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교수방법론] 교수학습모델(브루너, 듀이, 비고츠키, 가드너)에 대하여 설명하고 각 시사점을 비교하시오 또한 자신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모델을 선정하여 그 이유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유아교수방법론] 교수학습모델(브루너, 듀이, 비고츠키, 가드너)에 대하여 설명하고 각 시사점을 비교하시오 또한 자신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모델을 선정하여 그 이유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교수학습모델에 대한 설명
1) 브루너의 교수학습모델
2) 듀이의 교수학습모델
3) 비고츠키의 교수학습모델
4) 가드너의 교수학습모델

2. 교수학습모델의 시사점 비교 분석
1) 브루너의 교수학습모델
2) 듀이의 교수학습모델
3) 비고츠키의 교수학습모델
4) 가드너의 교수학습모델

3. 가장 이상적인 모델 선정과 이유 - 듀이의 교수학습모델

4.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과정이며, 동시에 교육의 과정이다. 듀이는 교육의 과정은 그 자체 이외의 다른 목적을 갖고 있지 않다고 주장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듀이는 교육은 곧 삶의 과정이며, 교육의 과정은 다시 조직하고 구성하고 변형하는 과정이라고 보고 있다. 여기서 듀이는 경험에서 배우는 능력과 미래의 경험을 의미 있게 관리하는 힘의 확대로서의 성장에 관해 말하고 있다. 듀이는 성장에는 더 성장하는 것 이외에는 다른 목적이 없기 때문에 교육도 역시 더 교육받는 것 이외의 다른 고려 사항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듀이는 성장의 중요한 조건 가운데 하나가 미성숙이라고 보았다. 그렇지만 듀이가 생각하는 미성숙은 바람직한 특성이 결핍한 상태를 의미하지 않는다. 그래서 우리는 교육을 마치 지적으로나 도덕적으로 빈 구멍에다 지식을 부어 넣듯이 미성숙의 구멍을 메우는 방법으로 여겨서는 안 된다. 교육은 잘 사는 것을 보장하는 조건을 마련해 주는 일이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삶은 그 자체의 내재적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교육은 그 의미를 실현하는 데 있다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 듀이에 따르면 삶의 의미는 겉으로 드러나는 행위나 흥미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겉으로 드러나는 미성숙은 성장의 가능성을 표현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요컨대 미성숙은 현재의 결핍한 상태가 아니라 미래의 성장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4. 시사점
교육과정 전문가들은 교유과정의 원천을 학습자, 사회문화 그리고 지식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교육의 주된 기능을 지식과 정보의 전수라고 보는 이들은 아동의 발달과는 무관하게 교육 내용을 지식 중심으로 선정한다. 그리하여 기본교과 또는 학문영역에서 내용을 끄집어내어 지식 위주로 내용을 선정하고 교과 또는 학문의 위계질서에 따라 조직하려고 한다. 반면에 교육의 원천을 아동이라고 보는 듀이는 교육 내용을 생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직접 도움이 되는 경험에 초점을 둔 활동을 중심으로 교육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려 한다. 그러므로 교육 내용은 교과, 경험 때로는 지식의 구조로서 의미되는 등 철학에 따라 그 견해가 달라진다. 듀이는 교육내용으로서 경험과 교과를 이원적으로 보지 않고, 아동의 경험에서 출발하여 경험 안에서 새로운 사실과 아이디어를 능동적으로 탐구하도록 내용을 구성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듀이는 ‘교육을 경험의 계속적인 재구성’으로 파악하기 때문에 경험을 떠난 교육이란 있을 수 없다. 그러나 우리가 일상적으로 말하는 경험과 듀이가 말하는 경험은 의미가 다르다. 듀이가 논의하는 경험은 사고가 개입되어 있을 때 의미를 가질 뿐만 아니라 아동의 경험에서 출발하여 교과나 혹은 교육과정과 연속성을 가질 때 학습의 효과를 발휘한다. 그러므로 그가 말하는 교육적 경험은 중요한 교육의 내용이 된다. 이는 개인과 사회, 내부로부터의 발달과 외부로부터의 형성, 흥미와 도야, 아동과 교과, 경험과 지식을 이원적 사고로 대립시키려고 했던 것이 아니고 통합하려는 데 초점을 둔 그의 견해를 잘 나타내는 것이다. 다만 그는 교육의 출발점을 항상 아동 자신에게 두고 있기 때문에 아동을 위주로 한 교육이나 경험만을 위한 교육, 생활의 문제만을 해결하는 교육으로 오해받거나 비판받기도 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교수학습모델(브루너, 듀이, 비고츠키, 가드너)에 대하여 설명하고 각 시사점을 비교해 보았다. 듀이는 교육적 과정에 있어 두 요소, 즉 아동과 교과가 같은 비중을 가지고 양끝에서 팽팽히 맞서고 있다고 보았기 때문에, 두 요소 가운데 어느 하나를 무시하거나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이미 경험을 쌓은 성인은 아동과 끊임없이 상호작용 함으로써 아동과 교과, 경험과 지식이 연속성을 갖도록 해준다. 이 때 출발점을 아동의 본성으로 보았기 때문에 듀이는 심리화 된 방법이 교육적으로 유익하다고 생각했다. 그러므로 듀이가 지식을 경험으로 대체하려 했다는 것은 오해일 것이다. 아동은 종합적이고 전체적인 자신의 세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애정을 가진 경험 많은 성인이 유동적이고 융통성 있는 교육 내용을 통합적으로 구성할 뿐만 아니라, 개인의 다양한 경험을 활동과 연결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한순미(1999). 비고츠키와 교육. 교육과학사.
곽노의 외(2000). 유아교육사상. 문음사.
곽철규(1999). 듀이 철학과 교육. 지식사회.
김양현(1999). 다중지능이론과 교육적 시사. 한국초등교육.
박성익 외(1999). 교수학습이론과 매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7.05.20
  • 저작시기201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60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