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류, 오광대- 통영오광대, 가산오광대, 동래야류, 수영야류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야류, 오광대- 통영오광대, 가산오광대, 동래야류, 수영야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오광대, 야류
2. 여러 기원과 신화
3. 연희시기와 장소
3.1. 통영오광대
3.2. 가산오광대
3.3. 동래야류
3.4. 수영야류
4. 전체과장
4.1. 통영오광대
4.2. 가산오광대
4.3. 동래야류
4.4. 수영야류
5.인물의 역할 성격비교 -복색, 행동을 보고
5.1. 통영오광대
5.2. 가산오광대
5.3. 동래야류
5.4. 수영야류
6. 탈과 춤사위 비교
7. 음악에 대해서
8.특징분석과 해학, 풍자, 풍요, 벽사
9. 나오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보이는데, 이런 경향은 후대의 변화로 짐작된다. 통영오광대보존회 (okwangdae.com)
가산오광대는 병신춤인 문둥이과장, 정체확인형식의 영노과장, 말뚝이 대사의 확대, 봉사의 독경 등 경남 지방 가면극의 독자성과 향토성을 갖고 있으면서도, 동일 계통의 가면극인 수영야류, 동래야류, 고성오광대, 통영오광대 등 다른 야류나 오광대와 많은 차이를 보인다.오방신장무(五方神將舞)과장은 현전 가면극 가운데 유일하게 가산오광대에서만 연희되고 있다. 그러나 예전에는 진주오광대와 마산오광대에도 오방신장무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가산오광대의 제2과장인 영노과장은 수영야류, 동래야류, 고성오광대, 통영오광대의 영노과장에 통영오광대의 제5과장 포수탈(사자춤)이 결합된 내용이다. 그러므로 특징적인 모습을 갖고 있다. 게다가 가산오광대에는 제1 오방신장무과장의 다섯 신장, 제3 문둥이과장의 다섯 문둥이, 제4 양반과장의 다섯 양반, 제6 할미,영감과장의 다섯 무당 등이 등장함으로써 오행설과의 관련을 강하게 나타내고 있다. 네 번째는 가산오광대에서는 할미와 영감의 싸움에서 영감이 조상단지를 깨고동티가 나서 죽는 내용과 무당들의 진오귀굿이 이채롭다. 다섯 번째는 동래야류, 통영오광대, 고성오광대 등 다른 오광대나 야류의 문둥이과장에는 한 명의 문둥이가 등장하지만, 가산오광대의 문둥이과장에는 다섯 명의 문둥이가 등장한다는 점이다. 여섯째는 가산오광대의 할미, 영감과장은 한국의 가면극 가운데 가장 확대되었으며, 매우 다양한 내용을 수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일곱째는 가산오광대는 진주오광대와 매우 유사한 모습을 보이므로, 두 놀이가 야류와 오광대의 전파과정에서 동일 계통의 놀이를 수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앞의 이두현, 한국의 가면극 일지사와 정상박, 오광대와 들놀음 연구, 1986를 상호참고하였다.
동래야류는 같은 계통의 오광대 탈놀음과 달리 오방신장춤과 파계승에 대한 풍자, 사자춤 등이 빠져 있다. 또 양반에 대한 조롱과 모욕으로 지배층에 대한 저항 의식을 강하게 표현하고 있다. 놀이 과장의 앞과 뒤에 탈놀이 패와 관중이 함께 추는 군무(群舞)가 있어 마을 공동체의 일체감을 조성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또 대동놀이인 동래줄다리기와 밀착되어 있을 뿐 아니라, 동민을 비롯한 지역민의 자발적인 참여로 단결과 애향심을 기르는 사회성이 강한 집단 연희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춤사위와 장단에서 지방적 특색이 뛰어난 민속 가면극이다. 부산역사문화대전-<동래야류>와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동래야류>를 참고하였다.
