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육아(공동육아운영, 공동육아교육, 공동육아특성, 공동육아장단점, 공동육아환경)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동육아(공동육아운영, 공동육아교육, 공동육아특성, 공동육아장단점, 공동육아환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개념 및 정의
2. 역사 및 배경
3. 운영방식
4. 교육환경
5. 특성
6. 교육내용
7. 공동육아의 장 ․ 단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뒷산에서
아이들이
할 수 있는 활동
(자연으로의 나들이)
뒷산의 사계절 변화 느끼기, 개미의 종류 관찰하기, 개미집 찾기, 뒷산에 피는 꽃 알아보기, 뒷산에 있는 나무의 종류 알아보기, 나무의 잎 모양 비교해보기, 흙 색깔 비교해보기, 돌멩이 관찰하기, 뒷산에 많이 있는 곤충 찾아보기, 내려올 때 엉덩이 미끄럼 타기, 낙엽 속에서 뒹굴기, 약수 떠오기 등 아이들은 끊임없이 놀이를 찾아내며 매번 가더라도 늘 새롭게 받아들인다.
시장 나들이에서
아이들이
할 수 있는 활동
(사회·문화 나들이)
시장 둘러보기, 시장 옆 슈퍼 들러보기, 가게종류 세어보기, 파는 물건의 차이 알아보기, 양말 사러가기, 운동화 사러가기, 꽃모종 사러가기, 김장준비 하러 가기, 생선이름 물어보기, 과일종류 알아보기, 문방구에서 풀 사보기 등 시장 나들이를 하는 중에 일어나는 상황이나 질문에 따라 확장활동을 연계할 수 있다.
(2) 긴 나들이 / 먼 나들이일상적 나들이보다는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계획하며, 탐구활동이나 체험활동의 심화과정 나들이가 될 수 있다.주 1회 가는 긴 나들이, 월 1회 가는 먼 나들이가 있다.
- 긴 나들이 : 주로 각 연령별로 가며, 미술관 관람 가기, 마당극 보러가기, 인형극 보러가기, 뮤지컬 보러가기, 도서관에 책 보러 가기, 국악 박물관 가기, 민속 박물관 가기, 명절행사 때 고궁에 가기, 지역 문화제 참여하기 등 다양하게 계획할 수 있다. - 먼 나들이 : 전체 연령통합으로 진행하며, 시기는 일주일 일정 중 무리가 없는 금요일에 주로 간다. 먼 나들이 장소는 전체 연령통합으로 진행되므로 시간과 장소선정에 세심한 배려를 하여야 한다. 먼 나들이 때는 출발부터 형, 누나들과 일일 형제가 되어 하루생활을 진행하면 좋다. 형, 누나들은 각자 동생의 도우미가 되어 나들이길 보살펴 주기, 먹을거리 챙겨주기, 용변처리 도와주기 등 도착 때까지 동생들을 돌보아 줄 수 있다
2) 들살이
짧게는 1박 2일 길게는 3박 4일 일정으로 떠나는 특별한 나들이를 말한다.
들살이는 계절이나 장소에 제한 없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적극적인 체험활동으로, 보통 1년에 1-2회 이상 들살이가 마련된다.
들살이에 대한 적응이나 경험을 위해 상반기나 여름에 이뤄지는 내부 들살이는 익숙한 터전에서 1박 2일 정도로 진행되고, 특히 어린방의 경우 가족과 하루 떨어져 생활해보는 것만으로 의미 있는 경험을 하게 된다.
3) 장기 활동
한 가지 주제를 다양하고 심도 깊게 장기간 탐구해보는 활동이다.
- 활동주제 : 나들이를 통한 탐색활동과 계절에 따른 변화, 전래놀이 관련 활동
ex) 텃밭 가꾸기는 봄에 밭을 일구고 씨앗을 뿌리는 일에서 시작해 물주기, 김매 기, 수확해서 음식 만들어먹기까지 아이들과 교사들이 장기적으로 수행하는 활동 이다. 이 과정을 관찰일지로 계속 작성하거나 그림으로 그리는 등 기록으로 남기 고 발표를 하기도 한다.
