2013). 서울시 개발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의 변화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48권 제3호.
윤상복, 김형보, 채성주(2004). 신·구도심부 용적률 실현의 특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국토연구 제40호, 국토연구원.
윤석창(2010). 서울시 지하철 역세권의 토지이용 특성에 관한 연구-서울시 지하철 2호선 역세권을 대상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용석, 양우현(2012). 역세권 제2종 일반주거지역 상업화 확산과 특성 분석. 한국 주거학회지 제23권 2호.
이연수, 추상호, 강준모(2011). 서울시 지하철 역세권의 공간적 범위 설정과 특성분 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국토계획」제46권 제7호.
이연태(2006). 역세권의 가로 유형별 지하철역 중심의 정비방안에 관한 연구-서울 시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인성, 임상준, 김충식(2009). 필지형상이 개발밀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서울시 강 동구 천호·암사 지구단위계획구역을 대상으로. 도시설계 제10권 제4호, 한국도 시설계학회.
이재영, 송태수(2004). 수도권 신도시의 역세권과 지하철 이용행태 변화분석. 대한 국토도시계획학회지「국토계획」제39권 제4호.
이재원(2003). 토지이용 특성이 비주거용도의 혼합정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일반주 거지역내 단독주택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주아, 박진아, 구자훈(2012). 대중교통 기반시설여건 대비 토지이용강도 분석을 통한 서울시 도시철도역세권의 개발여건 분석-서울시 지구중심 이하 역세권을 대상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국토계획」 제47권 제6호.
이지은, 이소희, 이명훈(2010). 서울시 개발밀도 실현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45권 제5호.
이창수, 정규섭(1998). 상업시설 입지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GIS학회지 제6권 2호.
임삼진, 박준태, 김태호(2013). 서울시 도시철도 환승역세권 유형별 대중교통이용자 특성 비교연구. 한국철도학회논문집 제16권 제2호.
임희지(2005). 고핵다밀화도시 서울의 대중교통 이용활성화를 위한 역 중심 개발유 도방안 연구. 대한교통학회 제23권 제5호.
정연찬(2009). 유럽의 도시개발사례 연구. 한국지방자치단체 국제화재단
정혜영, 이혜주, 김혜란, 이명훈(2013). 용도지역을 고려한 용적률 실현 특성에 관 한 연구-2030 서울시 도시기본계획(안)에 따른 5대 생활권을 중심으로. 국토계 획 제48권 제5호.
조아라, 김수연, 이명훈(2013). 서울시 지하철 환승역세권의 개발밀도 특성 및 실현 율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48권 제3호.
조항웅, 이승용, 전공준(2010). 도시철도 수요추정을 위한 역세권 ZONE 세분화 방 안 연구. 한국철도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최재필, 구본옥(2001). 도시 가로의 물리적 배치에 따른 상업시설의 생성과 확산에 관한 연구-공간구문론을 이용한 도시가로 체계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7 권 6호.
대통령령, 도시철도법 시행령 제4조의 5, 2008.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도시철도법」제2조 (www.law.go.kr)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 홈페이지(www.infra.seoul.go.kr)
서울메트로 홈페이지(www.seoulmetro.co.kr)
서울도시철도공사 홈페이지(www.smrt.co.kr)
  • 가격8,000
  • 페이지수102페이지
  • 등록일2017.04.07
  • 저작시기201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32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