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역사 공통] 베트남 전쟁에 관한 인터넷 자료를 10건 이상 확보하여 정독한 후, 베트남 전쟁에 관한 주제를 스스로 설정하시오 - 베트남 전쟁과 고엽제 살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계의역사 공통] 베트남 전쟁에 관한 인터넷 자료를 10건 이상 확보하여 정독한 후, 베트남 전쟁에 관한 주제를 스스로 설정하시오 - 베트남 전쟁과 고엽제 살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베트남 전쟁의 전개과정

2. 베트남 전쟁과 한국군 파병

3. 베트남 전쟁과 고엽제 살포 이유

4. 고엽제의 독성

5. 고엽제 살포와 조사 착수

6. 한국의 고엽제 피해 역학조사

7. 고엽제 피해 국가유공자를 위한 국가지원 방안

8.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지만 한 사람의 병명이 단지 후유증의 질병이라고 해서 국가유공자의 혜택을 받고 다른 한 사람은 국가의 무상 의료지원만을 받는 다는 것은 형평성이 없는 정책이 될 수 있다. 3차 역하조사에서 참전 군인들이 일반인 보다 더 건강한 결과인 군인효과가 나타났다고 보고하고 있다. 베트남 참전 이 후 20∼30년이 지난 지금 발생된 질병이 생활 습관과 유전적 이유에서 오는 것인지 고엽제 노출로 인한 것인지 의학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현실에서 후유증과 후유의증의 기준을 이제는 정책적인 입장에서 다시 검토 하여야한다.
그 방법은 현재 후유증으로 인정하는 질병의 참전군인들의 고엽제 노출수준을 평가하여 이와 동일한 수준으로 노출 된 참전군인들 중 후유의증 질병 발생과의 관계를 통하여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고엽제 노출 수준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하며 고엽제 노출 수준과 질병발생과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가 있어야 한다.
현재 한국에서 인정하고 있는 15개의 고엽제 후유증 질병환자들의 고엽제 노출수준을 검토하여 후유증에 대한 고엽제 노출수준의 기준양을 선정하여 고엽제 후유의증 질병 중 후유증 고엽제 노출수준의 기준양과 동일한 질병에 대하여는 후유증으로 인정하는 정책적인 결정을 하여야 한다.
8. 나의 의견
베트남 참전 군인들은 현재 약 17만 명이 생존 하고 있다고 추정하고 있다. 이중 약 3만 명은 후유증 환자고 약 8만 명은 후유의증 환자이다. 단지 의학적으로 확신할 수 없다는 이유만으로 후유증과 후유의증을 구분할 수 없다. 따라서 한국군이 베트남전쟁에서 수행한 고엽제 관련 내용을 군사적인 측면에서 더욱 깊이 있게 연구하여 한국군의 특성을 미국의 연속노출모델에 적용시켜야 한다. 그 결과 정확한 한국 참전 군인들의 과거 고엽제 노출수준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질병발생 확률과의 관계를 설정한 후에 후유증과 후유의증의 구분 기준을 설정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아직 밝혀지지 않은 군사자료를 발굴하여 한국군이 직접 살포한 고엽제 양에 대하여 좀 더 보강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한국군이 손으로 살포한 수동식 고엽제 살포방법을 미군이 살포한 공중살포 방법과 비교하여 어느 수준의 가중치를 적용할 것인가에 대한 기준도 연구하여야 한다. 하늘에서 고속으로 날아가면서 살포한 고엽제에 의한 인체 노출 보다는 생활 근거지에서 수동으로 살포한 고엽제의 노출 수준이 어느 정도로 더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상대적인 비교연구가 있어야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베트남전쟁에서 고엽제 살포 업무를 책임졌던 화학소대 군인들에 대한 집중적인 역학조사가 있어야한다. 가장 많이 고엽제 노출되었을 것이라고 예상되는 집단에 대한 특별한 연구가 필요하다. 물론 참전군인들 중에는 전투 중 고엽제가 녹아있는 웅덩이에 빠져서 급성 피부염을 일으킨 병사들도 있다. 이런 특별한 상황을 제외하고는 화학소대의 병력들이 가장 많이 고엽제에 노출된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집단에 대한 연구는 고엽제 노출과 질병 발생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베트남 전쟁에 관한 인터넷 자료를 10건 이상 확보하여 정독한 후, 베트남 전쟁에 관한 주제를 스스로 설정하여 서술해 보았다. 베트남 참전 군인들은 여러 가지 이유에서 파병을 신청하고 성공적인 임무를 수행하였고, 그들의 노력으로 현재의 대한민국을 만드는 밑거름이 되었다. 이제 곧 베트남전쟁 파병 50년이 되어간다. 베트남전쟁 파병이 준 숙제를 이제는 풀어야 한다.
참고문헌
유윤식, 한국군의 월남파병 정책결정, 국방대학교, 2003.
최병욱, 베트남 근현대사, 창비, 2008.
김 풍, 평화의 십자군, 베트남 1969, 우신, 2013.
김현아, 전쟁의 기억, 기억의 전쟁, 책갈피, 2002.
최용호, 베트남전쟁과 한국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4.
신종호, 한국군의 월남전 참전과 한국에 미친 영향, 도서출판 대일, 2000.
강창업, 아직 끝나지 않은 전쟁, 고엽제 피해의 실상과 대책, 새얼문화재단, 2006.
문송희, 월남참전 고엽제 후유증 환자에 대한 합리적 처리방안, 국방대학원, 1999.
최용호, 한권으로 읽는 베트남전쟁과 한국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4.
정수용, 한국의 베트남전 파병과 한·미 동맹체제의 변화,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김동현, 한국의 베트남전 철병정책에 나타난 인식과 오인,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8.03.12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76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