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측정, 기록하였다.
P(138회), R(34회), BT(38.7도) → P(126회), R(28회), BT(37.9도) → P(120회), R(24회), BT(37.4도) 측정, 기록하였다.
피부는 계속해서 붉은 홍조를 띠고 있으며, BT는 38.7도 → 37.9도 → 37.4도로 측정되었고 발한이 계속되었다.
② 미지근한 물수건으로 환아의 몸을 닦았다.
겨드랑이와 서혜부에는 1시간 마다 차가운 물수건을 대어 주었다.
미지근한 물수건으로 2시간 마다 한번 씩 부분목욕을 시행하였다.
③ 주위의 온도를 낮추고 알맞은 습도를 유지 하였다.
실내 온도는 18~22도, 실내 습도는 가습기를 사용하여 50~60%가 되도록 유지 하였다.
④ 활동을 제한하고 안정을 취하게 해준다.
침상안정을 격려하였다.
⑤ 땀이 나거나 옷이 젖었을 때는 건조한 의복과 침구를 갈아주어 안위를 증진시켰다.
얇고 땀이 잘 흡수되는 의복을 제공하였다.
담요 대신 Lion 천을 제공해 주었다.
⑥ 증가된 대사요구를 충족시키고 탈수 예방을 위해 적절한 수분을 공급하였다.
물, 이온 음료 등을 1~2L/일 마시도록 격려하고 제공하였다.
⑦ 처방된 해열제를 투약하고 효과를 사정하였다.
BT : 38.5도 이상 시 해열제를 투약하였고 30~60분 후 BT 측정 시 37.6도로 효과가 있었다.
간호 평가 #1
평가
로타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위장염의 경우에는 현재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대증요법을 이용하여 증상을 완화 시킬 수 있었다. 미지근한 물수건으로 환아 몸 닦기, 침상안정, 안위 증진, 해열제 투약 등을 통하여, 매 1시간 마다 V/S 측정 시 P(138회), R(34회), BT(38.7도) → P(126회), R(28회), BT(37.9도) → P(120회), R(24회), BT(37.4도)의 결과로 정상수치로 회복 하였다.
간호 진단 #2
의미 있는 자료
간호진단
진단명
범주
S :
“아이가 구토와 설사 때문에 축 처져 있어요.”
“ 우웩 우웩”
구토 및 설사와 관련된 체액부족 위험성
수화
O :
Vomiting 2~3회/1일
Watery Form Diarrhea 2~3회/1일
Dx AGE(Rota +)
피부 촉진 시 피부의 탄력성이 약간 떨어짐
Adm 전 체중 : 12Kg → Adm 후 체중 11Kg으로 감소
소변횟수 6회/1일 → 4~5회/1일
Medication : 포리부틴 드라이 시럽(위장운동조절 및 진정제), 다이톱 현탁액(지사제), 에스디주(혈액 대용제)
Routine Urine 검사 : Ketone +++
간호 계획 #2
간호진단
간호계획
목표
계획
구토 및 설사와 관련된 체액부족 위험성
구토와 설사의 횟수가 줄어든다.
체액 부족의 양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① 8시간 마다 피부탄력성을 모니터하고 탄력성 감소 여부를 보고한다.
피부 색깔, 온도, 촉감 등을 사정한다.
② 매일 체중을 측정하여 기록한다.
매일 아침 같은 시간, 같은 의복 착용 후 체중을 측정한다.
③ 섭취와 배설을 정확하게 기록한다.
④ 탈수 예방을 위해 적절한 수분을 섭취하도록 격려한다.
물, 이온 음료 등을 1~2L/1일 제공한다.
⑤ 처방된 Medication을 투약하고 효과를 사정한다.
포리부틴 드라이 시럽(위장운동조절 및 진정제), 다이톱 현탁액(지사제), 에스디주(혈액 대용제)를 투약 한 후에 효과를 기록한다.
⑥ 적절한 수분섭취와 일일 체중기록하기, 섭취와 배설량 측정하기, 탈수징후를 인식하기 등을 교육한다.
⑦ 진단검사 수치를 모니터하고 사정한다.
간호 수행 #2
수행
① 8시간 마다 피부탄력성을 모니터하고 탄력성 감소 여부를 보고하였다.
피부 색깔은 홍조를 띠었으며, BT는 38.7도 → 37.9도 → 37.4도의 양상을 보였다.
피부의 촉감은 약간 거칠었고, 탄력성도 떨어졌다.
② 매일 체중을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매일 아침 같은 시간, 같은 의복 착용 후 체중을 측정하였다.
12Kg → 11Kg → 12Kg으로 체중을 회복하였다.
③ 섭취와 배설을 모니터하고 정확하게 기록하였다.
식사(2회/1일), 수분(700mL/1일) 등의 섭취 시 섭취량을 기록하였고, 배변(2~3회/1일), 배뇨(4~5회/1일)시 배설량을 기록하였다.
④ 탈수 예방을 위해 적절한 수분을 섭취하도록 격려하였다.
