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 중간과제 인간과 과학 2. 가습기 살균제 피해 2. 가습기 살균제 피해를 시민들이 과학기술을 바라보는 시각과 연결하여 생각해보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통대 중간과제 인간과 과학 2. 가습기 살균제 피해 2. 가습기 살균제 피해를 시민들이 과학기술을 바라보는 시각과 연결하여 생각해보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서론

본론
1, ‘위험사회’의 도래
2. 가습기살균제 피해 사건의 발생과 과정
3. 가습기살균제 피해 사건의 규모 4, 사건에 대한 법적 책임 공방 5. 기업윤리와 과학기술윤리
6, 기업의 사회적 책임

결론: 가습기살균제 피해 사건으로 인한 과학에 대한 시각 변화

참고문헌

본문내용

2011년 4월 25일 서울 아산병원에서 ‘급성호흡부전을 주 증상으로 하는 중증폐렴 임산부 환자의 입원 증가’를 질병관리본부에 신고, 조사를 요청하면서 사회적으로 이슈화되었으나 이후 기업과 정부의 소극적 대응으로 인해 별다른 진전이 없다가 2016년 1월부터 검찰의 전담수사를 기점으로 이슈 재점화 된 사례로, 우리 사회에서 일상속의 생활화학물질에 의한 첫 사망사건이자 현대 산업사회의 인위적 재난과 일상의 위험 관리에 대한 구조적 문제를 고민하는 공적 성격을 가진 이슈라 할 수 있다(최예용 외, 2012; 문성제, 2014).
나는 이번 가습기 사태를 통하여 국민들이 환경물질 및 생활 화학물질에 대한 위험성에 대하여 경각심을 높였으며, 아무리 저명한 다국적 기업의 제품이라 할지라도 과학적으로 영향력과 부작용이 충분히 검증되지 않은 제품이 출시되어 소비자의 안전과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사실에 대하여 폭넓은 인식을 갖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이는 과학과 기술에 대한 무분별한 수용이나 맹목적인 신뢰에 다소간 비판적이고 신중한 소비자 태도를 갖게 하는데 일조한 사태로서 우리 사회가 치른 값비싼 대사이며 아직도 계속되고 있는 ‘피해자는 있지만, 가해자는 없는’ 부조리한 법체계의 문제점에도 일침이 가해지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참고문헌
이필렬 생명과 환경 따님. 1997
노진철. (2014). 위험사회의 관점에서 본 재난의 구조적 이해. 『국가위기관리학회』6(2): 3-15.
문성제. (2014). 가습기살균제로 인한 피해와 국가의 위험관리책임. 『소비자문제연구』 45(1): 67-88.
박재영. (2006). 뉴스 평가지수 개발을 위한 신문 1면 머리기사 분석. 『한국의 뉴스미디어 2006: 한국 저널리즘과 뉴스미디어에 대한 연차보고서』. 한국언론재단: 147-220.
박재영, 안수찬, 박성호. (2014). 대통령 선거 보도의 기사품질, 심층성, 공공성의 변화: 1992~2012년 국내 주요 신문의 경우. 『방송문화연구』 26(2): 33-66.
박희제. (2014). 위험사회에서 세계시민주의로: 울리히 벡의 (기술)위험 거버넌스 전망과 한국의 사회학. 『사회사상과 문화』 제30집: 83-120.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폐손상조사위원회. (2014). 『가습기살균제 건강피해 사 건백서: 사건 인지부터 피해 1차 판정까지』.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집담회 자료집. (2016). 『가습기살균제와 공중보건의 위기』.
안은영. (2016).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위험보도 프레임 연구: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우지숙, 최정민. (2015). 공기업에 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구: 5개 일간지 사설분석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53(2): 315-343.
유선영. (1995). 객관주의 100년의 형식화 과정. 『언론과 사회』 10: 86-128.
유진솔. (2015). 갑을논란 보도의 공정성과 심층성에 관한 연구: 조직의 위기 책임성
차이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윤순진, 이동하. (2010). 4대강 사업에 대한 TV 뉴스의 의제 설정과 프레임. 『환경사회학연구 ECO』 14(1): 7-62.
이건호. (2008). 한·미 신문 기사의 심층성과 신뢰도 및 독창성 분석: 6개 한국 신문과 2개 미국 신문 1면 기사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2(5): 107-129.
이선민, 이상길. (2015). 세월호, 국가, 미디어: <조선일보>와 <한겨레>의 세월호 의견기사에 나타난 ‘국가 담론’ 분석. 『언론과 사회』 23(4): 5-66.
이연. (2010). 재난방송의 역할과 과제. 『방송문화』 343: 10-15.
  • 가격3,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7.09.21
  • 저작시기201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45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