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문헌고찰
① 정상분만이란
② 분만의 전구증상
③ 분만의 단계 및 간호
- 분만 1기
- 분만 2기
- 분만 3기
- 분만 4기
Ⅱ. 본론
1. 건강사정
2. 간호과정 적용
Ⅲ. 참고문헌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문헌고찰
① 정상분만이란
② 분만의 전구증상
③ 분만의 단계 및 간호
- 분만 1기
- 분만 2기
- 분만 3기
- 분만 4기
Ⅱ. 본론
1. 건강사정
2. 간호과정 적용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 마사지)을 실시한다.
(관심을 통증이 아닌 다른 곳으로 돌려 통증을 경감시킨다.)
- 치료적 지시
① 분만진행과정에 대한 정보(V/S, 태아심음, 개대, 소실 등)를 공유하도록 한다.
(분만과정 중 산부가 잘 대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② 분만과정 중 중요한 사람이 산부를 지지하도록 한다.
(친숙한 사람에 의해 좀 더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③ 금기가 아니라면 분만기의 잠재기, 활동기, 이행기 동안 침대에서 일어서거나 샤워를 하거나 걸어 다니도록 한다.
- 교육적 지시
① 분만진행에 대한 사전 지식을 점검, 분만진행에 대해 설명한다.
(분만에 관한 지식은 분만에 대한 두려움을 제거하고 효율적으로 대처하도록 돕는다.)
② 분만 시 할 수 있는 통증 완화법을 알려준다.
(통증이 있는 부위를 마사지하는 적당한 피부자극은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되며, 통증의 경감은 불안을 감소시킨다.)
③ 산부가 분만시작에서부터 태아의 분만까지 예상하는 시간을 포함하여 분만의 정상과정 동안 기대할 수 있는 산부에게 간단히 설명한다.
수행
① 산모의 불안정도를 사정한다. 10점 만점에 8점이라고 대답하였다.
② 분만진행에 대한 사전 지식을 점검, 분만진행에 대해 설명하였다. 초임부로 분만 진행에 대한 지식, 경험이 부족한 상태이다. 진행과정, 소요시간, 통증 대처 방안을 설명하였다.
③ 산모의 등과 허리, 다리를 마사지 해주었다.
④ 옆에서 지켜보고, 산모를 격려함으로써 지지해주었다.
⑤ 전환요법을 사용하였다. 산모와 아기에 관한 이야기를 하였다.
평가
- 분만과정을 이해하였으며 진통 시 불안이 5점으로 감소되었다.
- 예상되는 분만과정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했음을 말로 표현했다.
※ 이상의 평가로 볼때 간호목표는 달성된 것으로 본다.
#3. 분만 중 근육긴장과 관련된 신체불편감
주관적 자료
"힘을 너무 많이 줘서 팔다리가 안아픈데가 없어요"
"손이랑 다리가 계속 저리고 아파요"
객관적자료
- 진통 시 힘을 준 후 팔다리에 힘이 없고 경미한 떨림을 일으켰다.
- 팔 근육이 단단해지고 손이 퉁퉁 부은 모습을 보였다.
목표/기대되는결과
- 산모는 신체적 불편감을 호소하지 않을 것이다.
간호계획(이론적근거)
- 진단적 지시
① 산모가 불편감을 느끼는 부위와 신체변화를 사정한다
(사정하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② 따뜻한 수건을 이용해 근육이 뭉친 부위에 대준다.
(더운물 찜질은 혈류 및 림프액 순환을 촉진하고 울혈이 감소한다)
- 치료적 지시
① 보호자에게 옆에서 손으로 산부의 팔과 다리 등 신체부위를 마사지 해주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격려한다.
(복부근육의 이완을 증진하고 복강의 크기를 증가시켜 자궁과 복벽사이의 마찰과 불편감을 완화시킨다.)
- 교육적 지시
① 산모에게 불편한 느낌이 분만과정 중 진통으로 인한 근육통을 설명하고 이해시킨다.
