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 시론] 제 4장 시의 방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현대 시론] 제 4장 시의 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4장 시의 방법

1. 비유의 원리

2. 비유의 방법

3. 직유
1) 직유의 원리
2) 직유의 유형

4. 은유
1) 은유의 원리
2) 은유의 특성
3) 은유의 유형
-참고문헌

본문내용

감지하는 것이라 했는데, 이 시는 그런 점에서 좋은 은유에 해당된다. 엘리엇는 좋은 은유를 ‘동떨어진 은유’라고 명명했다. 은유가 살아 있는 은유, 창조적인 은유가 되기 위해서는 표준어의 일상성에서 벗어나야 한다.
3) 은유의 유형
미국의 철학자 휠라이트는 은유를 치환(置換)은유와 병치(置)은유로 나누고 있다. 치환은유가 상호작용에 의한 의미확장이라면 병치은유는 늘어놓기에 의한 의미창조이다. 치환은유는 일상적 의미가 친화(親和)적 관계(비교,대조,유추,동일시)를 토대로 해서 다른 의미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대개 이 치환은유는 보조관념이 하나가 나와 A=B의 단순은유 형식을 취한다. 다시 말해 원관념과 보조관념 사이의 관계가 일원적(一元的)이여 1:1 대응을 토대로 하여 친화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비하여 병치은유는 병렬이나 종합의 과정을 통하여 새로운 의미를 형성해가는 은유이다. 다시 말해 이질적인 여러 요소들을 병렬하고 이를 다시 결합시키면서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거나 인식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병치은유에서는 원관념과 보조관념 사이의 관계가 다원적(多元的)이다. 병치은유는 서로 이질적인 것들 사이의 돌발적인 병치를 통하여 새로운 역동적인 의미를 창출하는 효과를 갖고 있다. 밤/강도/칼/유혈/살인의 병치 속에서 나타난 칼의 이미지와, 은쟁반/과일/칼/소녀의 병치 속에 나타난 칼의 이미지는 같을 수가 없다. 똑같은 대상이라도 어떤 상황 속에 병치되느냐에 따라서 의미가 달라지는 것이다. 은쟁반과 소녀는 상사성은 없지만 정서적인 면에서 서로 통하는 점이 있다. 즉 병치은유는 관념들의 연합이 상서성에 근거하는 것이 아니라 정서적 인접성에 근거한다.
한편, 리차드는 은유를 의미은유와 정서은유로 나누고 있다. 그는 은유를 한 낱말이 정상적인 사용법에서 이탈하여 새로운 사용법으로 전환되는 언어 활용으로 보고 있다. 이때 이 전환이 낱말이 정상적으로 적용되는 대상과 새로이 적용되는 대상 사이의 유추나 유사성에 근거하는 것이 의미은유이다. 이에 비해 이 전환이 정상적 상황이 야기하던 감정과 새로운 상황이 야기하는 감정 사이의 유사성에 근거할 때 이는 정서 은유가 된다. 물론 이 두 은유는 따로따로 나올 때도 있고 동시에 하나로 결합될 때도 있다.
H.Read는 은유를 장식은유와 조명은유로 구별한다. 장식은유는 깊은 의미나 상징성보다 유미적 표현으로써 문장을 아름답게 꾸미려는 수사적 목적을 가진 은유이다. 이에 비해 조명은유는 문장의 뜻을 구체적인 이미지로 조명해 주는 은유이다.
이 밖에 혼유(混喩), 정령은유, 의인은유 등이 있다. 혼유는 같은 주제에 대하여 성질을 달리하는 둘 이상의 은유를 혼용한 은유이다. 정령은유는 관념과 사물이 서로 형질을 바꾸거나 활물화(活物化)하고 정령화(精靈化)하는 것이다. 정령은유는 때론 의인은유라고도 부른다.
참고문헌
김영철, 『현대시론』, 건국대출판부, 1993.
엄경희, 『시 대학생들이 던진 33가지 질문에 답하기』, 새움, 2011.
이향아, 『시의 이론과 실제』, 창조문예사, 2011.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8.03.14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83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