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복지] 종교에 대한 장애인에게 취하는 교리나 태도에 대해 설명하시오. 교리나 경전 의례에 나온 장애인의 모습을 서술하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애인복지] 종교에 대한 장애인에게 취하는 교리나 태도에 대해 설명하시오. 교리나 경전 의례에 나온 장애인의 모습을 서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장애인관이란

2. 종교에 대한 장애인에게 취하는 교리
1) 불교에 대한 장애인에게 취하는 교리
2) 유교에 대한 장애인에게 취하는 교리

3. 종교에 대한 장애인에게 취하는 태도
1) 불교에 대한 장애인에게 취하는 태도
2) 유교에 대한 장애인에게 취하는 태도

4. 교리나 경전 의례에 나온 장애인의 모습
1) 불교의 약사경(藥師經)에 나타난 장애인관
2) 율곡의 철학 사상을 통해 본 장애인관
3) 한국의 설화에 나타난 장애인관

5.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理)라는 본체가 있으며 결국 장애라는 이면에는 정상이라는 이면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장애(障碍)와 정상(正常)은 함께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장애라는 것은 누구나 가지는 보편적인 것이 되는 것이며 장애는 정상과 다르지 않고 정상은 장애와 다르지 않다. 즉 장애는 정상이고 정상은 곧 장애가 되는 것이다. 이는 곧 장애라는 것과 정상이라는 것이 결코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장애는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있는 개별적인 것이자 누구나 가지고 있는 보편적인 것이다.
3) 한국의 설화에 나타난 장애인관
한국의 설화에 나타난 장애인관(障碍人觀)은 부정적(否定的)인 태도(態度)와 긍정적(肯定的)인 태도(態度)의 이중성(二重星)을 가지고 있다. 부정적인 장애인관은 한국의 전통 신앙(信仰)이나 자기중심적인 사고에 기인된 것이며, 긍정적인 장애인관은 인간(人間) 존중(尊重)의 사상에 기인된 것이라고 지적하고, 우리나라에 있어서 전통적인 시각 장애인관은 부정적인 태도가 긍정적인 태도보다 강하게 나타나 있다. 그러나 다음의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긍정적인 장애인관이 우리 조상들의 생활 속에서 강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장애인 관련 설화를 분석한 연구 논문에 나타난 장애인관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장애 치유 관련 설화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설화에는 다양한 치유 방법이 나와 있는데 약수나 샘물로 치유하는 방법이 가장 많다. 이처럼 물은 우리 생활주위에서 장애를 치유할 수 있는 중요한 매개물로 우리 조상들에게 자리하고 있다. 즉, 우리 나라의 맑고 깨끗한 물이 장애의 치유에 효험이 있고, 또 장애인들이 물로써 치유되기를 소망했다고 볼 수 있다.
효성(孝誠)으로 각종 장애를 치유한 설화도 있는데 이는 우리 조상들이 전통적으로 효를 중시하고 있음을 장애인의 치유를 통해서도 보여주고 있다. 그 구체적인 사례는 아들의 효도로 앉은뱅이 어머니가 걷게 되고, 며느리의 효도로 시부모가 눈을 뜬다는 설화가 대부분이다. 특히 새어머니에게 효도를 한다거나 과부 며느리가 홀시아버지를 극진히 봉양(奉養)함으로써 장애가 치유되도록 함은 오히려 장애 그 자체보다 효(孝)를 더 중시하고 상위(上位)의 가치(價値)로 받들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가족의 장애가 효성으로 극복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효도를 하기 위해 기꺼이 장애를 입은 경우도 반드시 치유됨을 보여주고 있다. 장애인들이 부모를 위해 효도를 극진히 하면 장애가 치유된다고 생각하였으며 자녀들의 효도를 통해 부모의 장애가 치유된다고 믿었다.