물, 이온 음료 등을 1~2L/1일 제공하였다.
⑤ 처방된 Medication을 투약하고 효과를 사정하였다.
포리부틴 드라이 시럽(위장운동조절 및 진정제), 다이톱 현탁액(지사제), 에스디주(혈액 대용제)를 투약하였다.
Vomiting 0~1회/1일, Diarrhea 1회/1일으로 구토와 설사의 횟수 감소를 보였다.
⑥ 적절한 수분섭취와 일일 체중기록하기, 섭취와 배설량 측정하기, 탈수징후를 인식하기 등을 교육하였다.
적정 수분섭취량(1~2L/1일), 일일 체중기록(일정시간, 일정한 의복 착용), 섭취/배설량 측정, 탈수징후(갈증, 피부의 탄력성 감소, 맥박/체온 증가, 소변량 감소 등) 인식하기 등에 대해 보호자에게 교육하였다.
⑦ 진단검사 수치를 모니터하고 사정하였다.
진단검사 수치를 모니터하고 비정상적인 결과를 보고하였다.
간호 평가 #2
평가
8시간 마다 피부탄력성 모니터, 매일 체중 측정/기록, I/O Check, 수분섭취 격려, Medication 투약, 교육, 진단 검사 수치 사정을 통해서 Vomiting 0~1회/1일, Diarrhea 1회/1일으로 구토와 설사의 횟수 감소하였고, 체중도 12Kg → 11Kg → 12Kg으로 이전의 수치로 회복 하였다.
Ⅴ. 출처
1. 문헌
손정태 외(2007), 기본간호학 1, 현문사 : 서울
김금자 외(2006),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 서울
김희숙 외(2007), 아동건강간호학 1,2, 군자출판사 : 서울
2. 인터넷
Druginfo : http://www.druginfo.co.kr/
Kims Online : http://new.kimsonline.co.kr/
한국산재의료원 창원병원 Blog : http://blog.naver.com/magnetjoo/10041587397
P(138회), R(34회), BT(38.7도) → P(126회), R(28회), BT(37.9도) → P(120회), R(24회), BT(37.4도) 측정, 기록하였다.
피부는 계속해서 붉은 홍조를 띠고 있으며, BT는 38.7도 → 37.9도 → 37.4도로 측정되었고 발한이 계속되었다.
② 미지근한 물수건으로 환아의 몸을 닦았다.
겨드랑이와 서혜부에는 1시간 마다 차가운 물수건을 대어 주었다.
미지근한 물수건으로 2시간 마다 한번 씩 부분목욕을 시행하였다.
③ 주위의 온도를 낮추고 알맞은 습도를 유지 하였다.
실내 온도는 18~22도, 실내 습도는 가습기를 사용하여 50~60%가 되도록 유지 하였다.
④ 활동을 제한하고 안정을 취하게 해준다.
침상안정을 격려하였다.
⑤ 땀이 나거나 옷이 젖었을 때는 건조한 의복과 침구를 갈아주어 안위를 증진시켰다.
얇고 땀이 잘 흡수되는 의복을 제공하였다.
담요 대신 Lion 천을 제공해 주었다.
⑥ 증가된 대사요구를 충족시키고 탈수 예방을 위해 적절한 수분을 공급하였다.
물, 이온 음료 등을 1~2L/일 마시도록 격려하고 제공하였다.
⑦ 처방된 해열제를 투약하고 효과를 사정하였다.
BT : 38.5도 이상 시 해열제를 투약하였고 30~60분 후 BT 측정 시 37.6도로 효과가 있었다.
간호 평가 #1
평가
로타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위장염의 경우에는 현재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대증요법을 이용하여 증상을 완화 시킬 수 있었다. 미지근한 물수건으로 환아 몸 닦기, 침상안정, 안위 증진, 해열제 투약 등을 통하여, 매 1시간 마다 V/S 측정 시 P(138회), R(34회), BT(38.7도) → P(126회), R(28회), BT(37.9도) → P(120회), R(24회), BT(37.4도)의 결과로 정상수치로 회복 하였다.
간호 진단 #2
의미 있는 자료
간호진단
진단명
범주
S :
“아이가 구토와 설사 때문에 축 처져 있어요.”
“ 우웩 우웩”
구토 및 설사와 관련된 체액부족 위험성
수화
O :
Vomiting 2~3회/1일
Watery Form Diarrhea 2~3회/1일
Dx AGE(Rota +)
피부 촉진 시 피부의 탄력성이 약간 떨어짐
Adm 전 체중 : 12Kg → Adm 후 체중 11Kg으로 감소
소변횟수 6회/1일 → 4~5회/1일
Medication : 포리부틴 드라이 시럽(위장운동조절 및 진정제), 다이톱 현탁액(지사제), 에스디주(혈액 대용제)
Routine Urine 검사 : Ketone +++
간호 계획 #2
간호진단
간호계획
목표
계획
구토 및 설사와 관련된 체액부족 위험성
구토와 설사의 횟수가 줄어든다.
