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사회복지의 발전과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료사회복지의 발전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의료사회복지의 발전과정

I. 의료사회복지의 기원
1. 간호사들의 봉사활동
2. 부녀봉사원들의 활동
3. 정신병 환자의 사후 지도
4. 의과대학생들의 봉사활동

II. 서양 의료사회복지의 발달
1. 영국 의료사회복지의 발달
2. 영국 의료사회복지의 개척자들
1) 로크
2) 스튜어트
3) 머드
4) 커민스
3. 미국 의료사회복지의 발달
4. 미국 의료사회복지의 개척자들
1) 캐보드
2) 펠튼
3) 케논

III. 한국 의료사회복지의 발달
1. 의료사회복지의 기원
2. 의료사회복지의 도입기
3. 의료사회복지의 정착기

*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 그 외의 많은 의사들과도 잘 알고 있었고 이 병원의 상황을 잘 파악하고 있었다. 그녀는 주로 결핵환자를 돌보는 일을 담당하였는데 주요업무는 외래 진료부에 오는 결핵 환자들의 결핵에 대한 공포, 무지에 대한 상담뿐 아니라 치료에 대한 의심 때문에 의사의 처방을 이해하지 못하는 환자들과 의사가 장기 요양소에 가도록 권장하여도 가정이나 직업문제 때문에 의사의 지시를 따르지 못하는 환자들을 도와서 적절한 치료를 받도록 하는 것이었다.
6개월 후 그녀는 병으로 퇴직하였으나 펠튼의 업무는 경험 있는 사회복지사 캐논(Miss. Canon)에게 인계되었다.
3/ 케논(Ida M. Cannon)
케논은 1906년 가을 무렵에 펠튼의 뒤를 이어 메사추세츠 종합병원 외래 진료부에 근무하게 되었다. 메사추세츠 종합병원 외래 진료부는 항상 환자들로 붐비었는데, 여러 유형의 인종과 경제상태가 어려운 사람들이 모였다.
그녀는 1905-1906년 사업보고에서는 그동안 담당하였던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상태의 관련성에 대해 설명하면서 올바른 진단과 적절한 치료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의 중요성에 대해 발표하였다.
이러한 캐보트의 끊임없는 지도와 노력 그리고 캐논 여사의 활약에 의해 모든 병원 내에 전문 사회복지사업 업무가 조직되어 의료사회복지는 서서히 발전하게 되었다. 이상과 같이 캐보트와 캐논은 의료사회복지의 확립과 발전에 커다란 공헌을 하였다.
III. 한국 의료사회복지의 발달
(1) 의료사회복지의 기원
우리나라에서 역사적으로 동서대비원, 혜민국, 활인서 등의 기관에서 빈민의 구제와 가난한 환자의 치료를 감당하였던 것과, 1883년 세브란스에서 여전도회 회원으로 구성된 자원봉사자들이 Lady Almoner(사회사업부원)의 역할을 한 것을 의료사회복지의 기원이라 볼 수 있다.
(2) 의료사회복지의 도입기
현대적 의미의 의료사회복지의 시작은 1950년대 후반부터이다. 1958년 한노병원에서 유니테리언 봉사회가 결핵환자와 그 가정을 위해 인적 물적 자원을 지원하였다. 1959년에는 국립의료원, 원주기독병원 등에서 의료사회복지가 시작되었는데, 주로 빈민 환자들에게 물질적인 원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종교단체의 인적, 물적 후원업무가 주를 이루었다.
1962년에는 국립정신병원과 가톨릭부속 성모병원에서 정신질환자의 진단과 치료과정에 사회복지사가 참여하였는데 이때에는 병원의 정식직원이 아면 불안정한 신분에서 업무를 추진하였던 것으로 보여진다.
병원 내 사회사업과나 사회사업실이 정식으로 편성되어 의료사회복지 업무가 시작된 것은 1964년 연세의대 부속 세브란스병원, 1966년 계명의대 부속 동산의료원, 1968년 전주 예수병원, 고려병원, 중앙대 부속병원, 1971년 이화여대 부속병원, 서울기독병원, 안양정신병원, 고려대의대 부속병원, 1975년 성분도 병원, 1976년 가톨릭의대 부속 산업재해병원, 서울백제병원, 1977년 대구파티마병원, 국립보훈병원의 순이다. 이 시기에는 가정방문과 순회진료를 통하여 환자와 가족의 경제 심리 사회적 문제해결에 힘썼으며 지역사회 의료사회복지사업을 전개하였다. 이후로도 의료사회복지를 시작하는 병원이 계속적으로 늘어나게 되었지만, 초창기에는 의료사회복지에 대한 병원 측의 이해부족 등으로 초기부터 어려움이 많았고, 독립된 부서로 존재하면서도 전문직으로 발전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3) 의료사회복지의 정착기
19년 9월 20일 대통령령 제6863호(의료법 시행령 24조 2항 5조)로 개정된 의료법시행령에 '종합병원에는 사회복지사업법의 규정에 의한 사회복지사업 종사자 자격 중에서 환자의 갱생 재활과 사회복귀를 위한 상담 및 지도 업무를 담당하는 요원을 1인 이상 둔다.'라고 개정되어 병원 내 의료사회복지 활동이 법적으로 규정되었다. 같은 해 '대한의료사회복지사협회'가 창립되어 의료사회복지사의 전문화와 권익 신장을 도모하게 되었다.
1977년 7월 의료보험제도가 실시되면서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의 치료활동에 대한 보험수가를 청구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의료사회복지의 확대에 크게 기여하였는데, 정신과를 중심으로 한 단과병원에서 사회복지사의 채용이 증가하게 되었고 이후 의료사회복지를 위한 사회사업과가 많은 병원에 신설되어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이후, 1978년 부산 한병원, 1979년 부산 메리놀 병원, 1980년 부산 아동병원, 1982년 인제대부속 백병원, 1983년 서울 적십자병원, 영동세브란스병원, 목포 성골롬병원, 마산 고려병원 등에서 의료사회복지가 시작되었다.
1977년 의료보험제도가 시행되면서 의료수요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의료기관도 급증하였다. 이때 의료 수요와 공급이 급격히 증가하는 과정에서 의료의 질 저하에 대한 우려가 높아졌고, 이에 1981년 '병원표준화 심사'가 도입되었다. 의료사회복지부문은 1983년 이 병원표준화 심사제도에 포함되었는데 이는 의료사회복지사업에 대한 인식을 확대할 계기가 되었다.
1992년에는 의료보험 요양급여 기준 진료수가 기준(골수이식 기관 인정 등 기준인력 시설 빛 장비 기준 3항 3호)에 '훈련된 간호사, 사회복지사, 영양사, 기타 필요인력이 상근하여야 한다. ' 규정함으로써 골수이식 과정에 사회복지사의 참여를 제도화하였고, 1994년에는 3개 항목에 대하여 재활의학적 사회사업수가가 보험으로 인정됨으로써, 재활의학과에 대한 사회복지의 개입 필요성이 강조되었고, 1995년에는 의료기관 서비스평가제도는 의료사회사업서비스의 질 보장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1999년에는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시행령에 사회복지사가 규정됨으로써, 의료사회복지사의 업무 영역을 확대하게 되었다.
* 참고문헌
자원봉사 여가 및 취미생활 - 한국생애설계협회 저, 2016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자원봉사관리론 - 최유미 저, 공동체, 2015
시민사회와 자원봉사 - 김동배 저, 학지사, 2005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8.01.22
  • 저작시기201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39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