(분만 중 장시간 불편한 체위를 유지하며 팔, 어깨, 허리, 다리 등 신체여러부위에 근육긴장상태를 지속함에 따라 신체불편감이 생기며 분만 후에 심한 요통을 포함하여 근긴장도 저하 및 근육통이 있을 수 있다.)
수행
① 산모가 불편감을 느끼는 부위와 신체변화를 사정하였다.(다리저림감과 배뭉침을 호소함)
② 따뜻한 수건을 이용해 근육이 뭉친 부위를 대주었다.
③ 손으로 팔과 다리 등 신체부위를 마사지 해주었다.
④ 산모에게 불편한 느낌은 분만 과정 중 진통으로 인한 근육통임을 설명하고 이해시켰다.
평가
- 마사지로 인해 근육이 이완되고 편안함을 느꼈다고 말했다.
- 저린 부분이 많이 괜찮아졌다고 말하며 표정도 한결 편안해보였다.
※ 이상의 평가로 볼때 간호목표는 달성된 것으로 본다.
#4. 제한된 구강섭취, 증가된 분만과정동안의 수분손실과 관련된 체액량 결핍 위험성
주관적 자료
"목 말라요", "추운데 온도 좀 올려주세요."
객관적자료
- 입안이 건조하다고 호소하며 입술이 말라있음.
- 춥다고 호소하며 식은땀이 남
- V/S 110/70mmHg, 92회/분, 37.1℃, 23회/분
목표/기대되는결과
- 수분균형을 유지하며 탈수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 산부는 입안이 더이상 건조하지 않다고 말한다.
- 진통과 분만동안 전해질균형을 유지한다.
간호계획(이론적근거)
- 진단적 지시
①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기록한다.
② 구강점막의 상태를 사정한다.
③ 수분섭취량과 배설량을 모니터하고 기록한다.
(탈수현상이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 치료적 지시
① 건조된 점막을 촉촉하게 하기 위해 구강간호를 제공한다.
(분만 중 수분공급을 하고 탈수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② 처방대로 정맥주입과 구강수분을 섭취하도록 한다.
③ 뇨비중, 전해질과 Hgb/Hct 수치와 같은 검사실 검사 결과를 보고한다.
(뇨비중, 전해질과 Hgb/Hct 수치는 수분소실상태의 지표가 될 수 있다.)
④ 분만실 온도를 조절한다.
(산부의 편안함을 증진시키고 발한으로 인한 수분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 교육적 지시
① 적어도 2시간마다 소변을 보도록 격려한다.
(체액상실 정도와 지속적 방광상태를 사정하기 위함이다.)
② 감지할 수 없는 수분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 조절된 호흡을 격려한다.
(불감성 소실로 인한 수분손실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수행
- 입안의 건조함을 막기위해 거즈에 물을 묻혀 입안을 적시도록 하였다.
- 분만실의 온도를 1~2℃ 올리고 산모는 더이상 춥다고 호소하지 않았다.
- 처방에 따라 정맥주입을 20gtt에서 30gtt로 하였다.
평가
- 정상범위 내의 활력징후를 나타낸다.
- 구강점막이 축축하다.
- 뇨비중이 1.020~1.030이다.
- 전해질 수치가 정상 범위이다.
※ 이상의 평가로 볼때 간호목표는 달성된 것으로 본다.
III. 참고문
이경혜,『여성건강간호학1』, 현문사, 2012, 405~490쪽
http://www.druginfo.co.kr/index.aspx?
http://health.naver.com/medical/testAndTreat/detail.nhn?selectedTab=detail&checkupTreatmentMethodTypeCode=BB&checkupTreatmentMethodCode=BB000059&cpId=ja2#con
(관심을 통증이 아닌 다른 곳으로 돌려 통증을 경감시킨다.)
- 치료적 지시
① 분만진행과정에 대한 정보(V/S, 태아심음, 개대, 소실 등)를 공유하도록 한다.