체액 부족의 양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① 8시간 마다 피부탄력성을 모니터하고 탄력성 감소 여부를 보고한다.
피부 색깔, 온도, 촉감 등을 사정한다.
② 매일 체중을 측정하여 기록한다.
매일 아침 같은 시간, 같은 의복 착용 후 체중을 측정한다.
③ 섭취와 배설을 정확하게 기록한다.
④ 탈수 예방을 위해 적절한 수분을 섭취하도록 격려한다.
물, 이온 음료 등을 1~2L/1일 제공한다.
⑤ 처방된 Medication을 투약하고 효과를 사정한다.
포리부틴 드라이 시럽(위장운동조절 및 진정제), 다이톱 현탁액(지사제), 에스디주(혈액 대용제)를 투약 한 후에 효과를 기록한다.
⑥ 적절한 수분섭취와 일일 체중기록하기, 섭취와 배설량 측정하기, 탈수징후를 인식하기 등을 교육한다.
⑦ 진단검사 수치를 모니터하고 사정한다.
간호 수행 #2
수행
① 8시간 마다 피부탄력성을 모니터하고 탄력성 감소 여부를 보고하였다.
피부 색깔은 홍조를 띠었으며, BT는 38.7도 → 37.9도 → 37.4도의 양상을 보였다.
피부의 촉감은 약간 거칠었고, 탄력성도 떨어졌다.
② 매일 체중을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매일 아침 같은 시간, 같은 의복 착용 후 체중을 측정하였다.
12Kg → 11Kg → 12Kg으로 체중을 회복하였다.
③ 섭취와 배설을 모니터하고 정확하게 기록하였다.
식사(2회/1일), 수분(700mL/1일) 등의 섭취 시 섭취량을 기록하였고, 배변(2~3회/1일), 배뇨(4~5회/1일)시 배설량을 기록하였다.
④ 탈수 예방을 위해 적절한 수분을 섭취하도록 격려하였다.
물, 이온 음료 등을 1~2L/1일 제공하였다.
⑤ 처방된 Medication을 투약하고 효과를 사정하였다.
포리부틴 드라이 시럽(위장운동조절 및 진정제), 다이톱 현탁액(지사제), 에스디주(혈액 대용제)를 투약하였다.
Vomiting 0~1회/1일, Diarrhea 1회/1일으로 구토와 설사의 횟수 감소를 보였다.
⑥ 적절한 수분섭취와 일일 체중기록하기, 섭취와 배설량 측정하기, 탈수징후를 인식하기 등을 교육하였다.
적정 수분섭취량(1~2L/1일), 일일 체중기록(일정시간, 일정한 의복 착용), 섭취/배설량 측정, 탈수징후(갈증, 피부의 탄력성 감소, 맥박/체온 증가, 소변량 감소 등) 인식하기 등에 대해 보호자에게 교육하였다.
⑦ 진단검사 수치를 모니터하고 사정하였다.
진단검사 수치를 모니터하고 비정상적인 결과를 보고하였다.
간호 평가 #2
평가
8시간 마다 피부탄력성 모니터, 매일 체중 측정/기록, I/O Check, 수분섭취 격려, Medication 투약, 교육, 진단 검사 수치 사정을 통해서 Vomiting 0~1회/1일, Diarrhea 1회/1일으로 구토와 설사의 횟수 감소하였고, 체중도 12Kg → 11Kg → 12Kg으로 이전의 수치로 회복 하였다.
Ⅴ. 출처
1. 문헌
손정태 외(2007), 기본간호학 1, 현문사 : 서울
김금자 외(2006),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 서울
김희숙 외(2007), 아동건강간호학 1,2, 군자출판사 : 서울
2. 인터넷
Druginfo : http://www.druginfo.co.kr/
Kims Online : http://new.kimsonline.co.kr/
한국산재의료원 창원병원 Blog : http://blog.naver.com/magnetjoo/10041587397
추천자료
[아동간호]기관지폐렴 간호진단
아동간호학 각론]] 27장 체액과 전해질장애아동
아동간호 인후염 중이염 간호과정
아동간호학 간호진단 (위장관 염증과 관련된 설사, 소변량 감소로 구토, 설사와 관련된 체액...
[아동간호 케이스] Pneumonia(폐렴) 아동에 대한 간호사례 연구
아동간호학 아동 신체사정
[아동간호학] <유아 학령전기 인지발달비교> 유아와 학령전기아동의 인지발달 비교 - 피아제(...
[아동간호학 兒童看護學] 시각장애(視覺障碍) 아동 & 청각장애(聽覺障碍) 아동의 특징과 ...
[아동간호학 兒童看護學]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특징과 관리(의사소통장애 아동의 정의와 분류...
[아동간호학 兒童看護學] 전반적 발달장애(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아동의 특징...
아동간호학 TTN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케이스 간호과정
아동간호학 실습 TOF 간호과정
아동간호학 실습, nicu, 신생아 중환자실,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고위험 신생아, 기저귀 ...
아동간호학 뇌수막염 간호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