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정서의 분화
1. 공포
2. 분노
3. 애정
II. 애착행동의 발달
1. 애착행동의 개념과 기능
2. 인간에 대한 신뢰형성의 기초
3. 애착관계의 특성
4. 애착관계의 형성과정
5. 애착의 종류
1) 안전한 애착
2) 양가적 애착
3) 회피적 애착
* 참고문헌
1. 공포
2. 분노
3. 애정
II. 애착행동의 발달
1. 애착행동의 개념과 기능
2. 인간에 대한 신뢰형성의 기초
3. 애착관계의 특성
4. 애착관계의 형성과정
5. 애착의 종류
1) 안전한 애착
2) 양가적 애착
3) 회피적 애착
* 참고문헌
본문내용
같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애착대상에 접근하려 한다. 둘째, 다른 사람 보다 애착 대상이 영아를 잘 달래고 안정시킬 수 있다. 셋째, 유아는 애착인물과 같이 있을 때 즐거워하고 낯선 대상을 접해도 불안을 덜 나타내고 애착 대상을 안전기지 삼아 주위환경을 탐색한다.
(4) 애착관계의 형성과정
첫 단계로서 영아는 다른 대상에 비해 사람을 비롯한 사회적 대상을 선호하나 특정 대상을 구분하지는 않는다. 생후 5주 이후 영아는 특정 대상에 대한 구분 없이 사회적 미소를 표현하는데, '배냇짓'이 대표적 반응이다.
둘째 단계는 생후 5개월이 되면 친숙한 대상과 낯선 대상간의 구분이 생기면서 양육자에게 보다 분명한 사회적 미소를 자주 보낸다.
6-7개월 경이 되면 본격적인 애착 관계가 형성되기 시작한다. 영아는 엄마의 냄새, 음성, 안는 방법, 얼굴 모습 등 여러 감각, 지각적 단서를 통합해서 어머니를 알게 된다. 이 기간 동안 어머니도 아이의 독특성에 대해 잘 알게 되어 상호작용 방식을 조절해 간다.
셋째 단계에서는 영아가 비로소 특정 대상에 대한 강한 집착을 보이며 애착 대상과 떨어질 때에는 분리불안을 나타낸다. 낯가림이 이 시기 동안 서서히 나타난다. 이런 격리불안은 애착 대상과 떨어지는 경험이 늘어날수록 강해지는데 6~8개월 경에 나타나서 10-12개월경에 절정을 이루다가 2세 경에 이르러 소멸된다.
(5) 애착의 종류
1/ 안전한 애착
안전한 애착(secure attachment)을 이룬 영아는 그 어머니를 안전기지로 사용하며 어머니와 떨어지게 되면 설어하고 무서워하고 당황하지만, 어머니와 재결합할 때 어머니를 환영하고 어머니에게 매달리며 어머니가 위로를 해 주고 토닥거려 주면 만족하고 다시 자기놀이를 한다든가 주의탐색을 하는 아이들이다. 말하자면 재결합시 어머니에 대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다시 확신을 가지고 자기의 활동에 들어 갈 수 있다.
2/ 양가적 애착
양가적 애착(ambivalent attachment)을 가진 영아는 부모와 격리했다가 재결합할 때 어머니를 반기는 듯하지만 어머니가 그를 위로하고 달래려고 할 적에 도망쳐 버리는 행동을 보이고, 쉽게 위로받지 못하고 화난 듯 하면서 감정적으로 불안정한 상태가 지속되는 경우이다.
3/ 회피적 애착
회피적 애착(avoidant attachment)을 가진 영아는 어머니가 돌아왔을 때 별로 어머니와 접촉을 원하지도 않고 울지도 않는 상태이며 일반적으로 외부인이 다가올 때도 크게 당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4) 애착관계의 형성과정
첫 단계로서 영아는 다른 대상에 비해 사람을 비롯한 사회적 대상을 선호하나 특정 대상을 구분하지는 않는다. 생후 5주 이후 영아는 특정 대상에 대한 구분 없이 사회적 미소를 표현하는데, '배냇짓'이 대표적 반응이다.
둘째 단계는 생후 5개월이 되면 친숙한 대상과 낯선 대상간의 구분이 생기면서 양육자에게 보다 분명한 사회적 미소를 자주 보낸다.
6-7개월 경이 되면 본격적인 애착 관계가 형성되기 시작한다. 영아는 엄마의 냄새, 음성, 안는 방법, 얼굴 모습 등 여러 감각, 지각적 단서를 통합해서 어머니를 알게 된다. 이 기간 동안 어머니도 아이의 독특성에 대해 잘 알게 되어 상호작용 방식을 조절해 간다.
셋째 단계에서는 영아가 비로소 특정 대상에 대한 강한 집착을 보이며 애착 대상과 떨어질 때에는 분리불안을 나타낸다. 낯가림이 이 시기 동안 서서히 나타난다. 이런 격리불안은 애착 대상과 떨어지는 경험이 늘어날수록 강해지는데 6~8개월 경에 나타나서 10-12개월경에 절정을 이루다가 2세 경에 이르러 소멸된다.
(5) 애착의 종류
1/ 안전한 애착
안전한 애착(secure attachment)을 이룬 영아는 그 어머니를 안전기지로 사용하며 어머니와 떨어지게 되면 설어하고 무서워하고 당황하지만, 어머니와 재결합할 때 어머니를 환영하고 어머니에게 매달리며 어머니가 위로를 해 주고 토닥거려 주면 만족하고 다시 자기놀이를 한다든가 주의탐색을 하는 아이들이다. 말하자면 재결합시 어머니에 대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다시 확신을 가지고 자기의 활동에 들어 갈 수 있다.
2/ 양가적 애착
양가적 애착(ambivalent attachment)을 가진 영아는 부모와 격리했다가 재결합할 때 어머니를 반기는 듯하지만 어머니가 그를 위로하고 달래려고 할 적에 도망쳐 버리는 행동을 보이고, 쉽게 위로받지 못하고 화난 듯 하면서 감정적으로 불안정한 상태가 지속되는 경우이다.
3/ 회피적 애착
회피적 애착(avoidant attachment)을 가진 영아는 어머니가 돌아왔을 때 별로 어머니와 접촉을 원하지도 않고 울지도 않는 상태이며 일반적으로 외부인이 다가올 때도 크게 당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인간발달의 4단계
인간발달의 원리에 대해 요약 설명 자료
인간발달의 단계 태아기와 아동기까지0
인간발달단계 중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단계의 특성과 왜 그 단계가 가장 중요한지에 ...
에릭슨의 인간발달단계에 대하여 설명하고, 각 8단계의 심리사회적 위기에 대하여 설명 - 신...
자신이 속한 인간발달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신건강의 문제는 무엇이며 어떻게 대처하고 ...
인간발달 단계에 따른 원리에 대하여 설명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 성숙과 학습, 연속성과 ...
인간발달과정에 따른 주요과업과 정신건강과의 관계에 관하여 서술.
청소년기와 노년기의 인간발달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사회복지사의 실천과제에 대...
인간발달1공통) 나이가 들어가면서 남녀 간 성역할 특성이 변화되는 것을 융의 주장을 중심으...
인간발달 - 나이가 들어가면서 남녀 간 성역할 특성이 변화되는 것을 융의 주장을 중심으로 ...
인간발달의 단계설과 비단계설
인간발달의 원리와 기본성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