(분만과정 중 산부가 잘 대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② 분만과정 중 중요한 사람이 산부를 지지하도록 한다.
(친숙한 사람에 의해 좀 더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③ 금기가 아니라면 분만기의 잠재기, 활동기, 이행기 동안 침대에서 일어서거나 샤워를 하거나 걸어 다니도록 한다.
- 교육적 지시
① 분만진행에 대한 사전 지식을 점검, 분만진행에 대해 설명한다.
(분만에 관한 지식은 분만에 대한 두려움을 제거하고 효율적으로 대처하도록 돕는다.)
② 분만 시 할 수 있는 통증 완화법을 알려준다.
(통증이 있는 부위를 마사지하는 적당한 피부자극은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되며, 통증의 경감은 불안을 감소시킨다.)
③ 산부가 분만시작에서부터 태아의 분만까지 예상하는 시간을 포함하여 분만의 정상과정 동안 기대할 수 있는 산부에게 간단히 설명한다.
수행
① 산모의 불안정도를 사정한다. 10점 만점에 8점이라고 대답하였다.
② 분만진행에 대한 사전 지식을 점검, 분만진행에 대해 설명하였다. 초임부로 분만 진행에 대한 지식, 경험이 부족한 상태이다. 진행과정, 소요시간, 통증 대처 방안을 설명하였다.
③ 산모의 등과 허리, 다리를 마사지 해주었다.
④ 옆에서 지켜보고, 산모를 격려함으로써 지지해주었다.
⑤ 전환요법을 사용하였다. 산모와 아기에 관한 이야기를 하였다.
평가
- 분만과정을 이해하였으며 진통 시 불안이 5점으로 감소되었다.
- 예상되는 분만과정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했음을 말로 표현했다.
※ 이상의 평가로 볼때 간호목표는 달성된 것으로 본다.
#3. 분만 중 근육긴장과 관련된 신체불편감
주관적 자료
"힘을 너무 많이 줘서 팔다리가 안아픈데가 없어요"
"손이랑 다리가 계속 저리고 아파요"
객관적자료
- 진통 시 힘을 준 후 팔다리에 힘이 없고 경미한 떨림을 일으켰다.
- 팔 근육이 단단해지고 손이 퉁퉁 부은 모습을 보였다.
목표/기대되는결과
- 산모는 신체적 불편감을 호소하지 않을 것이다.
간호계획(이론적근거)
- 진단적 지시
① 산모가 불편감을 느끼는 부위와 신체변화를 사정한다
(사정하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② 따뜻한 수건을 이용해 근육이 뭉친 부위에 대준다.
(더운물 찜질은 혈류 및 림프액 순환을 촉진하고 울혈이 감소한다)
- 치료적 지시
① 보호자에게 옆에서 손으로 산부의 팔과 다리 등 신체부위를 마사지 해주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격려한다.
(복부근육의 이완을 증진하고 복강의 크기를 증가시켜 자궁과 복벽사이의 마찰과 불편감을 완화시킨다.)
- 교육적 지시
① 산모에게 불편한 느낌이 분만과정 중 진통으로 인한 근육통을 설명하고 이해시킨다.
(분만 중 장시간 불편한 체위를 유지하며 팔, 어깨, 허리, 다리 등 신체여러부위에 근육긴장상태를 지속함에 따라 신체불편감이 생기며 분만 후에 심한 요통을 포함하여 근긴장도 저하 및 근육통이 있을 수 있다.)
수행
① 산모가 불편감을 느끼는 부위와 신체변화를 사정하였다.(다리저림감과 배뭉침을 호소함)
② 따뜻한 수건을 이용해 근육이 뭉친 부위를 대주었다.
③ 손으로 팔과 다리 등 신체부위를 마사지 해주었다.
④ 산모에게 불편한 느낌은 분만 과정 중 진통으로 인한 근육통임을 설명하고 이해시켰다.