인근의 동래야류가 수영야류에서 분파되었다고 하지만, 동래야류는 사자마당이 성립되어 있지 않은 대신 문둥이마당이 있다. 그리고 수영의 말뚝이탈은 양식적이지만 동래의 말뚝이탈은 사실적이고, 수영의 덧뵈기춤은 방어적이지만 동래의 춤사위는 포용적이며, 수영의 영노는 양반을 잡아먹는 상극 원리를 보이지만 동래의 영노는 양반과 화해하는 상생 원리를 보이는 식으로 동일한 들놀음 전승권에 속하면서도 제각기 다른 지역적 특징을 보인다. 문둥이과장이 없고 사자무과장이 포함되는 것이 동래야류와의 차이점이다. 진행 과정에 당산제, 우물고사, 탈제, 탈 소각 등이 있으며, 말뚝이 탈이 벽사탈의 모양을 하고 있어 여느 가면극보다 제의성(祭儀性)이 강하다. 또 영노가 양반을 잡아먹는 등 양반 사회에 대한 저항심도 강하게 드러낸다. 특히 사자 과장은 수영의 지세(地勢)와 결부되어 지방색이 짙은 과장이라 할 수 있다. 세시풍속사전 <수영야류>와 부산역사문화대전-<수영야류>를 참고하였다,
9. 나오며
지금까지 오광대와 야류를 살펴보았다. 같은 경남지방의 비슷한 구성을 탈놀음을 갖고 있으며 오광대와 야류의 춤 모두 ‘덧뵈기춤’이 중심이 되는 등 비교가 되고 있는데, 그 분류에 대해서는 낙동강을 분류로 들기도 하지만, 아마도 그 지역의 문화토대가 다르다고 생각한다고 말하였다. 오광대와 야류가 다른 탈놀음과 다르다고 확실하게 느낀 것은 제의성이 강하다는 것이었다. 다른 탈놀음에서도 제의성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탈놀음이전, 도중, 이후에 모두 제사적인 특성이 들어간 것은 처음이었던 것 같다. 분문에서는 이런 점을 동해안 굿놀이와 비교하기도 하였는데, 이런 점에서 아마도 오광대와 야류는 산대도감계통에서 나타났다는 것이 맞다고 해도 그 나름의 역사도중에 그 토착문화가 스며들어 새로운 탈놀음의 성격을 가진 것 같다. 또한 안동의 하회가면극과도 연관이 있는 것 같기도 한 것 같다. 그리고 영노나 담비와 같은 다른 탈놀음에서 나오지 않는 동물이나, 모양반과 같은 특이한 인물도 있고 말뚝이등과 같은 다른 탈춤에서도 나오는 인물 등 다양한 요소들이 합쳐진 것으로 그 탈놀음의 형성은 다른 탈놀음과도 연관이 있고, 한편으로는 같은 나라의 향토설화 같은 것이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하게 되었다. 아무튼 위의 네 탈놀음 외에도 다른 야류와 오광대가 있어 이것들의 연관도 연구하는 것도 좋은 기회가 되리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동래야류, 국립문화재연구소 음반자료 시리즈 35, 국립문화재연구소, 2004
-통영오광대, 국립문화재연구소 음반자료 시리즈 37, 국립문화재연구소, 2004
-김경남, 동래야류, 화산문화, 2000
-김영일, 오광대놀이의 이중구조, 가라문학 7, 경남대 가라문학연구소, 1989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 <가산오광대>
-박진태, 통영오광대, 화산문화, 2001
-부산민속보존협회 (www.pusanminsok.or.kr) -동래야류
-부산역사문화대전-<동래야류><수영야류>
-뿌리패 예술단 (www.puripae.co.kr)-수영야류
-사이버 하회동 탈박물관(www.mask.org/museum)-<가산오광대>
-세시풍속사전 <통영오광대> <가산오광대> <동래야류> <수영야류>
-수영고적민속보존회, 수영전통예능, 1993
-이두현, 한국의 가면극, 1979, 일지사
-전경욱, 탈놀이의 역사적 연구, 구비문학연구5, 한국구비문학회, 1997
-정상박, 수영야류, 화산문화, 2001
-정상박, 오광대와 들놀음 연구, 집문당, 1986.
-통영오광대보존회 (okwangdae.com)
-한국민족대백과사전 <가산오광대>
  • 가격3,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7.10.13
  • 저작시기201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58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