인간의 장애를 동물이 등장하여 치유에 도움을 주기도 한다. 주로 등장하는 동물은 산신령(山神靈)이라 부르는 호랑이와 이무기 ·두꺼비 ·쥐 ·까마귀 외에 백송아지 ·닭 등의 가축이 등장하고 있다. 이들 동물에 의해 치유되는 장애는 대부분이 실명(失明)된 눈을 뜨는 시각 장애와 앉은뱅이가 일어서고 걷게되는 지체(肢體) 장애(障碍)에 국한되고 있다. 또 호랑이가 산신령이 되어 장애인에게 치유에 도움을 주고자 함은 장애를 입은 장애인이 누구도 원망하지 않고 장애를 받아들여 선하게 행동할 때 동물들조차도 힘이 되어준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으로 보아 전통적으로 우리 조상들은 장애인을 동물과도 영적인 마음이 통하는 영험(靈驗)한 존재로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장애를 가진 것을 동물들조차도 측은(惻隱)히 여겨 치유(治癒)에 도움을 주고자 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하겠다.
5. 나의 의견
어느 민족이나 사회를 막론하고 그들 집단 속에 장애인이 존재하지 않았던 때는 단 한 순간도 없었다. 그러기에 그들 집단 내에는 부정적이든 긍정적이든 장애인에 대한 나름대로의 입장이나 생각들도 있었을 것이다. 장애인에 대한 입장 내지 생각들을 장애인관이라고 할 때, 장애인관은 그 관념적(觀念的)인 틀을 갖추는 과정에서 이미 한 집단 속에 유행하는 지배적인 의식이나 신앙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따라서 우리 민족의 장애인관 형성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친 사상들에 대하여 관심을 갖는 것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의 의식 구조를 이해하고 나아가 바람직한 장애인관을 함양해 나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선행 조건이라 할 수 있다. 우리 민족의 정신 세계에 많은 영향을 끼친 불교와 유교는 장구한 세월을 거쳐 우리 민족과 함께 해 오면서 어느덧 한국인의 문화에서 분리할 수 없는 전통 사상의 위치를 갖게 되었다. 여기에서 전통(傳統)이라는 말은 결코 우리 속에서 자생한 것만을 의미하는 것을 아니다. 전통이란 자생한 것이든 외부에서 들어온 것이든 우리들의 의식과 삶에 스며들어 오랜 시간을 지나는 사이에 기존과의 융화를 되풀이하면서 새로운 것들을 만들어 낸다. 전통이란 오랫동안 함께 하여 우리 것처럼 된 것을 두루 가리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불교(佛敎)와 유교(儒敎)에 대한 이해는 우리 조상들의 정신(精神) 세계(世界)를 올바로 이해 하는데 매우 중요하며 이를 통한 우리 조상들의 장애인관을 가늠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종교에 대한 장애인에게 취하는 교리나 태도에 대해 설명해 보았다. 우리나라는 성장 위주의 경제 정책으로 한 때 선진국의 문턱에 있는 듯 했으나 장애인에 대한 정책, 국민들의 의식 수준은 선진국의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장애인 대책은 오랫동안 수용 ·보호 위주에 머물러 왔고 국민들은 장애인에 대한 그릇된 인식과 편견(偏見)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심지어 장애 아동을 위한 특수학교 및 시설 설립까지 주민들이 반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선진국에서는 이해할 수 없는 수치스러운 이기적인 행동이다. 또한 이는 헌법에서 보장된 기본권의 침해 행위이며, 장애인 복지법과 특수 교육 진흥법상의 장애인 복지 및 교육받을 권리의 기본 취지에도 어긋나는 범법 행위이다.
참고문헌
유장순(2005). 장애이해 교육. 직무연수. 국립특수교육원.
김성재(1999). 장애인 인권과 사회통합. 국립특수교육원.
한성기(2000). 장애인을 위한 선교. 수원주교 제21호
김동한(2002). 율곡의 철학사상을 통해본 장애인관. 단국대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키워드

장애인,   장애인관,   종교,   불교,   유교,   교리,   태도,   경전,   경전의례
  • 가격3,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8.02.28
  • 저작시기201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64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