평가
- 마사지로 인해 근육이 이완되고 편안함을 느꼈다고 말했다.
- 저린 부분이 많이 괜찮아졌다고 말하며 표정도 한결 편안해보였다.
※ 이상의 평가로 볼때 간호목표는 달성된 것으로 본다.
#4. 제한된 구강섭취, 증가된 분만과정동안의 수분손실과 관련된 체액량 결핍 위험성
주관적 자료
"목 말라요", "추운데 온도 좀 올려주세요."
객관적자료
- 입안이 건조하다고 호소하며 입술이 말라있음.
- 춥다고 호소하며 식은땀이 남
- V/S 110/70mmHg, 92회/분, 37.1℃, 23회/분
목표/기대되는결과
- 수분균형을 유지하며 탈수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 산부는 입안이 더이상 건조하지 않다고 말한다.
- 진통과 분만동안 전해질균형을 유지한다.
간호계획(이론적근거)
- 진단적 지시
①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기록한다.
② 구강점막의 상태를 사정한다.
③ 수분섭취량과 배설량을 모니터하고 기록한다.
(탈수현상이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 치료적 지시
① 건조된 점막을 촉촉하게 하기 위해 구강간호를 제공한다.
(분만 중 수분공급을 하고 탈수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② 처방대로 정맥주입과 구강수분을 섭취하도록 한다.
③ 뇨비중, 전해질과 Hgb/Hct 수치와 같은 검사실 검사 결과를 보고한다.
(뇨비중, 전해질과 Hgb/Hct 수치는 수분소실상태의 지표가 될 수 있다.)
④ 분만실 온도를 조절한다.
(산부의 편안함을 증진시키고 발한으로 인한 수분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 교육적 지시
① 적어도 2시간마다 소변을 보도록 격려한다.
(체액상실 정도와 지속적 방광상태를 사정하기 위함이다.)
② 감지할 수 없는 수분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 조절된 호흡을 격려한다.
(불감성 소실로 인한 수분손실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수행
- 입안의 건조함을 막기위해 거즈에 물을 묻혀 입안을 적시도록 하였다.
- 분만실의 온도를 1~2℃ 올리고 산모는 더이상 춥다고 호소하지 않았다.
- 처방에 따라 정맥주입을 20gtt에서 30gtt로 하였다.
평가
- 정상범위 내의 활력징후를 나타낸다.
- 구강점막이 축축하다.
- 뇨비중이 1.020~1.030이다.
- 전해질 수치가 정상 범위이다.
※ 이상의 평가로 볼때 간호목표는 달성된 것으로 본다.
III. 참고문
이경혜,『여성건강간호학1』, 현문사, 2012, 405~490쪽
http://www.druginfo.co.kr/index.aspx?
http://health.naver.com/medical/testAndTreat/detail.nhn?selectedTab=detail&checkupTreatmentMethodTypeCode=BB&checkupTreatmentMethodCode=BB000059&cpId=ja2#con
키워드
추천자료
[성인간호학] 폐농양(Lung abscess) 케이스스터디
[모성간호학] 아두골반불균형(CPD) 케이스스터디
[정신간호학] 공황장애 (panic disorder, somatization disorder)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성인간호학][Thyroid Cancer][갑상선암]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지역사회간호학] 보건소업무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모성간호학, 응급분만 케이스 스터디
자궁근종 케이스 스터디, 자궁근종 사례연구, 모성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 간경화증 케이스 스터디
아동간호학) Bronchial Asthma(기관지 천식) 케이스 스터디, 기관지 천식 케이스, 천식 케이...
<모성간호학 실습> 산부인과 케이스 스터디 : Adenomyosis(자궁선근증)
한방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 급성 횡단성 척수염(Acute transverse myelitis)
<모성간호학 실습> 산부인과 케이스 스터디 : Leiomyoma of uterus(자궁근종)
모성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여성간호학 임상실습 자궁내막증 케이스자궁내막증 간호과정자궁내막증 간호진단 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