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그저 다른 선택을 한 것뿐
2) 자퇴생에 대한 편견들
3) 시행착오를 거치다
4) 공교육의 대안
5) 다시 시작한다.
3. 결론
2. 본론
1) 그저 다른 선택을 한 것뿐
2) 자퇴생에 대한 편견들
3) 시행착오를 거치다
4) 공교육의 대안
5) 다시 시작한다.
3. 결론
본문내용
대 말에 탈학교실천연대(최근에 학력폐지연대로 이름을 바꾸었다)가 결성되고 『민들레』 라는 대안교육 잡지가 만들어 지면서 다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탈학교실천연대를 이끌고 있는 이한은 『학교를 넘어서』, 『탈학교의 상상력』 이란 책을 냈는데, 그의 핵심적 생각은 일리치와 별로 다르지 않다. 『민들레』 는 우리 사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배움의 방식을 소개하는 한편 네트워크를 만들어 가면서 학교 밖의 공간을 학습의 장으로 바꾸어 가고 있다.
탈학교운동에 대해 교육운동 진영의 일부 그룹에서는 비판적인 시각을 보이기도 한다. 정부가 신자유주의적 교육개혁을 추진하면서 학교의 위기가 가속화하고 있는데 탈학교운동이 이런 분위기를 조장할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학교가 문제가 많은 것은 사실이지만 '복지로서의 교육권' 을 실현하는 장소이기 때문에 학교교육을 내실화하는 데 온 힘을 집중해야 한다고 것이 그들의 논리다.
이에 대해 탈학교실천연대는 복지로서의 교육권을 구현하는 방식이 반드시 학교일 필요는 없으며 신자유주의를 넘어서기 위해서라도 교육의 판을 새롭게 짜야 한다고 대응한다. 일리치의 교육론이 위기에 빠진 한국의 교육에 새로운 전망을 줄 것인지 판단하기는 이르다. 그러나 뜻은 좋은데 이상적이고 과격한 것으로 치부되던 일리치의 사상이 현실화되는 조짐이 여기저기서 보이고 있다.
<참고문헌>
『교육사회학총론』이종각, 동문사, 1996
『교육사회학』김경식 외저, 교육과학사, 2002
<학부모 연대 www.hakbumo.netian.com>
<시민시대 www.magsimin.com/article>
탈학교운동에 대해 교육운동 진영의 일부 그룹에서는 비판적인 시각을 보이기도 한다. 정부가 신자유주의적 교육개혁을 추진하면서 학교의 위기가 가속화하고 있는데 탈학교운동이 이런 분위기를 조장할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학교가 문제가 많은 것은 사실이지만 '복지로서의 교육권' 을 실현하는 장소이기 때문에 학교교육을 내실화하는 데 온 힘을 집중해야 한다고 것이 그들의 논리다.
이에 대해 탈학교실천연대는 복지로서의 교육권을 구현하는 방식이 반드시 학교일 필요는 없으며 신자유주의를 넘어서기 위해서라도 교육의 판을 새롭게 짜야 한다고 대응한다. 일리치의 교육론이 위기에 빠진 한국의 교육에 새로운 전망을 줄 것인지 판단하기는 이르다. 그러나 뜻은 좋은데 이상적이고 과격한 것으로 치부되던 일리치의 사상이 현실화되는 조짐이 여기저기서 보이고 있다.
<참고문헌>
『교육사회학총론』이종각, 동문사, 1996
『교육사회학』김경식 외저, 교육과학사, 2002
<학부모 연대 www.hakbumo.netian.com>
<시민시대 www.magsimin.com/article>
추천자료
[학교론]과거에서부터 지금까지의 학교의 목적과 학교란과연 필요한 것인지 학교에대한 비판...
[경제]개인의 소비 행위에는 타인에 대한 배려가 필요 없는 것인가?
국가가 필요없는 교육 독후감상문
이반일리치의 탈학교론 비판
탈학교론에 대한 깔끔한 정리
우리는 영원한 학교 사회복지사 이고 싶다를 읽고 느낀점과 앞으로 학교사회 사업에 필요한 ...
클라이언트가 동의할 수 없는 결정을 내린다면(예: 18세 여고생이 임신한 아이를 낳아 입양하...
학교 교육에서 드러나고 있는 과도한 경쟁과 격차의 문제의 원인은 무엇이며 사회문제로서 어...
학교사회사업론_본인이나 주변 사람들이 학창시절 학교에서 겪었던 어려움이 무엇인지 기술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