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관계의 기본원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실천관계의 기본원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개별화
1. 클라이언트의 권리와 욕구
2. 사회복지사의 역할
3. 개별화의 방법

II. 의도적 감정표현
1. 의도적 감정표현의 필요성
2. 사회복지사의 역할
3. 의도적 감정표현
1) 조사에 관련된 감정표현
2) 사정에 관련된 감정표현
3) 치료에 관련된 감정표현

III. 통제된 정서적 관여
1. 민감성
2. 이해
3. 반응

IV. 수용
1. 클라이언트의 욕구
2. 사회복지사의 역할
3. 수용의 장애요인

V. 비심판적 태도
1. 클라이언트의 욕구
2. 비심판적 태도의 가치와 기준
3. 비심판적 태도의 전달

VI.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
1. 클라이언트의 권리와 요구
2. 사회복지사의 역할
3. 자기결정의 한계

VII. 비밀보장
1. 비밀보장의 종류
2. 집단비밀
3. 비밀보장의 한계

*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회복지사의 수용적 태도와 심리적 지지를 통해 클라이언트가 스스로 자기와 자기 문제를 이해하고 내외 자원을 활용하여 자기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인간관계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한편 사회복지사의 부정적 역할은 첫째, 사회복지사가 문제해결의 중요한 책임을 맡고 클라이언트에게는 종속적 역할만 하도록 허용하고, 둘째, 클라이언트가 요구하는 서비스에 관계없이 클라이언트의 사회적 정서적 생활의 사소한 면을 도우려고 하며, 셋째,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 클라이언트를 조성하려고 하며, 넷째, 통제적 방식으로 설득하는 점이다.
(3) 자기결정의 한계
클라이언트의 신체적 정신적 능력을 넘고 도덕을 위반하며 법을 어기고 사회기관의 규정을 벗어난 자기결정에는 한계가 있다.
첫째,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은 클라이언트의 능력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클라이언트에게 자기결정의 능력이 없다면 객관적 평가를 해야 한다.
둘째, 클라이언트의 자기 생활에 대한 선택과 결정은 도덕적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부도덕한 행동으로의 선택과 결정에 대한 바른 안내가 필요하다.
셋째,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은 법적인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합법적이지 못한 극단적이고 일방적인 선택과 결정에 대해서 올바른 정보제공 등 안내가 필요하다.
넷째,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이 서비스를 제공받는 기관의 규정과 기능의 범주 안에서 유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은 사회복지사와의 상호작용, 사회복지자원인 서비스 제공기관과의 유기적 상호관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VII. 비밀보장
비밀보장(confidentiality)은 모든 클라이언트의 기본적 권리에 기초한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의무이며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본요건으로 전문적 관계에서 알게 되는 클라이언트에 관한 정보를 지켜 주는 것이다. 그러나 클라이언트의 권리가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비밀보장은 클라이언트의 비밀을 보존하는 데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클라이언트의 다른 권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한 수단이다.
(1) 비밀보장의 종류
자연적 비밀(the natural secret)이란 개인의 전과나 범죄, 비행에 관한 정보로 본인의 명예를 훼손하거나 양자, 사생아, 혼혈아 등의 사실이 알려지면 본인 또는 관계자들이 당혹할 정보이며, 계약적 비밀(the promised secret)이란 클라이언트 본인의 명예는 훼손되지 않지만 본인이 사람들에게 알리고 싶지 않은 후처, 재혼, 기아, 쌍둥이 등 개인의 사생활에 관한 정보이고 위탁적 비밀(the entrusted secret)이란 클라이언트가 사회복지사 이외의 제삼자에게 알리는 것을 꺼리는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간의 상호 신뢰에 의해서 지켜지는 정보이다.
(2) 집단비밀
클라이언트의 사례에 대한 정보가 기관 내 다른 직원에게 전달되지 않으면 도움이 되지 않을 때 관련인에게는 정보가 상호 유통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사례의 비밀이 사회기관 내에 전달되지만 관계직원은 외부에 대하여 이 비밀을 보호할 의무가 있다. 이것이 집단비밀이며 이것을 기관 내에서는 대외적으로 보호할 의무가 있다.
집단비밀은 첫째, 사회복지사가 어떤 자유계약의 사회복지사가 아니라 사회복지기관의 대리자이거나, 둘째, 기관이 비밀정보를 기관 내의 다른 직원에게 알리지 않고서는 효과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없는 경우 고려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밀정보가 여러 사람에게 알려지더라도 비밀을 보존할 의무가 면제되는 것이 아니라 그 의무는 그 비밀을 함께 알고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부여되는 것이다.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사생활을 존중해야 하며 전문적 서비스 과정에서 알게 된 모든 정보에 대한 비밀을 보장해야 한다.
사회복지사는 첫째, 전문적 이유에 의해서만 클라이언트의 승인 없이 클라이언트의 비밀정보를 다른 사람과 이야기해야 하며, 둘째, 클라이언트에게 어떤 상황에서 비밀보장의 한계와 정보가 어떤 목적으로 수집되고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충분히 말해야 하며, 셋째, 클라이언트에 관한 어떤 공식적 기록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하도록 도와야 하고, 넷째, 클라이언트에게 기록에 대하여 올바르게 이해시킬 때 기록에 포함되는 다른 사람의 비밀을 보호하는 데 유의해야 하며, 다섯째, 클라이언트의 행동에 관한 제삼자의 관찰을 허용하거나 녹음하거나 기록하기 전에 클라이언트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 비밀보장의 한계
첫째, 클라이언트 자신의 내부적 딜레마로 클라이언트의 비밀보장의 권리와 다른 권리와의 모순충돌을 해결하기 위하여 두 권리의 경중을 비교하여 보다 중요한 쪽을 택하여야 한다.
둘째, 타인의 권리와의 충돌로 양 권리를 비교하여 더 중요한 권리를 택해야 하며 비밀보호가 제삼자에게 손해를 미치리라는 명백한 증거가 나을 때까지는 존중되어야 한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권리와의 충돌로 클라이언트의 비밀보장으로 인해 사회복지사의 권리가 박탈되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사회기관의 권리와의 충돌로 클라이언트의 비밀을 지키기 위해 고유의 법적 권한이 부여된 기관의 사회적 사명과 권한을 넘어섬으로 사회적 의무에 반하는 조치이다.
다섯째, 사회의 권리와의 충돌로 사익과 공익, 개인과 사회의 권리 사이에 충돌이 일어나는 것이다. 사회는 공공의 이익을 촉진시키며, 사회질서와 평화 등을 유지하여 시민의 복지를 적극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해 한 시민으로서 사회공동의 복지증진에 협력할 의무가 있다.
이와 같이 클라이언트의 비밀을 보장하려고 할 때 초래하게 되는 딜레마의 해결은 비밀을 지킴으로써 위에서 말한 다섯 가지의 다른 권리가 침해된다는 증거가 명백해질 때까지 우선되어야 한다.
* 참고문헌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현대 복지국가의 사회복지교육 : 현외성 저, 공동체,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8.01.25
  • 저작시기201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41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