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목차
1. 중국 인터넷 콘텐츠 산업 현황
2. 인터넷 콘텐츠 산업 업종별 현황
3. 콘텐츠에 투자되는 막대한 자본
4. 플랫폼을 기반으로 글로벌로 진출하는 중국 기업
2. 인터넷 콘텐츠 산업 업종별 현황
3. 콘텐츠에 투자되는 막대한 자본
4. 플랫폼을 기반으로 글로벌로 진출하는 중국 기업
본문내용
인터넷 콘텐츠 관련 2015년 매출은 2,909억 위안(약 48조원)이었으며, 2016년 약 4,000억 위안(약 66조 원)으로 예측하고 있음
판권거래규모와 주변기기 판매량을 합산한 산업 가치는 2015년엔 4,200억 위안(약 70조원)을 돌파하 였고, 2016년에는 5,600억 위안(약 93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
인터넷 게임이 가장 많은 매출을 점유하고 있으며, 광고/동영상 등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음. 음악 또한 판권 환경의 개선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애니/음악/개인방송/VR/e스포츠 등 새로운 콘텐 츠의 등장으로 산업 환경이 더욱 다양해지고 있음
2012년부터 2015년까지 크랙판 IP 모바일 게임의 비율이 점차 감소하면서, 정품 IP 이용 비율이 늘어 나고 있음
음악산업에 있어서도 정품 음원을 이용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관심 없다고 답한 사람이 57.8%로 가장 많았지만, 신경을 쓰고 있다는 비율 또한 32.1%로 비교적 높게 나타남. 이는 2015년부터 시행된 중국 정부의 저작권 규제 강화 정책과도 큰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판권거래규모와 주변기기 판매량을 합산한 산업 가치는 2015년엔 4,200억 위안(약 70조원)을 돌파하 였고, 2016년에는 5,600억 위안(약 93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
인터넷 게임이 가장 많은 매출을 점유하고 있으며, 광고/동영상 등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음. 음악 또한 판권 환경의 개선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애니/음악/개인방송/VR/e스포츠 등 새로운 콘텐 츠의 등장으로 산업 환경이 더욱 다양해지고 있음
2012년부터 2015년까지 크랙판 IP 모바일 게임의 비율이 점차 감소하면서, 정품 IP 이용 비율이 늘어 나고 있음
음악산업에 있어서도 정품 음원을 이용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관심 없다고 답한 사람이 57.8%로 가장 많았지만, 신경을 쓰고 있다는 비율 또한 32.1%로 비교적 높게 나타남. 이는 2015년부터 시행된 중국 정부의 저작권 규제 강화 정책과도 큰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
키워드
추천자료
중국의 세계무역기구 가입에 따른 한중 변화의 추이
중국의 금리인상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중국의 경제체제 및 제도 개혁
중국-양무운동
중국에서의 브랜드 전략
중국으로 반환된 후의 홍콩 경제의 상황에 대해 알아본 후 CEPA 체결의 원인과 CEPA 체결이 ...
중국에서의 유한책임회사 설립 규정과 회사법
중국 경제성장과 한국경제
중국, 베트남, 북한의 개혁 개방 정책 비교
중국 발 불량식품 파동과 대책 새우깡생쥐대가리유출사건관련
중국의 빈부격차
중국의 한국온라인게임 열풍과 방한 관광객 유치전략
중국 가전 시장 현황과 우리의 대응 방안
중국기업의 한국시장진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