4) 프로젝트활동
장기 활동과 비슷한 것으로, 한 가지 주제를 다양하고 심도 깊게 탐구해보는 활동이다. 공동육아 기관에서는 주로 교사의 주도하에 이뤄진다기보다는 평소 아이들이 관심을 갖고 궁금해 하거나 아이들이 제안한 것을 교사가 수용하여 모둠활동을 통해 이뤄지는 경우가 많다.
ex) 모둠을 통해 주제와 관련된 브레인스토밍을 하고 주제망을 짜서 다양한 탐색 과 작업을 통해 주제에 관한 심도 깊은 학습이 이뤄진다.
7. 장 단점
1) 장점
(1) 자연친화적 교육방식- 공동육아어린이집의 가장 큰 특성은 어린이들이 자연을 가까이 탐색하고 관찰할 수 있는 자연친화적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것이다. 폐쇄적인 공간에서 숫자와 글자를 익히는 획일적인 교육 대신 자연이 있는 산이나 들, 과수원, 박물관 등의 나들이를 통해 자연 속에서 생활하며 다양한 세계와 접하도록 배려하여 탐구심과 창의력을 기르도록 한다.
(2) 교사 대 유아의 비율이 적다 - 보통 유아교육기관에서는 한 반의 유아수가 25~30명 정도로 개별지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현실상 유아의 개별 지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반해 공동육아어린이집에서는 교사 대 유아의 비율을 줄여 각 유아의 능력과 개성을 파악하는 것이 용이하여 개별화 교육이 가능하다.
(3) 교사와 부모들 간의 의사소통이 수월하다 - 교사들은 “날적이”라는 수첩 연락장을 통해 부모들과 개별 아동의 일상생활과 발달에 대한 관찰을 토대로 매일 의견을 교환한다. 불가능해 보이는 이러한 교사와 부모간의 의사소통이 이 수준까지 가능하게 된 것은 물론 한 교사가 돌보는 아동수가 적다는 기본적 조건이 바탕이 된 것이지만 교사들의 의욕과 부모들의 참여가 어린이를 중심으로 서로를 지지해주는 보육문화가 정착되었기 때문이다.
2) 단점
(1) 우리나라의 제도권 교육과의 차이 - 공동육아 기관의 교육방식이 우리나라 제도권 교육의 형태와 너무나 다르기 때문에 불안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교사에게 반말을 하는 공동육아 기관의 ‘반말 문화’에 거부감을 갖는 경우도 많고, 한글, 숫자, 영어 등 일반적인 인지교육 프로그램이나 특기교육 프로그램이 진행되지 않기 때문에 갖게 되는 불안감도 적지 않다.
(2) 교육비의 부담감이 크다 - 공동육아 기관에 참여하는 부모들은 출자금(약 300~500만원)과 월 보육비(30~50만원)를 지출한다. 출자금이라는 목돈마련과
통 어린이집의 보육비보다 비싸다는 부담감을 가질 수 있다.
<생태교육>
영유아와 나들이를 계획하고 함께 방문하기, 텃밭을 가꾸며 농사지어 유기농 먹거리를 발견해 가며 음식 문화를 만들어 가는 활동으로 영유아와 자연과의 관계를 보다 밀착시킨다. 이 관계를 통해 지역사회와 문화에까지 관심을 갖고 애착을 형성할수 있게 된다.
<생활문화 교육>
기본적인 문화 또는 민속적 능력활 이라고도 부르는 이 보육활동은 영유아의 놀 권리를 보장하는 자발적 놀이, 전통문화를 재구성하는 전래놀이
*참고문헌
-지역사회 공동육아 활성화 방안
유해미 저/ 육아정책연구소(육아정책개발센터) | 2013년 08월
- 서울시 공동육아지원사업의 지속가능성 방안연구 : 2015 정책연구
조막래 저 | 서울시여성가족재단 | 2015년 11월
  • 가격1,8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7.05.31
  • 저작시기201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68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