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결론
참고문헌
본론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따]의 경우에도 예외적으로 표준 발음으로 허용하기로 하였다. 따라서 ‘맛있다’의 경우에는 [마싣따]와 [마딛따] 모두가 표준 발음으로 인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로 ‘효과’와 ‘자장면’의 예를 들 수가 있다. ‘효과’라는 단어를 표준어로 발음할 때 실제 우리나라에서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하던 발음은 [효꽈]였으나 일제의 잔재라는 등의 다양한 상황으로 인하여 [효과] 역시 표준 발음으로 인정하고 있다. 또한 ‘자장면’ 또한 최근에 들어서까지 [자장면]만을 표준 발음으로 규정짓고 있었으나, 통상적으로 [짜장면]이라는 발음을 더 많이 사용해왔고, 이러한 전통성을 바탕으로 하여서 표준 발음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결론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표준 발음을 지정할 때에는 그 대원칙도 중요하지만, 사람들에게 얼마나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는가, 또 언어를 사용할 때 얼마나 합리적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해지는가 등을 고려하여 지정되고 있다. 즉, 표준 발음법에서는 표준발음을 정할 대 현대를 살아가고있는 서울 사람들이 실제로 현실에서 사용되는 발음도 충분히 고려해야만 하지만,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전통적인 발음 역시 감안하여 지정해야만 한다. 또한 더 나아가서 비슷한 환경에 있는 다른 수많은 단어들의 발음까지도 감안한 합리적인 원칙을 만들어야만 한다.
참고문헌
1. 김선철. \"국어대사전의 새로운 발음정보 처리 방법에 대하여.\" 언어학 46 (2006): 115-130.
2. 김봉국. \"음운론적 관점에서 본 [표준어 규정 (제 2 부 표준 발음법)] 의 문제점.\"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9.1 (2008): 151-174.
결론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표준 발음을 지정할 때에는 그 대원칙도 중요하지만, 사람들에게 얼마나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는가, 또 언어를 사용할 때 얼마나 합리적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해지는가 등을 고려하여 지정되고 있다. 즉, 표준 발음법에서는 표준발음을 정할 대 현대를 살아가고있는 서울 사람들이 실제로 현실에서 사용되는 발음도 충분히 고려해야만 하지만,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전통적인 발음 역시 감안하여 지정해야만 한다. 또한 더 나아가서 비슷한 환경에 있는 다른 수많은 단어들의 발음까지도 감안한 합리적인 원칙을 만들어야만 한다.
참고문헌
1. 김선철. \"국어대사전의 새로운 발음정보 처리 방법에 대하여.\" 언어학 46 (2006): 115-130.
2. 김봉국. \"음운론적 관점에서 본 [표준어 규정 (제 2 부 표준 발음법)] 의 문제점.\"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9.1 (2008): 151-174.
추천자료
사동법에 관한 연구
한국어 조사의 갈래와 특성
표준발음법 사례
표준화법 관련 교과서 분석
한글맞춤법에서 두음법칙과 관련된 표기 규정을 요약하고 구체적인 용례를 들어 설명 go
한글맞춤법에서 준말과 관련된 표기 규정을 요약하고 구체적인 용례를 들어 설명go
[사투리][방언][지역어][지방사투리][표준어][사투리(방언) 사례]사투리(방언)의 연구 동향, ...
법의학 용어
한국어의 음운변동(phonological rule)의 이해
인도네시아어를 중심으로 한 제 3국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학습상의 오류와 수정 방안
[알타이어, 알타이어 특징, 한국어, 돌궐어계민족, 알타이어족, 몽골어계민족, 알타이]알타이...
자료수집의 정의, 자료수집의 방법, 자료수집과 자료, 자료수집과 면접법, 자료수집과 검사법...
[음절구조, 최적성이론, 고대국어,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불어, 프랑스어]음절구조와 최적...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시제 교육 방안 연구 - ‘-았’‘-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