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Conscientious objection’
이라는 영어 표현의 한국식 번역
종교적,도덕적,윤리적 양심에 따라 군대의 전투원이 되기를 거부하거나 아예 전쟁조직인 군대의 일부가 되기를 거부하는 것.으로서,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라는 표현임
‘양심적 병역 거부의 근거 조항’
헌법 제 19조 모든 국민은 양심의 자유를 가진다.
헌법 제 37조 국민의 자유와 권리는 헌법에 열거되지 아니한 이유로 경시되지 아니한다.
국민의 모든 자유와 권리는 국가안전보장, 질서유지 또는 공공복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법률로써 제한할 수 있으며, 제한하는 경우에도 자유와 권리의 본질적인 내용을 침해할 수 없다.
헌법 제 39조 모든 국민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국방의 의무를 진다.
누구든지 병역 의무의 이행으로 인하여 불이익한 처우를 받지 아니한다.
이라는 영어 표현의 한국식 번역
종교적,도덕적,윤리적 양심에 따라 군대의 전투원이 되기를 거부하거나 아예 전쟁조직인 군대의 일부가 되기를 거부하는 것.으로서,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라는 표현임
‘양심적 병역 거부의 근거 조항’
헌법 제 19조 모든 국민은 양심의 자유를 가진다.
헌법 제 37조 국민의 자유와 권리는 헌법에 열거되지 아니한 이유로 경시되지 아니한다.
국민의 모든 자유와 권리는 국가안전보장, 질서유지 또는 공공복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법률로써 제한할 수 있으며, 제한하는 경우에도 자유와 권리의 본질적인 내용을 침해할 수 없다.
헌법 제 39조 모든 국민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국방의 의무를 진다.
누구든지 병역 의무의 이행으로 인하여 불이익한 처우를 받지 아니한다.
추천자료
우리나라 병역비리와 그 해결방안
병역 의무의 정치학에 관한 고찰
국적포기와 병역기피
한국병역제도의 문제점과 대안으로서의 모병제
[병역특례]한국야구의 wbc 대회의 4강 진출과 병역특례부여에 따른 찬반 논쟁과 대책
여성의 병역의무부과에 대한 논의의 핵심과 발전방안
병역의무이행과 형평성
병역비리 병역기피의 문제점과 해결방안0k.
병역처분자가진단을 위한 전문가시스템
종교의 자유 및 양심의 자유에 따른 양심적 반전론
[군입대, 군대 입대, 군조직, 병역의무, 사병인권]군입대(군대 입대)와 군조직, 군입대(군대 ...
한국 병역제도 실정과 대책마련에 관한 고찰 - 한반도 주변의 안보 환경을 중심으로
모병제의 찬반 : 모병제(募兵制 / volunteer military system)의 찬반토론, 찬성과 반대의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